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지성-
dc.contributor.author위지윤-
dc.date.accessioned2020-04-06T16:41:08Z-
dc.date.available2020-04-06T16:41:08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2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34en_US
dc.description.abstract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직접 음을 차단하고 소음저감 효과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 차도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공해를 막아주어 도시환경을 윤택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도로와 생활환경을 구분 짓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방음벽은 규모가 크고 높이가 높아 도시미관에 상당한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자인적으로 다양성을 접목한 방음판이 제작되고 있으나 그 활용이 도심 속 주거지역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고속도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속도로의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요소인 방음벽이 소음절감이라는 기본적 기능과 더불어 지역적 특성을 내포하면서도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대상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그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통해 고속도로의 방음벽이 지역적 정체성을 갖고, 그 시각환경에서 오는 심리적 ․ 신체적 영향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로 단행본, 학위논문, 정기간행물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소음과 방음시설, 공공디자인과 환경색채, 슈퍼그래픽의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현장조사와 웹사이트 조사를 통한 고속도로 방음벽의 시각환경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문제점 분석을 통해 지역특색에 맞는 이미지와 심리적 영향이 부여된 색채계획을 진행하여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도로의 7개 기점 중 서울, 수원, 오산, 천안 4개의 기점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통하여 지역적 특성이 없고 디자인이 획일화되어 일률적이며, 형태와 색채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않아 시각적 ․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갖는 등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슈퍼그래픽과 색채를 활용하였다. 슈퍼그래픽을 통하여 지역적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지역의 광고적 성격과 정보전달 기능을 갖게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색채계획을 통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심리적 기능을 갖는 방음벽이 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지역의 상징물을 통해 지향하는 특징적 단어를 찾아 I.R.I 컬러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지역의 대표 색을 추출한 후 색의 연상과 상징, 특성과 효과, 신체적 ․ 심리적 영향 등의 색채의 기능과 접목하였다. 이를 연구 대상지의 8개의 방음벽에 적용하여 각각의 방음벽이 고유의 지역색을 드러내고 타 지역과의 차별성를 가지며,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게 하였다. 앞으로도 고속도로 방음벽의 문제점을 살피고 그를 통한 시각환경의 개선방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한다면, 고속도로의 시각환경은 더욱 쾌적하고 편리하게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a noise barrier is an exterior structure designed to exclude sounds and mitigate noise. That serves to embellish urban surroundings by preventing noise pollution, and that draws a line between roads and living spaces. At the same time, however, a noise barrier contributes to spoiling the beauty of an urban community due to its large size and height. Acoustical boards are being designed in a diverse way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 of noise barriers, but the boards are installed mostly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have little impact on improving the environments of superhigh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improve sound barriers into highly efficient and good-looking components of highway scenery with unique local colors. It's specifically meant to boost the local identity of acoustical barriers and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cal impact on passerb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literature including books, thesis, dissertations and periodicals were review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soundproofing facilities, public design, environmental colors and supergraphic. Second, an on-the-spot survey and website search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visual surroundings of highway noise barriers and problems with them. Third, in which way highway sound walls could be improved by selecting colors in consideration of local features and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different colors was explored after making a close analysis of the problems with highway noise barriers. The on-the-spo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four out of the seven cardinal points of the Seoul-Busan Expressway: Seoul, Suweon, Osan and Cheonan. And there appeared several problems with the visual environments of that expressway: a lack of local colors, uniform and stereotyped design, and disharmony with the circumference in terms of form and color. All the problems resulted in producing negative visual and psychological effects. To turn around the situation, supergraphic and color planning were utilized. The supergraphic was used to highlight the local symbolicity of the expressway and to improve the function of it as a billboard and information conveyor, and the color planning was carried out in a manner to bolster its psychological effects and harmony with the circumference. An I.R.I. color system was employed to check into the symbols of the selected regions and particular words characterizing the symbols in order to determine unique colors for the areas, and then the eight noise barriers selected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represent the local colors of the region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other regions and to produce good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s by applying the chosen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association, symbol, features, effects and physical/psychological impacts. In the future, prolonged efforts to keep an eye on the visual environments of highway noise barriers and seek out workable reform measures will contribute to stepping up the development of superhighways and boosting their pleasantness and convenienc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공디자인으로서 고속도로 방음벽의 시각환경디자인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uggestions of Design for the Visual Environments of Highway Noise Barriers as Public Desig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위지윤-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Wi, Ji Youn-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디자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시각디자인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DESIGN[E](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