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 0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의 말하기 활동 분석

Title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의 말하기 활동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peak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 Focused on Accuracy and Fluency
Author
박소연
Alternative Author(s)
Park, So-yeon
Advisor(s)
이영자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고등학교 2, 3학년에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실시되고 있는 영어회화 교과의 검정교과서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 총 8종 중 5종을 임의로 선정하여 각 교과서별로 제시된 말하기 활동을 정확성 중심 활동과 유창성 중심 활동의 기준을 바탕으로, 두 활동이 각각 어느 정도의 비율로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후 각 교과서의 구체적인 말하기 활동을 단원별로 분석하여 어떠한 종류의 정확성 중심 활동과 유창성 중심 활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각 교과서에서 다양한 유형의 정확성 중심 활동과 유창성 중심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5종의 영어회화 교과서의 말하기 활동 비율을 종합한 결과 정확성 중심의 말하기 활동은 59.2%, 유창성 중심의 말하기 활동은 40.8%로 정확성 중심의 말하기 활동이 유창성 중심의 말하기 활동보다 좀 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둘째, 각 교과서에 제시된 말하기 활동을 단원별로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정확성 중심 활동의 경우 ‘통제 대화’ 활동이 34.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유창성 중심 활동의 경우 ‘토론하기’ 활동이 1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과서별로 다양한 유형의 정확성 중심 활동과 유창성 중심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여러 유형의 활동이 제시되지만 구체적인 비율을 살펴보면 활동 간 비중이 큰 차이를 보이면서 특정 몇 가지 유형의 활동에 집중해 제시됨을 알 수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보다 고차적인 논리적 사고와 창의력을 발전시키는데 적합한 활동을 제시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와 관련된 ‘시뮬레이션’, ‘문제 해결하기’, ‘프로젝트 활동’ 등과 같은 활동은 교과서별로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영어회화 교과서에 제시된 정확성 중심 활동과 유창성 중심 활동을 바탕으로 교사는 학습 목표에 따라 교과서의 활동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학습자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모두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정확성 향상에 목표를 둔 수업에서는 문장 위주의 문형연습과 같은 정확성 중심 활동을 활용하고, 유창성 향상에 초점을 둔 수업에서는 실질적인 의사전달을 강조하는 유창성 중심 활동을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는 영어회화 교과서에 제시된 정확성 중심 활동이나 유창성 중심 활동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타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정확성과 유창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편 영어회화 교과서 제작에 있어 말하기 활동 구성 시 단편적이고 전형적인 정확성 중심 활동 또는 유창성 중심 활동 몇 가지만을 제시하기 보다는 학습자의 흥미와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의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논리적인 사고 능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젝트 활동’이나 ‘문제 해결하기’와 같은 활동의 제시가 더욱 필요하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말하기 활동의 폭을 넓혀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들이 학습의 주도자가 되어 자신의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활동이 학습자의 고차적인 사고 능력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eak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7th-curriculum-based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ortion of accuracy-based activities and fluency-based activities are adequately presented to improve a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o achieve these purposes, five textbooks were selected at random out of eight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n speaking activities and speaking-related activiti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of accuracy-based activities and fluency-based activitie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are mainly adopted from Pae, Doo-Bon(2002), Byrne(1987), Prabhu(1987) and Willis(1996). Accuracy-based activities are divided into teacher-controlled accuracy model, student-directed accuracy model, and other accuracy-based activities. Fluency-based activities are also divided into teacher-controlled fluency model, student-directed fluency model, and other fluency-base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accuracy-based activities and fluency-based activities are 59.2% and 40.8%, respectively. Three textbooks present more accuracy-based speaking activities than fluency-based activities. In total, more accuracy-based speaking activities are presented than fluency-based activities. (2) In accuracy-based activities, 'controlled conversation' is presented the most, on the other hand, in fluency-based activities, 'discussion' is presented the most. (3) In spite of presenting various speaking activities, comparing its ration, only one or two types of speaking activities are excessively focused. Also, fluency-based activities such as ‘simulation’, ‘problem-solving’, and ‘project works’ are presented in limited port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a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 teacher should adequately use accuracy-based activities and fluency-based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its teaching objectives. Also, more various type of activities which stimulate a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necessary to be presented rather than limited typical activ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3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