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0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소비행동

Title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소비행동
Other Tit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the Consumers in their 10's & 20's
Author
박소영
Alternative Author(s)
Park, So Young
Advisor(s)
이규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룬 현대사회의 소비생활에 있어 가장 민감한 관심 및 반응을 보이며 활발한 소비활동을 하는 현재 소비자이자 중요한 미래 소비자가 될 10대와 20대를 대상으로 환경의식의 차이와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소비행동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그들의 의복소비행동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며, 긍정적인 환경인식을 가지고, 올바른 환경행동을 할 수 있는 젊은 소비자가 될 수 있도록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오늘날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오염의 예방을 위해 개개인의 의식을 키움으로써 나은 미래를 위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0대와 20대 소비자의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로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대, 직업, 거주지, 월평균 의복비, 월평균 소비지출)에 따른 소비자들의 의복소비과정에 대한 환경의식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환경의식(인식/행동) 집단별에 따른 의복소비행동(구매, 사용, 처분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며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의복소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10대 20대의 남자소비자와 여자소비자를 대상으로 성별 동일수를 고려해 각 250명으로 총 5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for Window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K-means 군집분석, 그리고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Test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대, 거주지에 따른 환경의식(인식/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월평균 의복비, 월평균 소비지출에 따른 환경행동만 각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직업의 경우, 중·고등학생이 가장 높았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월평균 의복비가 낮을수록, 월평균 소비지출이 낮을수록 환경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식(인식/행동) 집단별 의복소비행동을 살펴본 결과,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구매 시 고려사항 및 행동에 있어 소재, 보관과 관리의 편이성, 계획을 세워 꼭 필요한 옷만 구매한다, 유행하는 옷보다 오래 입을 수 있는 옷 구매한다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고, 네 항목 모두 인식 고, 행동 고 집단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식 저, 행동 고 집단이 높았다. 또한, 환경의식(인식/행동) 집단별에 따른 의복구매횟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의복구매경로와 월평균 의복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경의식(인식/행동) 집단별에 따라 1년 간 구매한 옷 중 잘 입지 않는 옷의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경의식(인식/행동) 집단별에 따른 의복재활용의 차이는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 고, 행동 고인 집단은 모든 점에서 환경 친화적 처분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은 낮지만 행동이 높은 집단도 바꾸어 입거나 재판매를 하는 비교적 높은 환경 친화적 처분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복생산 및 소비과정의 환경오염 및 예방에 관한 적극적이고 꾸준한 홍보, 환경의식에 대해 꾸준히 인식시켜 줄 이해하기 어렵지 않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홍보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환경행동 실천의 중요함에 따라 환경의식에 관련된 교육은 그 지식을 통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교육 개선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며, 집단의 차이를 고려해 알맞은 방법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각 교과에 관련된 환경의식에 관한 구체화된 교과내용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실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셋째, 젊은 층의 소비문화에 있어서의 인식이 지나치게 유행 디자인이나 브랜드 등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도록 이들이 자주 접하는 인터넷이나 TV 등의 대중매체의 역할이 바람직하고 환경친화적인 의복소비행동에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넷째, 환경의식이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의식이 그리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어떤 특성의 소비자들이든 앞으로 의복소비과정에 관한 환경의식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행동에 옮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해볼 수 있다. 다섯째, 의복처분에 관한 기증 등의 재활용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도화하고 홍보화한다면 좀 더 활발한 의복처분행동을 할 수 있을 것이고, 건전한 인식을 지니고 실생활에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개인,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나아가 국가의 연계성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활발한 처분행동 이전에 구매행동 단계부터의 올바른 의복소비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복구매 시에는 구매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 이후에 따라오는 사용, 처분행동에 관해 미리 인식한 후 구매가 이루어져야 하겠고,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단계별로 인식 시키고 계획해 볼 수 있는 실습형의 교과 내용이 포함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modern society, the young consumers in their age 10's and 20's have the most sensitive and active propensity to consume, and they are very important as the leading consumers in the future. The gene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ir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how these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addition, on environmental issues worldwide,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e material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they feel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ach single person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preserve the environmen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residential area,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for clothing, and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spending and the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econd, to find out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the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age 10's and 20's who live in Seoul. Based on 250 consumers for male and female each, a total of 500 respondents' data were used as fin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Frequencies Analysis, Crosstabs Analysis, K-means Cluster, and Duncan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for clothing, and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spending and the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only environmental behavior. In their average, the group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s the highest, and the group of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is the lowest for the environmental behavior. The lower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for clothing, and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spending,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behavior i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by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Second,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fiber material, convenient care for a major consideration, wear clothes long, and planned purchase. The group that 'high-environment awareness, and high-environment behavior' is demonstrated a preference for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buying behavior with all factors, and also the group that 'low-environment awareness, and high-environment behavior' has relatively high average of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It shows high environmental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 number of times for clothing buying,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lothing buying route and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for clothing to some degree. The resul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using behavior, the ratio of not using clothes which are purchased in a year.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disposal behavior in all factors. The group that 'high-environment awareness, and high-environment behavior' is demonstrated a preference for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with all factors, and also the group that 'low-environment awareness, and high-environment behavior' has relatively high average of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It shows high environmental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The suggestions b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constant efforts to have a lot of publicity activities to make young consumers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the process of cloth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activities need to be opened nearby the consumers, and they should get the information easily. Second, it has to teach not only environment awareness but also environment behavior as a environmental education. Theory without practice will serve for nothing. The development of study material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urgent. Third, the mass media such as internet, and TV has enormous influence with the young consumers, therefore it should be a primary role for their desirable consumption behavior, not just follow the fashion trend or brand too much. Forth, even though the results show that the young consumers' average of environment consciousness is mostly low, there is not re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could be possible that any kind of person could be a environment-friendly consumers later. Fifth, it needs some good publicity campaigns for disposal constantly, then the young consumers can figure out how to participate in any program about environment-friendly clothing disposal behavior actively. Lately, clothing buying behavior is the most important as the first step of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herefore, the young consumers should be provided some practical courses to understand that how important every step for the consumption behavior is, and they need to get the information how to plan it well before buying some cloth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