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 0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듣기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듣기평가의 적합성 및 연계성 분석

Title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듣기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듣기평가의 적합성 및 연계성 분석
Other Titles
On the Appropriateness and Connectivity of the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uthor
송리라
Alternative Author(s)
Song, Li La
Advisor(s)
안성호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이 반영되는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 수능 영어 듣기 문항과 그 출제범위에 속하는 영어Ⅰ, Ⅱ 교과서의 듣기문항이 교육과정에 적합하게 출제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수능 듣기 문항과 교과서 듣기 문항 간에 어느 정도의 연계성이 있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위의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Ⅰ, Ⅱ교과서의 듣기부분에서 요구하는 듣기 능력은 무엇이며, 이는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어느 정도 적합한가? 둘째, 제7차 교육과정이 반영되는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의 수능 영어 듣기 문항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은 무엇이며, 이는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어느 정도 적합한가? 셋째, 영어Ⅰ, Ⅱ교과서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과 수능 듣기 문항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는가? 본 연구는 영어Ⅰ, Ⅱ교과서의 듣기 문항과 수능의 듣기 문항의 연계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교과서 듣기 문항에서 요구하는 듣기 능력과 수능 듣기 문항에서 요구하는 듣기 능력 간을 분석·비교하였다. 듣기 능력의 분석기준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출제 매뉴얼(2004)에서 제시한 이원목적분류표의 행동영역부분의 다섯 가지 범주(어휘 및 문법성 판단력, 사실적 이해력, 추론적 이해력, 종합적 이해력, 적용력)와,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 Richards(1983)의 ‘듣기 능력의 분류’ 및 Brown(2004)의 듣기과업유형을 참고하여 27개의 듣기세부능력 분류표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Ⅰ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요구하는 듣기능력은 대화세부내용이해능력(18.06%), 특정정보 파악능력(11.73%), 적절한 응답능력(8.94%), 대화 소재 및 주제 파악능력(7.63%), 진위여부 파악능력(6.52%)이다. 또한 영어Ⅰ교과서와 교육과정과의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영어Ⅰ교과서의 듣기능력은 영어Ⅰ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해당되는 듣기능력을 굉장히 적게 반영하고 있어 성취기준에 적합하지 못함이 밝혀졌다. 둘째, 영어Ⅱ교과서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은 대화세부내용 이해능력(26.30%), 내용과 일치하는 그림 고르는 능력(24.35%), 적절한 응답능력(11.04%), 특정정보 파악능력(6.98%), 진위여부 파악능력(5.19%)등이 있다. 또한 영어Ⅱ교과서와 영어Ⅱ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영어Ⅱ교과서의 듣기 문항이 영어Ⅱ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서 요구하는 듣기 능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성취기준과 적합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의 수능 듣기문항에서 가장 빈번히 요구하는 듣기능력은 적절한 응답 능력(17.65%), 대화세부내용 이해능력(12.94%), 특정정보 파악능력(10.59%)이다. 이러한 듣기능력을 측정하는 수능 듣기문항은 영어Ⅰ과 Ⅱ의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설명 및 보고문, 강의, 뉴스, 방송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고,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듣기 능력을 53.85%정도를 반영하고 있음이 밝혀져, 수능이 출제 목표에 맞추어 영어Ⅰ, Ⅱ의 듣기 활동 성취기준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과서 듣기 문항과 수능 듣기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요구되는 듣기 능력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알아본 결과, 수능 듣기능력의 1∼3위가 각 영어Ⅰ, Ⅱ교과서의 순위 안에 반드시 한 개 이상 들어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수능에서 요구하는 13개 듣기능력과 영어Ⅰ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다섯 가지 듣기 능력과 비교해본 결과, 다섯 가지 중 네 가지의 듣기 능력이 일치하였다. 영어Ⅱ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섯 가지 듣기능력 중에서 네 가지의 듣기능력이 수능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로 교과서와 수능 듣기문항에서 요구하는 듣기능력의 선호도가 비슷하며, 따라서 교과서와 수능 듣기 사이에 연계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능 듣기 문항이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에 적합하게 적절히 반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영어Ⅰ, Ⅱ교과서가 교육과정의 듣기활동 성취기준을 반영하는 정도는 충분치 않음이 밝혀졌다. 교과서와 수능 사이에 연계성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과서들 간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엄격한 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question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CSAT) are fit to the objectiv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how well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kinds of listening skills are required in High School EnglishⅠtextbooks, and do they satisfy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bjectiv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what kinds of listening skills are required in High School EnglishⅡ textbooks, and do they satisfy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bjectiv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ar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ask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ell connected with those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listening skills in EnglishⅠtextbooks are skills for comprehending details(18.06%), skills for seeking the specified information(11.73%), skills for appropriate response(8.94%), skills for finding out the main idea or topic(7.63%), and skills for judging true or false(6.52%). This shows that EnglishⅠtextbooks are not enough to satisfy the objectiv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listening skills in EnglishⅡ textbooks are skills for comprehending details(26.30%), skills for choosing the picture which is reflecting the situation(24.35%), skills for appropriate response(11.04%), skills for seeking the specified information(6.98%), and skills for judging true or false(5.19%). Also, EnglishⅡ textbooks do not sufficiently meet the objectiv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listening skills in CSAT from 2005 to 2009 are skills for appropriate response(17.65%), skills for comprehending details(12.94%), and skills for seeking the specified information(10.59%). Through the analysis, CSAT is verified to b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cont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urth, the most frequent listening skills in CSAT is also found in High School EnglishⅠ and Ⅱ textbooks. Moreover, preference for listening skills between CAST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similar so that it can make it clear that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in CSAT are connected with high school curriculum. These results impl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English listening items of CSAT should be developed with various questions types and also it should include more varied objectives of evaluation in the English listening test. Second,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adhere to the objectiv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aithful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