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0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capacity through the comprehensive, fairy-tale story applied music appreciation activity
Author
단은미
Alternative Author(s)
Dan, Eun-Mi
Advisor(s)
조인숙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의 음악 인지 능력과 음악 표현 능력 발달을 위한 바람직한 음악 감상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은 유아의 음악 인지(음색, 음높이, 리듬, 셈여림)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은 유아의 음악 표현(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K유치원 만5세반에 재원중인 원아 20명(실험집단-남 10명, 여 10명)과 I유치원 만5세반에 재원중인 원아 20명(비교집단-남 9명, 여 11명)이다.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실험집단 68.40개월, 비교집단 68.16개월로 두 집단 간의 연령별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인지 능력 검사는 김광자(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이 도구는 박명숙(1984)이 Seashore(1919)의 「Musical Talent Test」와 Lorton과 Walley(1979)의 「Music Materials for Teaching」을 참고로 제작한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음악 표현 능력 검사는 김광자(2004)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John Lorton, Bertha Walley.(1979)가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에서 제시한 총 89문항의 음악 발달 검사를 최영숙(1982)이 번안 제작한 것을 김광자(2004)가 20문항으로 수정한 것이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Window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악 능력 발달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은 음악 인지 능력(t=5.32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 능력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음악 인지 능력 영역 중 셈여림 인지 능력(t=5.109, p<.001)과 리듬 인지 능력(t=2.088, p<.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높이 인지 능력(t=1.934, p>.05)과 음색 인지 능력(t=1.584, p>.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은 음악 표현 능력(t=1.723,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표현 능력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음악 표현 능력 영역 중 악기 연주 표현 능력(t=2.160, p<.05)과 음악 만들기 표현 능력(t=1.723, p<.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노래 부르기 표현 능력(t=1.910, p>.05)과 신체 표현 능력(t=-0.636, p>.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음악 감상 방법은 구상적인 음악 감상과 예술적인 음악 감상으로 나누어 이루어지던 기존의 음악 감상 방법에서 벗어나 통합적으로 음악을 감상 할 수 있도록 제시해 주어 기존의 음악 감상 방법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유아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음악 감상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실제적인 교수를 가능하게 해주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effective the comprehensive, fairy-tale story applied music appreciation activity is for enhancing young children’s musical capacities. It is ultimately expected to provide a theoretically based and practically proved evidence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consider when they design and administer a music appreciation program to improve kids’ music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study issues are made as follows. 1. Will the comprehensive, fairy-tale story applied music appreciation activity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recognition capacities (timbre, pitch, rhythm and dynamics)? 2. Will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with the application of fairy tale stories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capacitie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 physical expression and musical improvisation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20 5 year-old kids from K kindergarten (10 boys and 10 girl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0 5 year-old kids from I kindergarten (9 boys and 11 girls). Both kindergartens are located in In-cheon. The mean ages of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ean 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68.40 months and that of the control 68.16 months.) Musical recognition capability was assessed by Kim(2004)’s revised version of Park(1984)’s tool, which based on Seashore(1919)’s 「Musical Talent Test」 and Lorton & Walley(1979)’s 「Music Materials for Teaching」. For the assessment of musical expression capabilities, Kim(2004)’s shortened version of 20 items was adopted. The original 89-item-long test, developed by John W. Lorton & Bertha L. Walley(1979) and translated by Choi(1982), is presented in the article,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test scor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sing SPSS Window 12.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y with the application of fairy tale stories has brough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al recognition capabilities (t=5.327, p>.001). More concret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dynamic (t=5.109, p<.001) and rhythm (t=2.088, p<.05), but such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recognition of pitch (t=1.934, p>.05) and timbre (t=1.584, p>.05). Second, the comprehensiv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y with the application of fairy tale stories has failed to br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al expression capabilities(t=1.723, p>.05). However, a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when each individual expression area was examined: playing musical instrument (t=2.160, p<.05) and musical improvisation ability (t=1.723, p<.05)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singing and physical expression didn't make a difference (t=1.910, p>.05 and t=-0.636, p>.05,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fairy-tale story applied, comprehensiv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capabilities. This comprehensive way of music appreciation will successfully complement the existing method, which has differentiated a concrete and aesthetic ways of music appreciation. This study is expected help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actual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by providing an example of a practically proved music progra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