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8 0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

Title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
Other Titles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Author
김미란
Alternative Author(s)
Kim, Mi Ran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간호전문직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들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전문직관 정립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의 질 향상을 가져오며, 간호전문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에 근무 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총 141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4월 10일부터 2008년 4월 26일 까지 총 17일간 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Hall(1967, 1968)이 개발하고 Snizek(1972)이 수정한 전문직업성 척도(Hall's Professional Inventory)를 백희정(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60이었고, 본 연구에서 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 .776 이었다. 간호업무수행은 Schwirian (1978)이 개발한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도구를 김명화(1985)가 번역한 것을 수정?보완한 52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901- .978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5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owin(2002)이 개발한 간호사 재직의도 측정도구(Nurses' Retention Index)를 김민정(2006)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97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00 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WIN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일반적 특성,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 재직의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순위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 재직의도간 차이는 ANOVA, t-test를 시행하였고, Scheffe test로 추후검증하였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efficient를 구하여 검증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Coefficient을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25세 이하가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더 많았으며, 종교는 무교, 최종학력은 3년제 대학 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현직위는 평간호사가 대다수였고, 근무부서는 내과병동, 경력은 5~10년이 가장 많았으며 이직경험은 없는 대상자가 대다수였다. 2) 임상간호사들의 간호전문직관은 125점 만점 중 77.77±5.78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가장 높았고, 전문조직에 대한 준거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상간호사들의 간호업무수행은 260점 만점 중 192.62±22.89 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위기간호가 가장 높았고, 교육 및 협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임상간호사들의 재직의도는 48점 만점 중 28.70±8.75점으로 나타났다. 5)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호업무수행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 종교, 학력,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직의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력, 경력,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수행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재직의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의 발전은 간호에 대한 시대의 요구가 존재할 때 이루어 질 뿐 만아니라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 정립은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간호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제공한 간호에 대해 간호사가 직업적 만족을 얻으며 대상자로부터 간호의 진면모를 인정받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간호전문직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킨다면 간호업무 수행은 물론 재직의도를 높여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하여 환자에게는 보다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사들에게는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간호조직의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유지를 증대시켜 간호전문직관의 정립과 함께 조직전체의 성과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of clinical nurses, who were in charge of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nursing on the front line, to search for the ways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for higher nursing quality, and to provide some basic data to increase their intention of retention, which w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growth of their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include total 141 clinical nurses convenience sampled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or total 17 days from April 10 to 26, 2008. Adopted to measure their professionalism was Hall's Professional Inventory developed by Hall(1967, 1968), revised by Snizek(1972) and translated by Baek Hee-jeong(2007). Their nursing performance was measured on the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developed by Schwirian(1978), translated by Kim Myeong-hwa(1985),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o have 52 items by the investigator. And their intention of retention was measured on the Nurses' Retention Index developed by Cowin(2002) and translated by Kim Min-jeong(2006). Using the WIN SPSS 1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rank, ANOVA, t-test,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 Coefficien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biggest portion of them was aged 25 or under, single, had no religion, and graduated from a three-year college. Most of them were staff nurses and had no experience of moving to another hospital. And the biggest number of them worked in internal medicine and had a career of 5-10 years. 2) The subjects scored 77.77±5.78 points out of 125 for their professionalism. Their scores were the highest in the calling for their job and the lowest in their conformity to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3) They scored 192.62±22.89 points out of 260 for their nursing performance, earning the highest points in crisis nursing and the lowest in education and cooperation. 4) They scored 28.70±8.75 points out of 48 for their intention of retention. 5) The differences in their professionalism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care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ir intention of reten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department. 6)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7)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intention of retention. In conclusion, if their professionalism is improved in a positive manner, clinical nurses will be able to enhance their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and thus provide efficient nursing performance. The patients will then receive more quality nursing, and the clinical nurse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knowledge and techniques. And once the nursing organization secures a great pool of talents and maintains it, it will establish professionalism and increase its achievements as a whol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DEPARTMENT OF CARE & CASE MANAGEMENT(임상사례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