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 0

출력가설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출력가설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Output Hypothesis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of Speaking
Author
조혜진
Alternative Author(s)
Jo, Hye-jin
Advisor(s)
한문섭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Krashen(1981, 1985)은 언어 습득의 과정에서 이해 가능한 입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Swain(1985)은 입력만으로는 습득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완전한 언어 습득을 위해서는 이해 가능한 입력뿐만 아니라 이해 가능한 발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습자는 직접 말을 하고 글을 쓰는 출력 활동을 통해 완전한 영어를 배울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초등영어 수업상황에 맞는 출력가설을 이용한 영어 수업안을 구안하여 이를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에게 적용하고 출력가설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영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학습 태도 등에 관한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력위주의 수업을 위한 교수ㆍ학습 전략을 마련하여 적용하였으며 실험 설계는 ‘이질 집단 사전ㆍ사후 평가 실험 설계’를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실험 대상으로 하여 아동 수가 같고, 남ㆍ녀의 비율이 비슷한 두 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이 두 집단은 사전 검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해 집단 간 평균차이를 비교하여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서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한 후 8주간의 실험 기간 동안 실험반에는 출력 위주의 수업을 적용하고 통제반에는 입력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사후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대해 학습자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말하기 평가지와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말하기 평가의 내용은 녹음하여 말하기 평가 척도와 채점표를 사용해 평가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학습 활동이 끝난 후에 아동들로 하여금 자기 학습 평가와 상호학습 평가를 하게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교사의 관찰연구를 병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사전 검사 결과에서는 두 집단에 대한 말하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반응에 대해 평균 차이로 검증한 후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사후 검사 결과는 두 집단의 말하기 평가 결과와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여러 변인 간의 평균 차이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가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출력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언어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에 도움이 되어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또한 출력 위주의 수업을 적용하였을 때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나타난 변화를 조사한 결과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학습태도, 수업의 효과 및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에서 실험집단은 모두 긍정적으로 그 수치가 상승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출력 위주의 수업을 적용함으로써 현재의 초등영어 교육에 있어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바탕을 제공해주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특성과 언어 수준을 고려해 출력을 적극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적절한 과업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연구가 구체적이고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출력 위주의 수업의 효과가 말하기 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듣기에 이르기까지 언어의 4가지 기능에 총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dy is to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apply them to promote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Meanwhile, Krashen(1981, 1985)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ble Input in the process of language acquisition. Swain(1985), however, suggests that besides the comprehensible input, the comprehensible output is needed for complete language acquisition. Namely, Swain(1985) stressed the importance of giving learners the opportunity of output-based activitie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A target language production could be another main route to language acquisition. When learners try to convey a meaningful message, they may aware some of their linguistic problems and concentrate on the linguistic forms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message. In this process they can improve their expression ability, focusing in accuracy. By producing output, learners reecognize their interlanguage problems and notice the relative features in the input. It is called the 'noticing' function of output.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 hypothesis and the learner's ability of speaking, affinity, confidence, learning attitude. With this goal, two classes at 5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wo different treatments were implemented to each class respectively: Output-based vs. Input-based instructions. After eight weeks' test, students ability of speaking and reaction to each instruction method were examined the mean difference among the relevant variables. The findings showed that (1) each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speaking ability; (2) output-based instruction worked better than the non-output-based one, in the aspects of affinity, confidence, attitude toward L2 learning.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output-based instruction can be implemented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primary school L2 learning, and to promote learners' fluency. Consequently, output-based approach toward english education that's applicable to korean primary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more extensively and concrete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7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