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 0

노년층의 자녀동거 여부와 거주지 이동의 관계

Title
노년층의 자녀동거 여부와 거주지 이동의 관계
Author
김혜원
Alternative Author(s)
Kim, Hye Won
Advisor(s)
김두섭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고령자의 자녀와 동거여부를 파악한 후 이에 따라 고령자의 거주지 이동방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사회는 평균수명이 증가하였고 고령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자의 은퇴 후 삶이 길어지고 있으며, 이동 비율 또한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동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젊은 연령층의 이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고령자의 이동은 고령사회의 도래에 대비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안들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를 위해 고령자를 자녀와 동반 이동한 집단, 자녀와의 합류를 위해 이동한 집단, 자녀와 별거이동을 한 집단으로 분류하여 설명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세 집단에서 나타나는 이동방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동방향은 도시의 규모를 기준으로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으로 나누어 현재 거주지와 5년 전 거주지를 조작하여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2005년 센서스 5%표본을 사용하여 그 중 이동한 고령자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고령자 개인적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본 인구학적 변수인 성,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를 분석에 함께 포함하였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자녀와 동거여부와 이동방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증에 앞서, 분석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후 GIS를 이용하여 세 집단 별 현재 거주지와 5년 전 거주지를 제시하였다. 이후 자녀와 동거여부를 구분한 세 집단별 이동방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녀와 합류를 위해 이동한 고령자 집단의 경우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에 비하여 여성의 비율과 연령이 높았으며, 학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 또한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에 비하여 무배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반면 자녀와 별거 고령 이동자의 집단의 경우는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에 비하여 비교적 연령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비율과 교육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혼인상태의 경우 유배우자의 비율이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와 합류를 위해 이동한 고령자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동방향은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를 기준으로 자녀와 합류하기 위해 이동한 집단과 별거하여 이동한 집단이 상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자녀와 합류하기 위해 이동한 집단의 경우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 집단에 비해 규모가 큰 지역으로의 이동이 나타났다. 반면 자녀와 별거하여 이동한 고령자 집단의 경우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집단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으로의 이동이 나타난다. 이는 가족 내 의사결정에서 자녀와 동거하는 고령자의 경우는 이동지역에 대한 의사결정이 자녀에 의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큰 규모의 도시로의 거주지 이동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자녀와 별거하여 이동한 고령자 집단의 경우는 이동지역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이 자녀보다는 고령자가 선호하는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녀와 동반이동을 한 고령자에 비하여 작은 규모의 도시로의 이동이 나타남을 알수있다. 고령자의 이동 목적지가 자녀와 동거여부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통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는 고령자의 단독가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가와 이에 대한 정책에 대해 논의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derly's place of residence on the elderly living together. Overall life expectancy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is rising in Korean society, which should keep a retired life of the elderly to be long and a moving ratio of the elderly to be increased. Nevertheless, many study of the domestic migration have focused on the movement of young people but this study of the elderly movement would be based on the various key policies for coming an aged society. An analytical model on elderly moving was classified three groups as explanation variables for this study. One of the elderly is moving together. Another is moving for living their children. The other is moving separately. The moving direction was classified metropolis, small town, rural area on scale of city. Handling present-residence and five-years-ago residence are composed as the dependant variables. 5 percents Sampling data of the Census for 2005 were used, the moving elderly of them were extracted and used. The sex,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s basic demographical variables were added to examine an personal character of the elderly. This study hypothesized about elderly moving direction and living together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is, this paper presents maps of the present-residence and five-year-ago residence by using GIS after check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n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to verify a different moving direction in the three group affected by living with their children. The moving elderly group for living their children appears a ratio of female, age was high and education level was low compared with moving together(with their children). The marital status also appears a ratio of spouseles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elderly group for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appears a ratio of male, education level was high and an age was low compared with moving together(with their children). The marital status appears a ratio of spouse was high compare with moving together(with their children) and moving elderly group for living their children There are major findings. Moving direction appears differently by reference group which is accompany the aged with his children. One group for living their children moves bigger scale region compared with reference group which is accompany the aged with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separately moving elderly group moves more small scale region compared with reference group which is accompany the aged with their children. This resul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who is moving direction's decision maker. For example, separately moving the elderly group moving directions' decision maker is the aged. So he make a decision for his favorable direction. But it is their children for reference group which is accompany the aged with his children and separately moving elderly group's moving direction decision maker. Therefore elderly moving direction is metropolises and cities. This result says that the study of the aged's moving direction is differ from residence with their children or not.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of offering political meaning for coming aged soc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