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아-
dc.contributor.author정희숙-
dc.date.accessioned2020-04-06T16:44:02Z-
dc.date.available2020-04-06T16:44:02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7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01en_US
dc.description.abstract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화시대를 맞아 노인들에게는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보장하고, 가족들에게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도입된 사회보험제도로 2008년 7월부터 시행된다.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를 앞두고 농촌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다. 당진군 보건진료소 15곳의 실수급대상자 노인을 편의 추출하여 2008년 3월 29일부터 4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여 최종 305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Andersen & Newman(1973) 의료서비스 이용행위모형을 연구의 개념틀로 설정하고, 관련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이용해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소인성 요인을 확인한 결과 성별은 여자가 64.4%, 평균 연령은 72.96세였고, 결혼 상태는 배우자 있음이 64.8%, 사별이 34.2%였다. (2) 대상자의 이용가능 요인을 확인한 결과 몸이 아플 때 어려운 점으로는 치료비가 문제된다가 29.3%였고, 아플 때 주 간호자는 배우자가 52.9%였고, 월 평균 소득은 67만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필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현 건강상태는 나쁘다 47.3%이며,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은 관절염?신경통이 56.1%로 가장 높고, 질환을 1개 이상 보유한 대상자가 38%로 높고 평상시 건강관리 행위는 음식섭취조절이 가장 많았고 , 평상시 건강관리 행위 수는 1개가 44.9%였다. (4) 대상자의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를 확인한 결과 본인이 대상자 경우 재가 급여서비스를 이용하겠다가 6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가 대상자 경우 재가급여서비스를 이용하겠다가 50.2%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소인성 요인과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대상자가 배우자 경우 성별, 연령, 결혼 상태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6) 대상자의 이용가능 요인과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대상자가 배우자 경우, 이용가능성 모든 요인 몸이 불편할 때 어려운 점, 아플 때 주간호자, 월 소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대상자가 본인 경우 월 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7) 대상자의 필요 요인과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배우자가 대상자 경우, 평상시 건강관리 행위 수와 앓고 있는 질환 수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연구 결과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와 관련이 있는 변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도시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를 조사하여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노인의 신체건강상태 이외에, 정신적, 정서?사회적 건강상태와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 간 관련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hat to find out intention of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the fact which affects those results befo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comes into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is based on analysis of 305 abstracted finding of over 65 years old elderly between 29^(th) March 2008 and 15th April 2008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in Fang-Jin Gun. Andersen &Newman (1973)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was used as the tool for the study and got the result from variable factors of quotations. Gathered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gender for predisposing factors was 64.4%, and average age was 72.96, and marriage status was having partner 64.8% and divorced 34.2%. (2) The result of enabling factors of applicants that firstly, 29.3% of applicants have issues of medical treatment fee, when they are sick or ill. Secondly, 52.9% of applicant's partners look after when they are sick. Thirdly, average income per month was 670.000won. (3) The need factors of applicants were current health condition is bad was 47.3%. currently they are suffering from arthritis·neuralgia are 56.1% which is the highest, applicants who have more than 1 disease was 38%. Consuming food is the highest and the most common method for health care, 44.9% said generally have 1 method for health care. (4) The finding of the intend to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is that when the person in question is one of applicants, 69.2% said they would used in-home service. However, when the person in question is their partner, 50.2% said they would use in-home service. (5)The result of that whether there is any relevance of predisposing factors of applicants and long-term care service is that similar relevance was found depends on whether their partners are the applicants and gender, age and marriage status. (6) The result of that whether there is any relevance of enabling factors and intent to use long-term care service, When their partners are the applicants, there was relevance among all the fact of intent to use, people who look after them when they are sick and monthly income. When the person in question is himself, monthly income was considered. (7) The result of relevance of need factors and long-term care service intent to use is that When the applicants are their partners, there is a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disease which are currently disease from and behavior for health ca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verified the variable relevance factors with intent to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There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First, It is recommended to compare about intent to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between urban elderly and this report. Second, It is suggested to figure out the relevance between spiritual, cultural, emotional, social health condition and intent to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as well as body condition which was mainly came up to this stud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농촌지역 노인의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의사-
dc.title.alternativeIntend to use the long-term care service among rural elderl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희숙-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g, Hee Su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임상사례관리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임상사례관리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