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 0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의 관계

Title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Soci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port Participation
Author
김주원
Alternative Author(s)
Kim, Joo-Won
Advisor(s)
조성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이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 특성,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사회적응의 관계,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생활만족의 관계,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응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시 거주노인으로서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92명을 유층집락표집 방법으로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 분석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이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 특성에서는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운동 종목과 성별에 따른 운동 참여 시간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운동 참여 특성에 따른 사회적응요인의 차이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책임성, 대인관계, 적응성의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차이에서는 운동 종목 유형에 따라 책임성과 대인관계에서 차이가 있었고, 운동 참여 횟수에 따라서는 적응성이, 운동 참여시간에 따라서는 책임성과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운동 참여 종목에 따라 그리고 운동 참여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개인종목보다는 단체종목에서 만족감이 높았고, 1시간미만 운동을 하는 집단보다 1시간이상 운동에 참여하는 집단의 만족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응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세 가지 요인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요인 중 대인관계, 책임성, 적응성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은 사회생활에서 동떨어져 인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다. 운동의 참여가 노인의 사회적응과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개인종목보다는 단체종목이 좋고, 운동에 참여하는 횟수는 너무 많거나 적지 않은 주 3~4회 정도가 적당할 것이며, 한번 운동에 참여할 때에는 최소 1시간이상씩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노인의 사회적응을 높일 수 있고, 그렇게 높아진 사회적응으로 생활만족까지 이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adjustment to know the demographics of social population, the range of participation of sport for all and the correlation. For this study, 300 old people in dae-jeon city were selected. Among the surveyed, 8 responses were excluded due to insufficient data, and 292 data were used. A questionnaire was the metho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3 questions about demographics of social population, the rang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Likert Scale, the scale was from one point to five points.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after two pilot tests. The credit of the measurement on this study was verified high level of credit with using Cronbach’α. Based on SPSS 12.0 program, it resulted with average, standard deviation, variabl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demographics of social population, the rang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raits are correlated.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raits and sex and ages. Second, in the analysis for the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participation traits,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sponsibility, relations of others factors as sports types and adaptation factor as sports frequencies and responsibility, relations of others factors as sports strength. Third, in the analysis for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traits,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as sports types and the time of participation. Fourth, the relation of other facto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ponsibility and adaptation factors are follow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