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5 0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Donation
Author
임춘미
Alternative Author(s)
Lim, Choon Me
Advisor(s)
이희선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비영리기관인 경우 재정의 많은 부분을 민간자원에 의존하는 입장에서 볼 때 고액 기부자가 많지 않고, 외국의 경우처럼 기부관련 프로그램의 부재로 기부를 하고 싶어도 모금프로그램의 부재, 전문성의 부재, 기부처를 불신하는 신뢰의 문제로 기부가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기부자의 인식과 태도를 적극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노력과 더불어 획기적인 기부촉진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기관에 기부경험이 있는 경우 고액기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기부 인식 및 태도, 기부활동에 대한 만족도, 기부처에 대한 신뢰도, 기부의향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및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검증하여 올바른 기부문화를 조성하고 나아가 비영리기관인 시설/기관/단체에서 효과적인 고액 기부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우선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설문을 작성하여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시민 중 최근 1년 동안 시설/기관/단체에 기부금을 납입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정도를 살펴본 결과, 기부에 대한 관심에 있어서든 고액기부든 사회 전반적으로 활성화 되어있는 정도 보다는 조사대상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부에 대한 관심이나 가능성이 전반적으로 조금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부활동 만족도는 보통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학력과, 종교, 가족구성원의 기부경험, 년 기부액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부처에 대한 신뢰도는 보통으로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종교, 월평균 소득, 년 기부액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부 의향 수준을 분석한 결과, 기부 의향이 낮게 나타났으며, 학력, 종교, 자산정도, 가족구성원 기부경험, 년 기부액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기부활동 만족도 및 기부처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기부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모금단체들의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신뢰감이 생길 경우와 기부활동으로 인한 만족감이 높아질 때 그리고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즉, 나의 재정적 안정도가 높아질 경우 기부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가정을 세워 주고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기부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의 활성화를 위하여 비영리단체는 투명한 기금 운용, 충실한 사업 이행,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첫 번째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둘째,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부 유치와 효율적인 고액모금을 위해 고액기부 프로그램을 고정적 프로그램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잠재적 기부자들의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관계 형성에 기반한 고액모금 프로그램 및 기부자 관리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지속적인 개발과 사후관리를 하고, 보다 적극적인 확장적 마음의 자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접근과 홍보마케팅 전략으로 방향과 목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조직전체의 통합적 노력과 다른 부문과의 제휴를 통해, 기부 프로그램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렛대 효과를 창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외적으로 고액기부의 가치를 알려 고액기부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제고시키고 동시에 고액모금의 정당성을 보다 공고히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부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고액기금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으나, 조사대상을 표집 함에 있어 편의상 서울에 있는 일부 단체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전체 기부자들의 의견으로 일반화 시키는 데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확장된 표집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부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많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몇 개의 요인 즉, 기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기부활동 만족도, 기부처에 대한 신뢰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들만으로 국한시켜 살펴보았으며, 변수에 대한 개념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에 있어서 미흡하였다. 따라서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부의향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기부의향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ator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onation, their satisfaction with donation and their trust of donator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such facto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such factors on their intention for donation, assuming that those who had ever donated to some non-profit organizations would be more likely to donate big amount of money to them.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of all,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up,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for testing of the hypotheses was conducted for those living in Seoul as of 2008 who had ever donated to public facilities, organizations and groups within the last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onator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perceive that donations regardless of amount of money were not active across the society but perceived that they themselves were more concerned about donations or that they themselves would be more likely to donate in the futu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with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y were more or less satisfied with donation,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enhance donators' satisfaction with their don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donators' satisfaction with dona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cademic background, religious status, experience of other family members' donation and annual amount of donation. Third,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donators' trust of donatories, it was found that they trusted the donatories more than normally, while such trus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academic background, religious status, monthly income and annual amount of don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onators' intention for future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y intended less for further donation, and such inten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cademic background, religious status, scale of asset, experience of other family members' donation and annual amount of donation. And the higher their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donation were, and the higher they were satisfied with donation and the higher they trusted the donatories, they were more likely to donate further.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donators' opinions about improvement of the donation culture, they thought that donated money should be used in a transparent way, and that donators should benefit from a legal or institutional mechanism or tax incentive. Give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or activation of donation were put forwards; First, donatories should be more transparent, professional and trustworthy. Second, donations of high amount of money should be induced formally and systematically. Third, the dona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human relationship. Fourth, big donators should be recognized socially. Fifth, a long-term approach to donation and PR and marketing efforts are required. Lastly, it is deemed necessary to publicize big donations to the public to enhance the social recognition of big donations and at the same time, justify the big fund raising.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for donation and thereby, suggested some empirical data required for management of the big funds donat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