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3 0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Title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Model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Author
홍정석
Alternative Author(s)
Hong, Jung-Suk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환경 및 안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근래의 산업환경에서 건설산업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있으며, 정부 및 건설사는 건설안전 확보 및 재해율 축소를 위한 효율적인 건설현장 안전관리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건설공사는 옥외생산, 한시적 프로젝트 추진, 여러 참여주체 협동업무, 작업자 중심의 생산활동 등과 같은 산업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제조업에서의 안전관리와는 달리 동적인 관리개념이 요구되며 고층작업 및 대형장비 운영 등 건설공사 자체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국내의 산업안전보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고, 정부는 갖가지 정책들을 마련하여 문제해결을 도모해왔다. 정부는 다양한 규제와 법 개정 등을 통해 산업안전보건 문제를 다루어 왔으나, 법과 제도 등 외부규제에 의한 안전관리 운영방법은 건설현장의 관리자 및 협력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기 보다는 수동적 상태에 이르게 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부각 및 안전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협력업체의 참여를 통한 보다 능동적인 안전관리 수행체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건설회사의 요구에 부합하고, 국내 건설환경에 적합한 건설공사 안전관리 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시하는 개선된 안전관리 모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특히 재해의 주된 당사자가 되는 협력업체 및 근로자의 자발적인 안전참여를 유도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건설현장 안전보건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건설현장 작업자의 관심과 안전관리 운영체계의 일치를 통해 건설현장 내부의 안전보건 활동수준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해발생의 주된 장소인 시공단계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협력업체의 자발적 안전활동 참여를 통한 보다 개선된 건설현장 안전활동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안전관리활동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며, 현장특성에 따라 실시하는 다양한 안전관리활동의 주요요소를 찾아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작업으로 안전관리 관련이론및 현황고찰을 실시하여 기존의 안전관리 방법론은 법 준수와 같은 국가에 의해 강제되는 외부요인에 의한 관리방법 적용으로 건설현장 내부에서는 적극적인 안전관리 업무의 수행보다는 관련법규(특히 산업안전보건법)를 위반하지 않는 방향, 안전사고 발생시 책임을 피하는 방향으로 수행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하여 건설현장 안전관리 활동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델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성공요인으로는 현장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공통항목으로는 근로자의 참여와 참여주체들 간의 의사소통이다. 셋째, 기존의 관리방법의 문제점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성공요인을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관리방식이 외부요인에 의한 규범적 방식이라 정의하고 이와 대칭되는 개념인 내부요인에 의한 자율적 관리방식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비교적 자율적 관리방안 적용으로 무재해를 달성한 국내 건설공사의 안전관리활동 우수현장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중심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사례현장의 안전방침과 중점안전활동 그리고 세부실천방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의 주요 관리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안전관리활동 우선순위로 도출된 주요 관리요소는 5개 항목으로 (1)사전위험성을 평가하는 예방활동으로 위험성관리, (2)건설현장의 공식적인 소통도구로써 안전에 관한 중요사항에 대하여 검토하고 관리자에게 의견을 제시하는 협의체회의 활성화, (3)신규근로자 채용 시 교육 및 공종별 협력업체 관리감독자 교육을 세분화하여 실시하는 안전교육, (4)근로자의 참여를 통한 안전점검, (5)근로자에게 근로의욕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자의 배려가 반영된 작업장 환경개선이다. 넷째, 각 항목마다 모델 수행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참여주체별 업무분장표와 세부활동 내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K건설 안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한 후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였으며, 사례현장에 모델 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협력업체 및 근로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공사단계의 위험요인을 최소화하는 재해예방 활동에 도움이 되어 건설현장 안전활동 모델로서 적합하고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safe is being emphasized in all industries. Change of recognition to safety required for construction project are being made. And Many organization and society are striving to find out methodologies for more efficient construction management. It's urgent to develop safety management methodology proper for construction work because the safety methodology introduced from manufacturing industry obvious limit in reflecting various properties of construction sites. Safety is defined as state which has no accident and risk, and safety management is defined as activity to keep stable condition by removing the cause of danger. The causes of accidents ar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cause. Direct cause of accident is due to human unsafe action, indirect cause of accident is due to managerial fault. According to the law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of Korea, it's natural right to claim the owner of some businesses based on the managerial fault. In Korea, as a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normat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trust of outer organization has been formed, but the situation change required that the governmental standard should convert themselves into being more self-regulating. Normative management is activated in the authority-centered society, and it can easily take place when the atmospher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so authority-centered and it has no respect for autonomous activity in it. It has been reported that normative management system of our society is not proper model to control the safety and health problem in which recent cultural diversification and democratization of our society have been made up. As a method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of construction site, raising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by utilization of consistency of worker's interest and significant problems to control is very meaningful. As a result of the managerial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e could find that there was probability of excluding the participation of collaborating partners, every activities being inclined to superficial thing due to heavy amount of paperwork and working without sufficient estimation of danger in the planning.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problem that there is obvious limit in the regulation by outers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centered around the headquaters for reflection of activ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methodologi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And we tried to find methodologi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construction sites. We can consider the factors such as observance of law, related systems as outer factors controlled by government. law of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nd law of industry safety and health are such examples. We defined participants in construction sites as headquarter manager, site manager, managers of partnering firm, and field worker. We got to know that if we find and manage the factors which must function actively by integrating outer regulating factors and factors of inner participants, more efficient safety management could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that some companies submit papers, government exempts some construction companies who have the ability to manage certain safety level from the safety examination if they already submited the certificate of examination made from the self-examination of plans to prevent danger. This is called SSM(Self-controled Safety Management), and the government designates some construction companies whose accident rate of recent three-years are under average rate of accid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model to run safety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some factors helpful for the success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applied them to method to run programs for safety management which can rais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For this, we considered the previously conducted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and the estimation of saety level And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pointed some problems which have not been reflected yet. Major management factors are risk management, meeting with collaboration teams, education of safety, safety check-up, improvement of conditions in working site. We could build the activity model of safety management, and find that the feasibility of this model is hig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to construction site and additional analysis, Also, with this, manager can make strategies for efficient safety management, and make many activities for safety of labor more detailed and concrete. Like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olution to improve the activities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partn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8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