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0

創意的인 뉴타운 具現을 통한 서울市 競爭力 提高方案에 관한 硏究

Title
創意的인 뉴타운 具現을 통한 서울市 競爭力 提高方案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lternatives to Strengthen Competitive Position of Seoul City Through Creative New Town Projects : Focused on the New Town of Eunpyeong
Author
장영태
Alternative Author(s)
Jang, Young Tae
Advisor(s)
조성민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주택재개발사업은 1983년부터 주민, 주택건설 사업자, 공공기관 등 주택재개발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효율적이라고 생각되었던 합동재개발방식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합동재개발방식은 대도시의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공급에 기여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반면, 개별적 주택재개발 사업방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난개발 등의 폐혜도 나타나게 되어 2000년 이후에는 합동재개발방식을 개선한 보다 새롭고 효율적인 재개발사업방식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편 서울시 뉴타운 사업과 균형발전촉진지구 사업의 시작은 1960년대 말 강남개발사업으로서 수도권재배치법 등을 통해 강남지역으로 도로, 학교 등 집중적인 기반투자가 이루어짐에 따라 강북의 인구이전을 촉진하였다. 이에 따라 지방세 재원의 불균형, 기반시설 및 교육환경의 양적 ·질적 양극화 등으로 강남 ·북간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이와 같은 불균형의 심화는 결국 지역간 ·계층간 갈등으로 안정적인 사회유지와 복지사회 실현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개별적 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사회적 불균형의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서울시는 2002년부터 강남 ·북 균형발전이라는 정책목표와 함께 기반시설 수용용량을 고려한 개발밀도,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하고 지역주민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복지측면 고려, 주거단지의 질적 제고와 사회통합형 개발을 지향하는 광역적 도시재개발 사업으로서 뉴타운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뉴타운 사업 추진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천문학적인 재원의 투입, 뉴타운 개발완료시까지의 주거불안 등 반대급부성 사회적 비용이 크고, 향 후 반세기 이상 서울시의 얼굴로 존재할 주요자원을 구현하는 뉴타운 사업이 「국내 특정지역(서울시)의 균형발전」과 「주거환경 개선」이라는 소극적인 비전과 목적으로 축소되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뉴타운 구현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프로젝트로 서울시 뉴타운 사업의 비전을 확장해 보고자하며, 이를 위하여 은평뉴타운을 중심으로 추진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해보았다. 또 외국의 신도시 및 도시재개발 사례를 통해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뉴타운의 가치와 역할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뉴타운 사업의 성공과 실패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창의적인 국제도시로서의 서울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2장 서울시 뉴타운 사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뉴타운 사업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제3장 외국의 사례에서는 두바이, 꾸리찌바, 프라하, 타마 신도시 등 세계 주요도시의 사례를 통해 창의적인 도시구현 요소를 부문별로 살펴보았다. 제4장 은평뉴타운 사업의 추진현황에서는 시범뉴타운으로 가장 빠른 진척현황을 보이고 있는 은평뉴타운 사업의 개발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제5장 은평뉴타운의 창의적 구현방안에서는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과 단계적으로 추진예정인 타 뉴타운 사업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과 사례의 분석을 통해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로서 창의적인 뉴타운 구현 및 이를 통한 서울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뉴타운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뉴타운 사업의 궁극적인 비전과 목적을 확대해야 한다. 주거환경개선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뉴타운 사업의 비전을 확대 정의하여 투입된 사회적 자본의 효과성을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적인 뉴타운을 구현해야 한다. 전통적이고 독창적인 뉴타운 구현을 통해 물질적 유한성을 뛰어넘는 무한한 문화도시를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할 것이다. 셋째, 뉴타운 클러스터(Cluster) 구축을 통한 광역적 개발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2,3차 뉴타운의 사업계획수립이 완료되면 많은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뉴타운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인근 뉴타운간 광역적 개발계획에 기초한 기반시설의 공유로 규모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효율적 문화도시로서의 Network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넷째, 미래의 인구변동 현황을 반영한 지속성장 가능한 도시발전 방법론으로 뉴타운 사업을 승화시켜야 한다. 노인인구의 변화 및 직주근접 선호현상을 고려한 뉴타운 계획 및 구현을 통해 지속성장이 가능한 도시기반시설의 구현으로 사업의 성격과 계획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서울시 뉴타운 사업은 주거환경 안정목적뿐 아니라 국제적인 도시경쟁력 강화 프로젝트로 비전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전통적이고 독창적인 뉴타운 구현을 통한 새로운 가치창조, 주변 뉴타운간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광역적 개발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그리고 미래의 인구상황을 고려한 지속성장이 가능한 도시구현의 수단으로 뉴타운 사업의 승화 및 민 ·관이 공동으로 참여한 용의주도한 계획에 기초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입주민의 만족도 극대화 등 창의적인 도시개발 방법론으로 뉴타운 사업을 추진하여 경쟁력 있는 국제도시로서의 서울시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Housing re-develoment projects had been initiated in Korea since 1983 in a joint re-development format that was then regarded as efficient to all interested parties, such as residents, housing project developer and government agencies. While the joint development format generated several merits of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and increasing house supplies, it also revealed negative sides of inherent difficult development procedures, thus resulting in the need in early 2000s for more productive and efficient format that may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the previous joint format. City of Seoul, capital of Korea, started New Town Project and Balanced District Development Promotion Project in late 1960s with Gangnam (South of the Han River)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Metropolitan Re-placement laws, which attracted migration of people living in Gangbuk (North of the Han River) to Gangnam with heavy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roads, schools and etc. At present, the considerable migration and investment in Gangnam encountered serious imbalance in local tax revenues and in quality and quantity of social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between Gangnam and Gangbuk districts. These deep-rooted imbalances eventually raised conflicts among districts and residents, with potentials of creating societal problems to resolve if Seoul would be a stable city with higher quality of living and better standard of wealth. As alternatives to breaking the district imbalances and resolving individual re-development projects, City of Seoul has since 2002 implemented New Town Projects with its policy objectives of balancing developments between Gangnam and Gangbuk districts. The New Town Projects were comprehensive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hat focused on building sufficient infrastructure per capita to meet demand capacity, improving quality of living for district residents, which should be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and upgrading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s in a consistent and integrated manner. However, with an excessive lead time to reach consensus on the New Town Projects, astronomical costs associated with them, and housing security concerns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s, the New Town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with narrower vision and passive objectives, such as "Balanced Development in a Specific Region (Seoul) in Korea" or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even though the Projec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creating better images of Seoul for the fifty years to come. This research looks into several alternatives to strengthen a competitive position of Seoul through creative New Town Projects, and later to help Korea be more competitive in international markets. In particular, the research reviewed implementation stages and debating issues around Eunpyeong New Town in western side of Seoul, investigated foreign cases of new city developments and city re-developments to confirm important values and roles of New Town that may help a country build up comparative advantages, and analyzed successes and failures of New Town Projects in Korea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Seoul. Several analyses are conduc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each of chapters in this research. Chapter 2 (Theoretical Review of New Town Projects by Seoul) describes fundamental concepts around the New Town Projects, and Chapter 3 (Success Cases in Foreign Countries) points out creative success factors from major international cities on several continents, which are Dubai in United Arab Emirates, Curitiba in Brazil, Prague in Chec Republic, and Tama in Japan. Finally, Chapter 4 (Implementation Stages of Eunpyeong New Town Project and Its Creative Alternatives) tracks history of the Eunpyeong New Town Project, a fast-track and exemplary new town, and discusses problems encountered in the stages, and proposes constructive recommendations for other new town projects already planned or to be proposed in future. Through theoretical reviews and analyses of case studi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in order for Seoul to implement creative new town projects and strengthen competitive positions in international marketplace. First, New Town Projects must be planned and implemented to define and show clear visions and goals for all interested parties. By defining clear visions and goals, the Projects will help Korea establish more competitive positions, as well as simply improve housing environments, thus maximizing the value of infrastructure investments, or tax payers' money. Second, policy makers need to make sure that New Town Projects should be creative enough to differentiate Seoul from other international cities. New values will be created by building cultures of Seoul upon tradition and creativity, well beyond limitation of simple materialism. Third, potential synergies must be maximized by establishing new town cluster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networks among them. Once second and third stages of new project plans are approved for new town candidates in Seoul, other New Town Projects are expected to move on concurrently in several districts in future. When organized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s are established for neighboring new town clusters, it will help maximize synergy values by sharing infrastructure among the clusters, and also build a stronger network to be a more interactive cultural city. Fourth, New Town Projects must have a long-term view to reflect future population demographics and sustain growth of City of Seoul. In particular, the Projects should take more active positions in implementing their plans and objectives, for example, taking into account increased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and their preference to living closer to amenities and conveniences. In conclusion, City of Seoul must focus New Town Projects on showing clear visions of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 global position as well as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creating new values built on traditional and creative new towns, maximizing synergies of shared infrastructure among adjacent town clusters, taking more active plans towards sustainable growth of Seoul in line with changing demographics, and finally provide high level of satisfaction to residents with most efficient and organized implementation plans based on consensus among all interested parties, whether private or public.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