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주거 공간에서 조도 기준의 최근 동향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 공간에서 조도 기준의 최근 동향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rend and Issue of a Illuminance Criterion in Residential Space
Author
서호원
Alternative Author(s)
Seo, Ho Won
Advisor(s)
현동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시력보호 및 생산성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조도의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각 평형 타입에 따른 실의 용도별 조명기구 및 조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근 조명기구 및 조도의 동향 및 문제점을 도출함과 동시에, 해결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결과적으로 쾌적한 주거공간을 위한 조도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 공급되고 있는 아파트 단위세대의 거실, 주방, 식탁, 안방, 침실, 욕실, 현관, 파우더룸을 집중적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조사 내용에 의거 평균조도를 산출 분석하여 최근 공급되는 단위세대의 조명 및 조도 현황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각 실별 조도환경을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거실의 평균조도는 500[lx]정도로 독서, 전화를 위한 평균조도 이상의 값을 얻었다. 아울러 거실의 경우 고급화 및 다목적실을 감안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방, 침실의 경우는 약 350[lx]정도로, 독서를 위해 국부조명을 혼용한 보다 효율적인 기구 배치가 필요한 걸로 나타났다. 주방은 약 500[lx]정도로 KS조도기준을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욕실은 평균 300[lx]가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수요자들의 공통된 요구사항임을 감안하면, KS조도기준의 보완이 있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현관은 조명기구의 단순기능을 중시하던 센서등에서 점차 고급화 추세였으며, 그로 인해 조도는 대체적으로 평형이 클수록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파우더룸은 전반조명은 만족하나 국부조명의 부재로 화장시 조도의 부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정리하면, 조명기구의 고급화·다양화 및 실의 용도별로 필요 이상의 조도 확보 또는 국부조명의 부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개선책으로 건설업체의 주택 공급시 조명기구의 옵션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protect the eyesights and improve productivity, it is important, above all, to set the level of illuminance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lighting fixtures and their illuminance by floor area of the room and its use by sampling som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reupon, examine the recent trend and issue of the lighting fixtures and illuminance and thereby, explore the solutions to suggest an illuminance criterion for a comfortable residential space. In particular,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illuminance in such parts of the unit apartment house as living room, kitchen room, dining room, back room, bedroom, bathroom, vestibule and powder room, and thereby, calculated their average illuminance to examine the lighting fixtures and illuminance of the unit apartment houses supplied rec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living rooms was about 500[lx], which was bright enough for reading and call conversation. In addition, the living rooms tended to be more luxurious, multi-purposed and diversified. The average illuminance of back rooms and bedrooms was about 350[lx], which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lay out the lighting fixtures more efficiently by mixing the local illumination for reading.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kitchen rooms was about 500[lx] meeting the KS illuminance criterion on the whole.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bathrooms was over 300[lx], which suggested that the KS illuminance criterion should be readjusted to meet residents' common needs. The vestibules tended to be more luxurious, just beyond being equipped with such simple functions as sensor. Hence,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vestibules tended to be lower, the larger they were. The illuminance of the power rooms were satisfactory on the whole, but due to lack of the local illumination, residents felt inconvenient for their make-u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lighting fixtures tended to be more luxurious and diversified, while the illuminance was rather higher for some rooms but rather lower in terms of local illumina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the lighting fixtures optional for the apartment hou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6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전기 및 전자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