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내원-
dc.contributor.author채종형-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6:53Z-
dc.date.available2020-04-03T17:16:53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62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2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병원건축계획에서 스페이스 프로그램(Space Program)은 단순히 면적배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계획 대상 병원의 진료수준 및 서비스수준, 병원조직 구성과 같은 의료환경과 공간에서 행하는 작업 정도, 소요인력, 소요실수, 공간간의 상호관계와 같은 공간구성 및 규모계획을 단위면적과 소요실수로 정량화하여 함축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설계 단계에서 현실적인 문제에 의해 조정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작성된 도면을 기초로 연구하는 것 보다 스페이스프로그램을 기초로 연구하는 것이 계획당시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병원건축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연구자나 연구기관, 설계사무소에서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작성되고 있어 작성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며, 그 정확성에 대한 판단 근거를 쉽게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확한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한 초기단계 연구로, 연대별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변화내용 분석을 통해 병원의 역할과 기능 변화가 스페이스프로그램 내에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병원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위치를 가늠하고, 정확한 스페이스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신뢰할 수 있는 연구자 또는 연구기관에서 작성한 병원건축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1980년부터 약 10년 단위로 선별하여 총 4개의 연구자료를 분석하여 연대별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1980년 이후 작성된 병원 설계를 위한 설계지침과 구체적인 면적구성에 대한 제안들은 연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1980년의 연구는 병원의 각 기능부문들에 대한 개괄적인 해설과 이를 통한 이상적인 실구성과 실들의 관계에 대한 기술이 주요 목적이었던 반면 2006년의 연구는 중요 기능에 대한 설계지침을 기술을 하고 있지만 이것 보다는 병원의 새로운 개념 도입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1980년 연구에서 41.7㎡이었던 국내 종합병원의 병상당 순면적 계획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 연구에서는 1.7배 증가한 70.4㎡ 였다. 부문별로는 공급부와 관리부를 제외한 모든 부문의 병상당 순면적계획이 증가하였고, 특히 중앙진료부, 교육연수부, 부대시설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병원의 역할이 변화되고 있는 상황이 스페이스 프로그램 내에 면적계획에 포함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또한 연구기관의 성격에 따라 작성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1980년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건축 계획이 연구되기 시작한 초기단계였기 때문에 기존 병원시설의 사례조사를 통해 경험적 측면에서 각 부서와 실을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조사목적이 강했다. 반면, 정부산하의 기관에서 작성된 1989년과 1997년의 연구는 병원의 건축계획보다는 운영과 수익문제 등에 중점을 두고 건축계획은 일부분으로 계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연구의 실 구성방식은 수학적 공식이나 통계에 의한 회귀분석방식을 취하여 새로운 병원건축계획을 제안하기보다는 안정적인 방식으로 공간을 구성하고자 하였고, 개별 실단위까지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학술단체에서 작성된 2006년의 연구는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기보다는 ‘치유환경적 요소의 도입’ 등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계획방향과 각 실의 기능에 수행을 위한 면적기준만을 제시여 설계자율적인 해석을 유도하였다고 판단된다. 4) 병동부의 설계지침변화를 통해 시대별 병원의 역할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지만, 구체적인 면적계획에서는 변화의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치유환경이라는 정성적인 부분을 병동부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외래진료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1980년 연구에서는 실과 대기공간의 면적으로 구분하던 것이 점차 구체화되어 2006년 연구에서는 개별실 단위의 면적계획이 작성되었다. 그러나 진찰실의 단위면적계획이 실제 운영중인 병원들의 평균 진찰실 면적에 비해 1.3배 크게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작성되고 있는 스페이스 프로그램과 실제 사용중인 동일 공간의 규모를 비교 분석하여 계획단계, 설계단계, 운영단계에서의 공간규모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의 원인을 찾고, 그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연구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중앙진료부는 부서별로 변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으나 분만부를 제외하면 대체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증가의 폭은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의료진과 직원들의 연구 및 업무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면서 실제 스페이스 프로그램 상에 관리 및 교육기능의 면적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단위면적의 비율변화를 통해 1980년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기준 모듈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였지만, 1990년대 이후에는 기준 모듈과 관계없이 개별실의 단위면적이 작성되고 있다. 이는 기준 모듈이 병동부의 병실을 중심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다른 부서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것이라고 추측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hospital architecture plan, the space program does not simply mean 'distribution of the areas,' but connotes hospital's levels of diagnosis and services,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edical environment, manpower, number of sickbeds, mutual relationships among spaces, spatial organization and scale expressed quantitatively in unit area and real numbers In addition, since some parts of the master plan need to be adjusted at the stage of execution design due to some actual conditions, the original planning directions could be more precisely checked when the execution design is based on the space program rather than the drawings. However, because the space program of the hospital architecture is designed individually by researcher, research center or design studio if necessary, its criteria may not be clear, much less the ground for judging its precision. This study is an embryonic research into the space programm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pace programs by period and examine how the changed roles and functions of hospital had been expressed in the space programs, and thereupon, estim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hospital space program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signing of the more appropriate hospital space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the hospital space programs designed by reliable researchers or research institutes for the last 3 decades since 1980 and divided them by the period of a decade, while selecting 4 researches, and thereby, comparatively analyzed the space programs over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sign guidelines and specific space program suggestions for hospitals since 1980 differed over time. A research conducted in 1980 focused on overall interpretations of each hospital function, while a research conducted in 2006 discussed the design guidelines for important hospital functions, proposing some directions for a new concept of hospital. 2) According to the research in 1980, the net area per sickbed of the hospital was 41.7㎡, which would expand 1.7 times to 70.4㎡ according to the research in 2006. In view of departments, the net area per sickbed increased in all departments but supply and management departments. Such increases were conspicuous in central diagnostic department, education and training department and annexes. Such changes may well be interpreted to the effect that the changing roles of hospital had been reflected in the area planning within the space programs. 3) In addition, the methods of designing the space programs differed among research institutes. The research in 1980 when the hospital building architecture began to be researched into tended to survey the cases of the hospital facilities to organize the departments and rooms from the experiential perspective. In contrast, the researche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in 1989 and 1997 focused on operation and revenues rather than the architectural planning which was designed as part of the project.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these researches suggested the ways to organize the spaces rather than plan the hospital buildings in a new way based on mathematical formulas or 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 They even suggested some design guidelines for each room unit. The research conducted by an academic group in 2006 suggested some criteria for area of each room together with such new concepts as 'therapeutic environmental elements' rather than some specific design guidelines. In short, the research induced the designers to interpret its criteria and concepts autonomously. 4) Although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roles played by the wards by reviewing their design guidelines, it was difficult to judge how such changes had been reflected in the specific space planning.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search into the ways to have the qualitative part or the therapeutic environment reflected in the space program for the wards. 5) The research in 1980 suggested a space program dividing the rooms and the waiting rooms in terms of area, and the research in 2006 suggested a space plan for unit rooms. However, the unit area suggested for the diagnostic room was as large as 1.3 times the average area of the diagnostic room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pace programs being designed and the actual scale of the spaces and thereby, determine the causes for the differences of the scale of spaces at the planning, executing and operating stages and find the ways to narrow the gap. 6) The space for the central diagnostic department tends to expand except for the delivery room, although the expansion differs among departm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expansion had decreased gradually. Recently, as medical staff and employees' requests for improvement of their research and work environment increase, the area for management and education functions in the space programs tends to expand. The space programs in 1980's divided the space according to some reference module, while those since 1990's specified the unit area regardless of such reference module. Since the reference modules are designed based on the scale of the wards, they are estimated not to be appropriate for other departments, which requires follow-up studi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국내 종합병원 스페이스 프로그램 변화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nges of Space Program in General Hospita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채종형-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학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