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진국-
dc.contributor.author이재원-
dc.date.accessioned2020-04-03T17:22:51Z-
dc.date.available2020-04-03T17:22:51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86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73en_US
dc.description.abstract인쇄만화에서 칸이라고 부르는 구조는 그 의미와 기능이 고정 되어있지 않지만 Animation이나 영화에서의 칸의 구조처럼 단순히 시간의 흐름과 의미가 유연한 것이 아니다.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으면서도 바로 다음 일어날 사건과 먼 미래의 사건에 대해 인쇄만화를 보는 독자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시키며 독자 나름대로의 사건에 대한 장면 이미지를 생각하게 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이것은 시간에 대한 공간적인 표현이기도 하고 공간에 대한 시간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우리가 현대의 건축을 대함에 있어서 사람에게 시간과 공간의 조합이라고 한다면 건축공간을 유추에 대해 그간 회화나 음악이 건축화 되었던 예를 들어 인쇄만화의 구조 또한 건축화 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연구대상이라고 생각한다. 건축이 일반인들에게 단순히 오브제나 메스의 집합체로 인식되기보다 사건과 행위의 집합체로 이해되길 바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2008년은 대한민국 최초로 우주인을 배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우주과학기술의 점진적 발전과 부가적인 우주 과학 기술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분야가 우주 과학 기술에 눈을 돌리고 있는 시점에서 정작 우주에 대한 정부 지식을 어린이들에게 전달할 장소의 부재는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물론 과천에 신설된 국립과학관이나 기타 여러 과학관이 운영되고 있지만 우주과학에 대해 특성화된 시설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리고 디자인 수도 서울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자인 올림픽이 개최되었고 이러한 시기에 서울의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대표할 만한 Landmark가 될 만한 건축물의 부재 또한 건축을 공부하고 사랑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느끼는 또 하나의 문제라고 인식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서울이 가지고 있는 산업시설과 부지에 대한 도시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서울에 남겨진 기존의 산업시설에 대한 의의와 현재 서울의 모습에 어울리는 모습으로 탈바꿈 시키고자 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쇄만화의 칸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통해 건축적 공간 개념에 적용시키고 본 연구를 통한 설계 결과물이 상상력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설계되고 그에 따라 경험과 기억에 대한 시공간적 착안을 시도해본다.; Project focuses on exciting space for children who make future and hope for Space science of Korea, Republic. The site of this project is the island which is made by housing, stream, river and the Seoul forest. In other words, this site has difference with other context which is surrounded the site because of the cement factory. The Seoul Forest as ecological element made up and then this site was isolated and that in turn, the old factory which is proof of industrialization needs new position and function for new future of Seoul as a Landmark is representative of Design Seoul. The design process is study of technique for the framework of comics. After branching categories from the movement of frame in comics, the self-regulation are applied to design space of architecture. The reason of this work is how it can set off imagination of children by the architectur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인쇄만화 메세지 구성 방식의 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method by techniques for the framework of comic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재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ae W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