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중학생의 음료 섭취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Title
남자 중학생의 음료 섭취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the Related Factors in Middle School Boys
Author
이정은
Alternative Author(s)
Lee, jung-eun
Advisor(s)
이상선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강남(강남구 1곳, 서초구 1곳)지역과 강북(성북구 1곳)지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426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음료섭취에 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바람직한 음료섭취 행동을 가질 수 있는 방안 제시에 활용되어 중학생들의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주별 음료 섭취횟수는 우유 및 유제품 (6.4±4.8회) > 과일 및 야채주스 (3.0±3.7회) > 스포츠음료 (2.8±3.4회) > 탄산음료 (2.5±3.4회) > 과즙음료 (2.1±3.1회) > 차류 (2.0±3.7회) > 카페인음료 (1.9±3.0회) > 기능성음료 (1.3±2.3회) > 전통음료 (1.1±2.5회)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에서 음료 섭취횟수가 가장 높은 것은 우유 및 유제품으로 나타났지만, 하루에 1회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스포츠음료 섭취가 탄산음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본 연구가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갈증해소를 위해 스포츠음료가 탄산음료를 대신하여 스포츠음료 섭취가 증가하고 탄산음료 섭취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카페인음료 섭취에 있어서 본 연구 결과 섭취횟수가 높지 않았는데 이것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카페인음료 섭취횟수가 낮게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2. 생활습관에 따른 각 음료섭취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운동시간과 우유 및 유제품, 스포츠음료, 과즙음료, 기능성음료, 물 섭취빈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TV시청시간과 탄산음료 섭취빈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컴퓨터 활용시간과 탄산음료, 기능성음료 섭취빈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식습관에 따른 각 음료 섭취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진 경우, 탄산음료, 과즙음료, 스포츠음료, 전통음료, 기능성음료의 섭취빈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편식이 심할수록 탄산음료(p<0.001) 섭취빈도가 높았고, 과일 및 야채주스(p<0.01), 차류(p<0.05)의 섭취빈도는 낮았다. 이는 전반적으로 올바른 식습관을 가진 경우 음료섭취에 있어서도 올바른 음료 섭취행동을 나타내므로 올바른 음료섭취 행동에 대한 교육 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4. 변비 여부에 따라 각 음료의 섭취횟수를 분석한 결과, 변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우유 및 유제품, 과일 및 야채주스 섭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카페인음료 섭취에 있어서 변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섭취횟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부모의 학력에 따른 음료 섭취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우유 및 유제품(p<0.05), 전통음료(p<0.05), 차류(p<0.001)의 섭취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우유 및 유제품(p<0.05)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각 음료별 섭취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분을 제외한 음료별 섭취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각 음료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다른 음료의 섭취빈도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분 섭취가 많을수록 다른 음료 섭취가 줄어들 것으로 사료되어 분석하였으나 수분 섭취와 대부분의 음료 섭취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남자 중학생의 음료 섭취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규칙적이고 편식하지 않는 식습관, 생활습관(TV시청, 운동, 컴퓨터 활용시간), 체중조절 경험 여부, 부모의 학력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련 요인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유 및 유제품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 부족하게 섭취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며, 본 연구 결과 탄산음료보다 섭취빈도가 높았던 이온음료의 경우, 탄산음료와 마찬가지로 치아 우식증 유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된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영양교육도 함께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of adolescent boys in seoul.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26 male stud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at the area of Gangnam(Gangnam-gu and Seocho-gu) and Gangbuk(Seongbuk-gu).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frequency of beverage consumption per week of the subjects was 6.4±4.8 for milk and dairy products, 3.0±3.7 for fruit and vegetable juice, 2.8±3.4 for sports drinks, 2.5±3.4 for carbonated drinks, 2.1±3.1 for fruit drinks, 2.0±3.7 for tea, 1.9±3.0 for caffeine drinks, 1.3±2.3 for functional drinks, and 1.1±2.5 for traditional drink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beverage was milk and dairy products, but the frequency was less than once per day. Boys consumed more sports drinks than carbonated drinks to quench their thirst. Their consumption of caffeine drinks was not much because the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2.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urs of exercise and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sports drinks, fruit drinks, functional drinks, and water in frequency. Positive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between hours of TV watching and the consumption of carbonated drinks. But hours of TV watch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lk and dairy products consumption.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urs of computer use and carbonated and functional drinks consumption. 3. Boys had regular eating habi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requency of consuming carbonated, fruit, sports, traditional, and functional drinks than those who didn't. Boys had picky eating habit consumed carbonated drinks(p<0.001) more frequently but consumed fruit and vegetable juice (p<0.01) and tea(p<0.05) less frequen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ood eating habits lead to the good consumption behavior of beverage. Thus they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rming the good eating habits when providing education about the sound consumption behavior of beverage. 4. The constipation group consumed les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fruit and vegetable juice than the normal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former consumed caffeine drinks more frequently than the latter,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fathers received, the more frequently they consumed milk and dairy products(p<0.05), traditional drinks(p<0.05), and tea(p<0.001). And the higher education the mothers received, the more frequently they consumed milk and dairy products(p<0.05). 6.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kinds of beverage except for water, which means that the greater frequency of consuming one drink leads to that of another drink.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more water they drank, the less they consumed other beverage group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ater and the other beverage groups. In short,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beverage consumption behavior include regular and non-picky eating habits, life habits(TV watching, exercise, and hours of computer use),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and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When they provide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both home and school, they must take into account the relations among the factors. They should also provide education about the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since thei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level. And nutritional education needs to cover sports drinks, whose consumption frequency was higher than carbonated drinks, since there are reports on the possibility of their causing dental caries just like carbonated drinks as wel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8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