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 0

타운하우스 개념의 전원주택단지에 관한 연구

Title
타운하우스 개념의 전원주택단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ural Housing Complex of a Townhouse Concept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Rural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t Yangji-myon, Cheoin-gu, Yongin-si
Author
최성희
Alternative Author(s)
Choi, Seong Hee
Advisor(s)
남윤봉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50-60대 이상의 부유층에 한정되었던 전원주택에 대한 선호가 최근 40-50대의 장년층과 20-30대의 젊은층까지 폭넓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田園住宅 需要層의 확대는 도시 거주자들의 소득수준 향상, 자동차보급 급증, 광역교통망 확대, 주5일 근무제 실시 등의 원인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일"과 "최소한의 휴식" 중심에서 "건강"과 "행복한 삶" 중심으로 사람들의 價値觀이 변화하고 있으며, 일상생활 공간의 중심이 도심에서 자연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렇듯 변화하는 최근의 추세 속에서 1990년대 이후 도시 거주자들의 전원주택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 초부터 시작된 "웰빙" 열풍이 건강을 추구하는 自然親和的 전원주택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고 보고, 자연경관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인간과 자연과 집이 함께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타운하우스 개념을 도입한 田園住宅團地의 計劃 및 開發方案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7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월 31일까지 전원주택이 가장 많이 조성된□□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일대의 전원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현지 개발사례 조사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 낸 연구의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계획수립 단계에서 건축전문가는 단지 전체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설계부터 시공-준공 및 유지-관리까지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단지의 환금성을 유지한다. 둘째, 다양한 건축설계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조경설계로 그 지역에 맞는 수목을 식재하여 단지 내·외부를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한다. 셋째, 타운하우스 개념을 도입하여 클럽하우스, 공원, 놀이터 등 테마별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단지내 주민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安定的이고 高級化된 전원단지를 만든다. 넷째, 분양하는 토지 및 건축면적, 단지 세대수, 공동 시설 등 단위주거 및 단지계획은 消費者의 요구를 철저히 수용한다. 본 연구는 조사지역이 한정되고 사례수가 많지 않아 전원주택 생활의 특징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타운하우스의 개념을 적용한 건강한 미래형 전원주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건축소재의 도입 필요성과 자연환경 보존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되고 있음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意義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원주택의 질적 향상은 물론 과밀화된 대도시의 양적 주택부족 문제해결과 지역균형발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計劃的으로 建築을 시공하고, 친환경소재를 활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다양한 건축모양과 형태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예술적 공간 및 건강한 주거공간으로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발전은 새로운 주거환경을 토대로 지역실정에 맞는 건강하고 未來指向的인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mands for the rural houses which were limited to the rich people in 50's and 60's have been much increasing lately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even in their 20's and 30's. Such expanding basis of demands for the rural houses seem to be attributable to urban dwellers' improving income level, rapid distribution of automobiles, expanding wide-area traffic networks, five weekdays, etc. Such phenomenon may well reflect people's value system shifting from "work" and "minimum recess" toward "health" and "happy life" as well as the trend of living space changing from downtowns to the nature. Amid such trends, the demands for rural hous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mong urban dwellers since 1990'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the ways to plan and develop the rural housing complexes of a townhouse concept minimizing damages to the natural landscape and striking a harmony between men and na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fever of "well-being" ignited since early 2002 has been creating the demands for the health-oriented and nature-friendly rural hous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the rural housing complex at 'Yangji-myon,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where the rural houses have been built most in the region for the period from October 1, 2007 until January 31, 2008, and thereupon, surveyed the cases of rural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rchitects should master-plan the whole complex at the earlier stage of planning and thereby, ensure the profitability of the development project by systematically developing the complex through the entire processes of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cond, the rural housing complexes need to be designed in diverse ways, and the landscape needs to be designed aesthetically. In particular, the trees and plants adaptable to the area should be transplanted, whil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lex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and managed. Third, a concept of townhouse needs to be introduced to provide for such thematic public spaces as club house, park and play ground, so that the reside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veniently in the complex. In a nutshell, the rural townhouse should ensure a stable and decent life. Fourth, the unit household and entire complex plans should reflect residents' needs effectively in terms of site and building areas, number of the households and public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limited to be generalized because the sample area was limited. However,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d a concept of townhouse to the rural housing complex and thereby, suggested a model of healthy and futuristic rural housing complex, while theorizing the needs for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how the rural houses should be improved qualitatively, how the shortage of the houses in the dense metropolitan areas should be solved and how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regions should be realized. If the rural houses should be planned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should be used more, more diverse architectural models and forms for rural houses would be derived and therefore, rural houses would evolve into artistic and healthy living spaces. It is expected that such approaches and efforts would result in creation of healthy and futuristic rural housing complexes in a new living environment befitting the regional condi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