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영-
dc.contributor.author문성현-
dc.date.accessioned2020-04-03T17:20:15Z-
dc.date.available2020-04-03T17:20:15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6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24en_US
dc.description.abstract바우하우스는 기초조형교육과 조형 활동을 통한 기술적, 기능적, 심미적 그리고 경제적 등의 표현은 예술뿐만 아니라 문화양식전반에 걸쳐 새로운 미학을 정립시켰고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 본질의 원리를 깨달아 그것으로부터 자유자재로 모티브를 꺼내어 무한한 가치로 창조하였으며 점차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그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어 르네상스 이후 미술에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이들 질문은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 미학적, 이념적 중요성 때문에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미술가들에게 진지한 관심의 대상이 되는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바우하우스는 당시 독일이 처한 역사적, 정치·경제적, 문화적인 자체 내부의 단순한 고립적인 현상이 아니라 세계적 차원으로 확산된 국제적 양식(International Style)이었고 총체적인 문화사적 전환점이었다. 급격한 문명의 발달은 우리의 삶은 윤택하고 편리하게 되었으나 그와 더불어 인간의 이기심과 조바심으로 환경에 대한 문제를 소홀히 해왔고 그 결과 극심한 환경오염을 초래하였다.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무분별한 개발과 계획에 의한 인간과 사회, 자연과의 공존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 현시점에서 가장 첨예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새만금지역의 개발대안 모색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상을 담고 있는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과 대표적 기초조형교육자인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과 모홀리-나기(LA'szl? Moholy-Nagy) 그리고 알베르스(Josef Albers)와 폴 클레(Paul Klee)의 사상을 현대적 조형언어로 고찰하여 환경디자인에 적용한다. 그들은 교육방법에 있어서 경험을 가장 중요시하여 ‘행함으로서 배운다.(Learning by Doing)’라는 원칙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이 원칙을 시작으로 ‘새만금 해양체험관’을 창조하여 이 공간 안에서 자연과 인간과의 공존을 자각시키고 전인적 인간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실현의 장(場)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 주제의 관심 대상지인 새만금의 개발대안론은 현재까지 실현화 되어 있지 않은 가상의 대상지로서 실현가능성에 근간을 두고 체험학습 환경인 ‘새만금 해양생명체험관’을 건립하기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진행방법으로 앞서 언급한 바우하우스의 대표교육자들인 이텐의 수업유형 중 색채이론과 자연소재에 관한 연구를 환경디자인에 적용하고 모홀리-나기의 조형이념인 재료와 소재에 대한 경험교육과 현대의 조형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 그의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한다. 그리고 알베르스의 조형사상을 바탕으로 무분별한 개발과 계획에 의한 인간과 사회, 자연과의 공존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 현시점에서 인간의 내면을 각성시킴으로서 자연과 사회로 통합하기위한 교육이 환경디자인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클레의 형태교육에서 동식물의 구성과 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그 창조원리를 형태이론에서 밝혀내는 것과 인간의 생존과 행위의 전부가 어떻게 인간성과 우주의 리듬 속에 조화롭게 스며드는지 이해시키려 했던 그의 조형사상을 교육프로그램개념에 적용하여 해양생명체험관의 공간조형개념인 ‘물’과 ‘시간성’ 그리고 ‘빛’을 현대적 공간개념언어로 새롭게 고찰하고 자연의 조형 언어이자 학습체험관의 주제인 ‘바다’와 생명의 모태인 ‘자궁’을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현대적 공간조형언어로 해석하여 기본 형태 조형을 완성한다. 이를 실질적인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세부공간디자인을 거친 후에 공간 속에서 진행되어질 교육 프로그램들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공간으로 창조한다. 본 연구가 인간과 사회, 자연과의 공존이 문제점의 즉각적 해결책이 될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내용은 앞으로의 전체 미술영역과 미술교육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고 전인적 인간교육에 영향을 주는 모든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환경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uhaus established a new meaning to aesthetic in art as well as in overall pattern of the culture, by expressing technical, functional, aesthetic appreciation and economical expressions through basic formative art education and formative art works. In addition, Bauhaus was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nature while maintaining harmony between man and the society then extracted motive from it freely and created an infinite possibilities from it. Furthermore, Bauhaus responded to demands made by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felt responsibilities for such demands then began to question the intrinsic nature of art when the renaissance period ended. Due to the historical, artistical and ideological importance of these inquiries made by Bauhaus, the value of these inquiries are considered ver high even after the 20th century gathering sincere attention of all artists. Bauhaus was not simply built from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problems faced by Germany alone at the time but was a turning point of the entire cultural history of the world, becoming a simple of international style that expanded to the rest of the world. Rapid advancement in the civilization made lives of people better and easier but people started to neglect the environment and finally the egoism and anxiety of people lead to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Even in the modern days, the coexistence among the man, the society and the nature is becoming a social issue following indiscretion i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lan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e biggest social issue at the moment in Korea is the Saemangeum project thus the study want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deology of Bauhaus that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plans for solving such issue and analyze ideologies of leading basic formative art educators such as Johannes Itten, La'szlo' Moholy-Nagy, Josef Albers and Paul Klee in the modern formative art terms then apply these findings to the environmental design. These educa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in the education method and showed commonalities in their respective principl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by Doing.' With basis of the principle of 'Learning by Doing,' the study wants to propose 'The Saemangeum Marine Life Center' so that people can feel the coexistence between the man and the nature from the center and the center can serve as a place where the objective of the well-rounded person education will be realized. The target site of the study, Saemangeum, is an imaginary site where the alternative development plan has not been realized.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developing learning by doing environment, 'The Saemangeum Marine Life Center,' under a presumption that possibility of such development can be realiz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the study will utilize teaching methods used by the leading educators of the Bauhaus. The color theory and the study on the natural material of Itten will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formative principles of Moholy-Nagy such as learning by doing education on material and matter and the concept of space of Moholy-Nagy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formative art concepts, will be applied. Furthermore, at a time where the coexistence among the man, the society and the nature is becoming a social issue, the study wants to base the ideology of the formative art of Josef Albers so that an education that awakens the inner world of the mankind and allows the mankind to unite with the nature and the society, can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Lastly, the structure of animal and plant from the formative education of Klee will be visually explored. In addition the formative ideology of Klee, which tried to reveal the principle of creation by using the formative theories and tried to understand how the actions and survival of the mankind harmonized with the rhythm of the universe, will be applied in developing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 concept of spatial formative art 'Water,' 'Time' and 'Light' can be newly discovered using the language of the modern spatial concept. Furthermore 'Ocean' which is the natural formative art language and the main title of the center and 'Womb' which is a place where a life gets formed, will be explained by experimental and creative modern spatial formative art terms to complete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rm. Finally, this will be recreated in the actual space then detailed spatial design will be conducted so that when education programs is conducted within the space, the space will be recreated as a space for creativity. The study knows that the coexistence among the human beings, the society and the nature will serve as an immediate solution for the problem but such content may be applied in extent to the entire fine arts sector and the fine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study hopes these contents to be applied to all the learning by doing programs that affects the well-rounded person education an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바우하우스(Bauhaus) 기초조형교육고찰에 의한 환경디자인 제시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by Exploring Basic Formative Art Education of Bauhaus : Basing on the Saemangeum Marine Life Center stud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문성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oon, Sung H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예체능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교육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