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종원-
dc.contributor.author김태흥-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6:40Z-
dc.date.available2020-04-03T17:16:40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61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73en_US
dc.description.abstract건설 산업의 노동 생산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표준품셈의 노무량은 매년 개정 작업을 통하여 노동 생산성의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해당 공사의 시공부위·공사 규모·작업조건 등에 관계없이 하나의 대푯값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노동 생산성을 현실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다소 부족함이 있으며, 실제로 노동 생산성의 측정 결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확하지 않은 노무량은 노동 생산성의 정확한 측정에 있어 어려움을 주며, 그로 인한 건설 산업의 발전 가능성의 분석 및 발전 계획의 수립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노동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007년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25개 현장에서 현상 실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Data를 기반으로 산출된 각각의 기능공의 단위 노무소요량을 표준품셈의 산정 기준과 비교하였다. 현장 실사를 통하여 도출된 각 공종별 실투입 노무량 수집된 Data는 강재거푸집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기존의 품셈에서 제시하였던 노무량에 비하여 낮은 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노무량의 감소는 첫째,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계화 장비의 사용, 사용 장비의 효율성 증가, 기능공의 기술적 숙련도의 증가, 사용 자재의 품질 개선으로 인한 작업 편의성 증가, 설계도서 표준화로 인한 작업의 단순화, 현장관리 능력 및 기술의 향상과 같은 생산성의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과 둘째, 현장의 작업 조건, 기후 조건 등과 같은 생산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지만, 이런 요인들이 노무량의 변화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생산성 저하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향상요인에 대한개선방안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분석된 노무량의 실측치가 각각의 콘크리트공, 철근공, 형틀목공 및 보통인부의 대푯값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으며, 현장투입 노무량만으로 전체 건설 생산성을 산정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단위 노무소요량이 일반적으로 표준품셈의 제시 노무량보다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은 날로 향상되고 있는 건설 산업의 노동 생산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측정된 노무 소요량이 현재의 건설 생산성을 더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건설 산업의 노무 생산성을 적절하고 현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nstruction productivity means the basis which evaluates directly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the ratio of putputs to inputs and the factor which can evaluate the growth of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construction industry is the labor intensity industry, so the labor productivity measurement method is generally used to evaluate its productivity. Therefore, the labor quantity data is gathered to comprehend the labor productivity of reinforced concrete work in Korean through visual measurement. Based on the data, the productivity per labor hour is calculated. After that, it is compared with the Standard Quantities per Unit of Korea to know the present state of the labor productivity. To understand the labor quantity accurately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accurat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the possibility to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Also, it effects on the devise a adequate plan for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 study abou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factors which effects on it was conducted. Also, the comparison of Standard Quantities per Unit in Korea with actual labor quantity was conducted through the visual measurement. Furthmore, the basis data was represented by the analysis of the reason of differences to evaluat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ccurately. Also, the way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represented in the near future in this paper.-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노동생산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in Reinforced Concrete Work-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태흥-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Tae He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설관리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