236 0

낙산 성곽 지역의 보존과 활요에 관한 연구

Title
낙산 성곽 지역의 보존과 활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esentation planning method of a castle wall in Nak. Mountain
Author
전은수
Alternative Author(s)
JUN, EUN SUE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기록물로서 문화재의 존재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방법을 취해야 할 것인지 의문점에서부터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문화재에 있어서 재생이란 단순히 건물을 허물지 않고 다시 사용하는 의미가 아니라, 정신적 의미와 함께 고려되어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인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도시의 무분별한 발전과 빠르게 변화하는 페러다임은 오래되고 퇴색된 것을 정지된 과거의 것으로 인식되어 빠르게 소외되는 결과를 만들고 있다. 문화재들은 시대적 상황과 정신에 따라 지어져 역사성과 장소성을 가지는 건축물로, 강한 자체적 질서를 가지고 있다.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신과 도시적인 맥락을 분석적으로 읽어내어 존재의 재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건축물인 한양의 4대산 중 동쪽에 있는 낙산에 존재하는 도시성곽이 그 지역만의 의미를 규정하는 점을 착안하여 성벽에 대응되는 새로운 레이어들을 발굴하여 재구성되는 공간을 디자인 요소로 발전시켰다. 과거와 새롭게 만들어질 미래의 켜 들을 공존시켜 그 사이 공간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행위들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대지의 특성인 지형의 흐름을 복원화 함으로써 도시의 공공성을 새롭게 연결하는 역할을 부여하고자 하였고 내부 공간의 벽의 의미 분석은 한국 전통 공간 중 독창적인 공간활용과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정원인 소쇄원을 재해석 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This project was implemented to resolve a question how to perceive cultural assets as valuable products of history. The reproduction of cultural assets doesn't merely mean to utilize the cultural assets without destroying them but to constantly mediate on the existence of cultural assets in consideration of their mental meaning. The sprawling expansion of urban communities and fast paradigm shifts have resulted in making outdated and old-fashioned things alienated as the static things of the past. Cultural assets are historic and region-specific buildings that are mirrors of contemporary circumstances and spirits, and there are a strict internal order in them. It's needed to make research on the reproduction of cultural assets by analyzing the unique spirits of cultural asse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ites in which they are loc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new layers from the castle walls in Naksan and to reconstruct them into design elements. Naksan is one of the four largest mountains in Hanyang, which is located in its eastern part, and the castle walls unveil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at reg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gram what might possibly take place in the space for the coexistence of the past and future layers. The distinctive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ground of that region were revived to make the use of the publicness of the urban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internal spaces was explored by reinterpreting Soswaewon, a traditional garden that was programmed and capitalized on the inner spaces in a unique mann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6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