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한종-
dc.contributor.author현철호-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7:01Z-
dc.date.available2020-04-03T17:17:01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62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4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 현대건축의 표현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공간 구성 수법을 규명하기 위한 글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은 대상작을 선정하고 대상작의 작품을 8가지의 유형 체계에 의해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국 현대건축을 보는 관점에 있어서 건물이 완성되어진 산물로만 평가하는데 그치지 말고, 건축가의 사고가 담겨있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표현 전개 과정의 변동 추이를 고려하는 바라보는 관점이 중심이다. 건축은 사회의 산물이므로, 대상작들의 작품성은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고, 80년대 이후에 국내건축계에서 일어난 사건들중 작품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사항들을 고찰한 후, 작품의 표현 전개 과정을 규명 하였다. 각 작품들을 기술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해당 작품의 건축가의 해설을 먼저 언급하고 건축물을 설계할 때 고려하게 되는 각종 도면과 이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를 중심으로 작품 프로세스에 관련된 8가지 유형 체계를 규명하였다. 대상작들을 선정하는 기준은 비교적 표현이 자유로운 소규모 전시관과 주택으로 한정한 결과 ‘헤이리 아트 벨리’를 선정하였으며, 헤이리안에서 3가지의 조건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첫 번째로 표현의 자유가 다소 자유로운 전시관이나 주택이어야 하며, 두 번째로 아틀리에 건축가의 작품이어야 할 것이며, 세 번째로 유학파와 국내파를 구분하지 않되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건축가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세 가지의 조건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23명의 건축가의 작품을 선정하였으며, 건축가의 작품은 1인 1작으로 한정하였다. 현대건축의 표현 양상은 공간적으로나 형태적으로나 다원화된 문화적 표현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초기 근대건축의 절대적인 영향들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한 현대 건축은 8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과 90년대의 해체주의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서는 더욱더 변화하는 사회의 복합성을 반영하게 된다. 다원화된 건축양식의 표현은 형태와 공간의 구성 및 다이어그램의 다양성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후기 모더니즘을 시작으로 디지털 건축, 랜디스케이프 건축, 네오모더니즘, 팝건축 등 용어의 정의와 어휘의 선택에서 혼동되어질 만큼 그 표현 또한 다양하다. 그만큼 국제화된 문화의 복합성, 정보의 공유로 인한 생활환경의 공유가 문화의 다변화 경향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현대건축의 ‘작품적 완결성의 표현 전개과정’이라는 측면에서 한국 현대건축 표현경향의 전개과정을 고찰해보고 공간 구성 방법을 유추하여 한국 현대건축 작품의 표현 전개과정을 평가론적 관점에서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s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determining its methods of structuring the space. To this end, this study sampled the architectural works reputed in the sample region and analyz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8 categories. It was deemed necessary to not just assess the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focusing on the buildings completed bu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its expressions containing architects' thoughts. Since architecture is a product of the society, it was judged that the sample works had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Then, the events of our domestic architecture community deemed to have affected them were examined, and thereupon, development of their express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analytical methods, architects' self-interpretations were introduced first and then, 8 categories related with the processes of the works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drawings and architects' intentions. Since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sample works were small-scale exhibition halls and houses allowing for relatively free expressions, 'Heyri Art Valley' was sampled. Then, the architectural works for the valley were randomly sampled according to three conditions. First, the sample works should be exhibition halls or houses allowing for free expressions. Second, the works should be designed by atelier architects. Third, some reputed architects' works should be sampled, regardless whether they had studied architecture abroad or in Korea. Thus, 23 architects' works were sampled, one work for one architectur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have tended to be pluralized cultural expression in both terms of space and form.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began to escape from the absolute influences of the earlier modern architecture since 1970's would be affected by post-modernism in 1980's and deconstructivism in 1990's and would reflect more changing social complexities in 2000's. Expressions of pluralized architectural modes would lead to diversified formal and spatial designs and diagrams. The expressions would be diversified enough to confuse definitions of terminology and selection of vocabulary: post-modernism, digital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Neo-modernism, pop art, and the like. Such diversification of cultures may well be attributable to complexity of the globalized culture and sharing of information and liv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Korea in terms of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s for architectural perfectness,' and thereby, infer from them the methods of structuring the space conducive to assessment of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s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현대 건축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Korea : Focused on Heyri Art Vall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현철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un, Cheol 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학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