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4 0

건물 전면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건물 전면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 Analysis of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llow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Author
조원경
Alternative Author(s)
Cho, Won Kyung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의 공공공간은 도시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중요한 도시공간의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시 내 넓은 공원 부지를 확보하여 조성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작은 규모의 도시 소공원 또는 건물 외부의 공공공간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고 있으며, 건물의 전면공간은 의도적으로 계획된 외부공간의 한 형태로 시민 여가활동의 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건물의 전면공간은 공공규제로 인해 형식적으로 조성되어 양적인 확보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관리 없이 방치되어 매력이 없는 공간,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없는 공간으로 조성되고 있어 본래의 취지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조성된 전면공간을 대상으로 구성 특성별 유형을 분류해보고, 유형별 이용자들의 공간 이용 행태와 만족도가 높은 물리적 구성 특성 요소들에 대한 고찰로 향후 도시 내 전면공간의 조성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전면공간의 유형구분을 위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테헤란로에 조성된 건물 전면공간의 현황분석을 통해 파악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대지 내 위치 및 설치유형 요인, 휴식 및 편의시설 요인, 조경 및 수경시설 요인, 환경조형물 및 조명시설 요인- 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4개의 요인 중 주성분의 설명력이 60%이상인 성분, 즉 대지 내 위치 및 설치형태, 휴식 및 편의시설 성분을 축으로 설정하고 4분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총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별로 조사대상지를 선정하여 관찰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용실태 및 특성을 통한 이용행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불특정 다수인 보행자를 위한 공공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건물 전면공간의 조성 취지에 맞도록 조성하기 위해서는 접근이 편리하고 이용이 자유로운 위치에 전면공간을 조성해야 하며, 사람들의 활발한 이용으로 인한 다양한 행위와 공간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한 높은 이용 빈도, 체류시간을 위해서는 다양한 휴식 및 편의시설 위주의 시설물 조성이 필요함을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건물 전면공간의 공간 사용 목적은 동료와의 대화, 단순 휴식, 흡연 및 음료 섭취 등으로 나타나고 있어 건물의 전면공간이 휴게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 번째 단계로는 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조성될 건물 전면공간의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제적 이용에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는 전면공간의 대지 내에서의 위치 또는 설치형태, 저층용도에 의해서가 아닌 보다 직접적으로 이용에 편리를 느끼게 되는 휴식시설 및 편의시설에 의해 증가한다고 나타낼 수 있어 다양한 시설물의 구성이 전면공간 조성 시 중요시 해야 할 요소이며, 시설물의 다양한 구성 뿐 아니라 보도에서의 이용 및 접근이 용이한 위치 및 설치 또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물 전면공간의 실질적인 이용자들의 행태 분석과 전면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개선 방향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추후 전면공간의 합리적인 관리 및 조성 방안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blic spaces in cities have a close relation with citizens’ living and are an important constituent of city spaces as a community space. Specially, an interest for small-scale city park or external public spaces of a building is being increased sinc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d form a broad park site within a city. A front space of a building is contributing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city environment as well as playing a role as a field of citizens’ leisure activities in a form of an external artificial space. The front space of such a building is being secured quantitatively since it is being formed formally by public regulations. Thus, it has been an unattractive space since it has been left alone without a continuous management or is not utilized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since it is formed to be a space not considering users. Therefore, the study proposed improvements to form the front space within a city in the future by classifying types by each characteristic of composition with currently formed front spaces an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hysical composition followed by users’ space use behavior and high satisfaction. To grasp characteristics to classify types of the front space, the study carried out the factor analysis and the main component analysis. As the results of analyzing factors on the basis of data grasped through the status analysis of the front space of buildings constructed in Teheran Street now, four factors ? A factor of position and location within site, a factor of rest and convenient facilities, a factor of landscape and hydroponic facilities and a factor of environmental sculpture and lighting facilities- were analyzed. The study set up components with main component’s explanation power of more than 60%, namely a form of position and installment within site and rest and convenient facilities as an axis and carried out four-side analysis. As the results, the study classified it into the total four types.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survey after selecting sites for survey by each type, the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f use behavior through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se. The front space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place convenient to approach and liberal to use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as a public space for many and unspecified walkers. The study grasped through analysis that it was necessary to make various behaviors by active uses of people possible and to construct various rest and convenience-centered facilities for high use frequency and high stay time by convenience. Also, the study grasped that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played a role as a rest space most since people used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for conversation with their co-workers, simple rest, smoking and drinking. In the third stage, the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construction of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through satisfaction analysis. The study grasped users’ needs through substantial users’ behavior analysis of the front space of a building and satisfaction analysis on physical elements forming the front space and could induce improvements suitable to the needs. It is anticipated that plans for reasonabl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of the front space will be set up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5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조경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