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5 0

향 요법 손 마사지가 시설노인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Title
향 요법 손 마사지가 시설노인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romatherapy and Hand Massage on Anxiety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Author
김현숙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Suk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의료기술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사회 환경적 변화로 노인의 시설입주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 입주는 노인에게 낯선 환경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정 등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시설노인의 불안과 관련된 간호중재가 요구되어진다. 향 요법 손 마사지는 간호 실무에서 심신 안정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되어지고 있어 시설노인의 불안 완화를 위한 중재로 적합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향 요법 손 마사지를 적용한 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시설노인의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Design)의 유사 실험 연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7월 11일 부터 10월 19일 까지였다. 연구대상자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으로 총 51명을 임의 선정하였으나 3명이 탈락하여 최종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48명이며 실험군 I 19명, 실험군 II 16명, 대조군 13명이다. 연구도구는 Zung(1971)이 개발한 자가보고형 불안척도(Self-rating Anxiety Scale: SAS)를 이중훈(1996)이 번안한 20개 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α .9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 Chronbach's α .86, 사후 Chronbach's α .84이었다. 실험군 I은 향유 라벤더 3, 케모마일 2로 케리어 오일인 호호바 오일에 2%로 희석한 후 매번 5ml를 사용하여, 이선영(2004)에 의해 수정ㆍ보완된 M-Technique를 적용하여 각각 5분씩 향 요법 손 마사지를 양손과 전완부에 1일 1회, 1주 5회, 2주 동안 총 10회 시행하였으며 실험군 II 는 호호바 오일을 이용한 마사지를 실험군 I에 적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무 처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test, ANOV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제 1 가설. “실험군 I은 실험군 II보다 중재 후 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 = 2.29, p2 = .033). 제 2 가설. “실험군 I은 대조군보다 중재 후 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 = 3.40, p2 = .044). 제 3 가설. “실험군Ⅱ는 대조군보다 중재 후 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2 = .98, p2 = .34) 본 연구결과 향 요법 손 마사지 간호중재가 시설노인의 불안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어 시설노인의 불안 감소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접근의 연구와 함께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에게 노인의 상태를 고려한 후 향 요법 손 마사지를 적용하면 만성질환 및 낯선 환경 등으로 인한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therapy and hand massage on anxiety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Method o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1 to October 19 in 2007. A total of 51 subjects conveniently sampled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each subject was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Three subjects dropped out, and 19 subjects remained in experimental group I, 16 in experimental group II and 13 subjects in control group. Hand massage with Aromatherapy was administrated to experimental group I, hand massage with jojoba oil to experimental group IT, and no treatment to control group. The treatment was applied for 10 minutes a day and a subject, five days per one week during two weeks. Research measurements used were anxiety scale adapted by Lee Jung-Hun(1996), Self-rating anxiety scale by Zung(1971).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program(version 12.0). The analysis methods were Chi-square test, ANOV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The detail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ypothesis 1, the degree of the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I would be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al group II after intervening." was supported(t₂ = 2.29, p₂ = .033). The hypothesis 2, " the degree of the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I would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intervening." was supported(t₂ = 3.40, p₂.044). The hypothesis 3, " the degree of the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II would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intervening." was rejected(t₂.98, p₂=.34). Since this study verified that hand massage with aromatherapy was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reducing the anxiety, it is expected that hand massage with aromatherapy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on subjective anx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DEPARTMENT OF CARE & CASE MANAGEMENT(임상사례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