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 0

점증적 최대운동 후 칼슘섭취와 회복방법이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점증적 최대운동 후 칼슘섭취와 회복방법이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Calcium Ingestion and the Recovery Method on the Process of Fatigue Components after the Maximum Exercise
Author
정종택
Alternative Author(s)
JEONG, JONG-TAEG
Advisor(s)
오상덕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For keeping the capability of motor performances continually and improving them, it is important to overcome fatigues that accumulated at exercise, first of all. It has known that fatigue could occurs by accumulating fatigue elements such as lactic acid or exhausting the sources of energy in our body, but recently some of study reported fatigue also can occur by leakage of calcium from muscular. In our study, we researched the effects of ingesting calciums which play a key roles to recover activity and muscular activities after exercises, and how they can be effective on overcoming fatigues and removing lactic acids which typically inducted fatigues in our body. Our research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 of physical exercise and used treadmill. Also, we progressed our research to elicit effective ways for overcoming fatigues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ng in each other overcoming methods between the groups which ingested calciums and not or parallel with them after increasingly maximum exercise. We reviewed the rate of recovery in each time zone according to its overcoming fatigue methods in each other, and ingestion calciums or not after increasingly maximum exercise and we described our results as follow (1) The change of the recovery rate on lactic acid density according to recovery methods The results that reviewed recovery rate in each time zone through measuring lactic acid density according to in each difference recovery methods between rest recovery and active recovery after increasingly maximum exercise, it indicated small difference(p < 0.5) in the changes of recovery rate in lactic acid density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at 10 minutes to 15 minutes after exercise, it indicated active recovery is higher than rest in recovery rate of lactic acid. (2) The changes of lactic acid according to ingestion calciums or not The results that reviewed recovery rate of lactic acid, i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statically that the group who ingested calcium after increasingly maximum exercise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not ingested in compare to the two groups. It showed higher recovery rate of lactic acid in the group that ingested calcium is than the other group's did not ingest. Consequently, it indicated active recovery is higher in the recovery rate of lactic acid than rest recovery after increasingly maximum exercise, also we understood recovery rate is higher in the group who ingested calcium than the other group did not ingest.; 운동수행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 상황에서 누적된 피로를 보다 빨리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로는 젖산과 같은 피로물질이 신체에 축적되어 발생하거나 우리 신체의 에너지 공급물질이 고갈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근육의 칼슘누수현상 때문에 피로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동 후 활동성 회복과 근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칼슘섭취가 대표적인 피로유발 물질인 젖산제거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피로회복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체육전공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점증적 최대운동 후 칼슘섭취 유ㆍ무와 이를 병행한 서로 다른 회복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피로 회복 과정에 효과적인 회복방법을 도출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점증적 최대운동 후 칼슘섭취 유ㆍ무와 서로 다른 회복방법에 따른 시간대별 젖산의 회복율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하기에 기술하였다. (1) 회복방법에 따른 젖산 농도의 회복율 변화 점증적 최대운동 후 안정성 회복과 활동성 회복의 서로 다른 회복방법에 대한 젖산 농도를 측정하여 시간대별 회복율을 검토 한 결과, 회복방법에 따른 젖산 농도의 회복율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활동성 회복이 안정성 회복보다 운동 후 10분과 15분에서 더 높은 회복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활동성 회복이 안정성 회복보다 젖산 회복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칼슘섭취 유ㆍ무에 따른 젖산 농도의 회복율 변화 칼슘섭취 유·무에 따른 젖산 회복율을 검토한 결과 점증적 최대운동 후 칼슘을 섭취한 집단과 섭취하지 않은 집단 간의 젖산 회복율 비교에서는 칼슘을 섭취한 집단이 섭취하지 않은 집단보다 젖산 회복율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 p<.001)를 보였다. 칼슘을 섭취 한 집단의 젖산 회복율이 섭취하지 않은 집단의 젖산 회복율보다 운동 후 10분과 15분에서 더 높은 회복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칼슘을 섭취한 집단이 섭취하지 않은 집단보다 젖산 회복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점증적 최대운동 후 활동성 회복이 안정성 회복보다 젖산 회복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칼슘을 섭취 한 집단이 섭취하지 않은 집단보다 젖산 회복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활동성 회복과 칼슘섭취가 우리 신체의 피로 물질인 젖산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칼슘섭취와 운동 후 활동성 회복은 효과적인 피로회복 방법으로 운동수행 능력 유지 및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