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8 0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인식, 지식과 실천

Title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인식, 지식과 실천
Other Titles
Oral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Author
원재희
Alternative Author(s)
Won, Jae-hee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없거나 의료기관 접근이 어려운 의료계층에 대한 사회적 안정망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방문건강관리인력은 가정방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문건강관리사업 운영의 포괄적 영역에 참여하면서 이들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대부분의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는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없는 독거노인, 거동불능자, 만성질환자들로 등록되어 관리되어 있으며, 저소득층의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대상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을 고려할 때에는 여러가지 기능상의 변화를 고려하지만 그 중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영양섭취와 소화에 관계되는 치아상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노인은 스스로 건강증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행하려고 노력하지만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지식은 많이 부족하다. 특히,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이 되는 노인의 경우 신체기능의 약화 및 만성질환 등의 건강상태 변화로 구강건강행위 실천에 다양한 정도의 제약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게 구강건강증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실행하려는 노력과 실천을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 혼자 힘으로 구강건강관리가 어려운 노인들의 경우 그들을 대신하여 적극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실행하는 데에는 방문건강관리인력의 역할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지역사회의 노인을 돌보는 방문건강관리인력을 대상으로 이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지식, 실천행위를 파악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의료보건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건강관리인력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인식,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실천을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구강건강인식과 지식, 그리고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인식,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1개 특별시와 6개 지방도시에 소재하는 17개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수행하는 방문건강관리인력 163명을 편의 추출하여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해 2008년 4월 8일에서 4월 26일까지 총 18일간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Chi-square test, t-test, ANOVA를 실시, Tukey로 추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건강관리인력의 대부분이 여자가 96.9%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연령은 평균 39세였다. 직종은 간호사가 73%로 가장 많았으며 보건의료직경력으로는 5년 미만이 37.4%, 방문보건경력으로는 1년 미만이 36.2%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구강건강인식은 97.5%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구강건강을 위한 수행사항으로는 39.3%가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하였다. 다른 구강건강문제와 비교할 때 구강건강 중요성은 93.3%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본인의 구강건강문제로는 40.5%가 치아우식증이라고 응답하였다. 구강건강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는 58.3%로 규칙적인 칫솔질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가장 심각한 구강건강문제로는 50.9%가 치주질환으로 응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구강건강지식에서 치주질환의 원인, 예방, 증상 등에 대한 문항은 67%이상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치아우식증에 대한 불소의 충치예방효과, 충치예방법 등에 대한 문항은 68%, 일반치과지식에 대한 문항은 68.4%이상의 정답률을 보였다. 넷째, 구강건강실천은 예방목적으로 치과방문을 하는 대상자가 50%이상, 치료를 위해서 60.1%가 치과방문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석제거는 46.6%가 정기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과치료이용을 89.6%가 종합병원?치과(병)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질의 경우 3회 이상은 89.5%, 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치실을 58%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칫솔질 방법으로 회전법을 시행하는 대상자는 46%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인식의 검증에서 구강건강중요성은 학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구강관리 중요요인은 성별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냈다. 구강건강의 심각한 문제요인은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근무지역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식은 연령, 근무지역, 보건의료직 경력에 따라, 구강건강실천은 방문보건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여섯째, 구강건강인식에 따른 구강건강지식에 대한 검증은 구강건강중요성에 따라 일반치과지식점수와 구강건강의 심각한 요인에 따라 치주질환, 지식총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실천에 대한 검증은 구강건강중요성에 따라 칫솔질실천점수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구강건강지식의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일반치과지식의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구강건강지식 총점수가 높을수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일반치과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천칫솔질 점수와 실천치과방문 점수 간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천점수가 높을수록 치과방문과 칫솔질의 실천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간의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대상자를 위한 구강건강관리라는 실질적인 접근으로 방문건강관리인력의 역할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인식, 지식과 실천을 기초로 하여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구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관리 내용을 제시하여 방문건강관리사업을 담당하는 인력의 실천적 측면의 교육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ubjects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may experience varied degree of restrictions in their oral health behavior because of deteriorated physical functioning and health conditions due to health problems such as chronic diseases. The role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therefore, seems very important in providing their subjects, particularly the aged who find it difficult to practice oral care by themselves, with active oral health care for them as well as letting them aware of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oral health and promoting their effort and behavior of practicing it. This study aims to promote concerns of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in Public Health Medical Service Center on oral health and improve their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ir current oral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and identifying correlations among them. Total of 163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working at 17 Public Health Medical Service who are performing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using questionnaires during the 18 day period of April 8 to April 26 in 2008 and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OVA, Post Hoc test by Tukey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dows 14.0 program, of whic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oral health perception tests using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educational background as well as between major oral health factors and gender. The serious factors for oral health showed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locality of the visiting health providers. In the tests using general characteristics on oral health knowledge, age, location and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 while experience in visiting health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oral health behavior. Second, in the tests on oral health knowledge relative to oral health percep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eneral dental knowledge points depending on the knowledge i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in periodontal disease and total knowledge points depending on the knowledge of the serious factors for oral health. The tests on oral health behavior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brushing behavior poin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ird, the points of knowledge in periodontal disease, dental caries and general dental knowled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knowledge. As the result, the knowledge in periodontal disease, dental caries and general dental knowledge was high as the total points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There was als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oth- brushing behavior point and dentist visiting behavior. The higher its behavior point, the higher the behavior points of dentist visiting and tooth-brushing. 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correlation among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the role of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would be enhanced by employing practical approaches to oral health care. Based on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the plans for oral health care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al health of the subjects of visiting health care should be suggested and continuou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variety of behavioral training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are necessar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8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DEPARTMENT OF CARE & CASE MANAGEMENT(임상사례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