敵對的 企業買受의 防禦手段에 관한 硏究

Title
敵對的 企業買受의 防禦手段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fensive Measures of The Hostile M&A
Author
양순정
Alternative Author(s)
Yang, Soon Jung
Advisor(s)
이철송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Hostile M&A had not been revitalized in the past as the negative view that hostile M&A was considered 'usurpation of the right of management' was prevailing in Korea and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were inclined to protect the right of management of directors. However as provisions that had restricted ownership of listed stocks in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were made void as of Jan. 1994, the way for hostile M&A was open and with abolishment of provisions that restricted large scale ownership of stocks in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that prohibited external persons from owning stocks in a large scale to protect the right of management as of April 1997, a momentum to activate hostile M&A was triggered. In addition, market for hostile M&A was getting developed as related regulations having constrained M&A of companies was beginning to be renewed and relieved from that time through March 1998. However as cases of hostile M&A increased, cases in that bad effect of hostile M&A was prominent was beginning to show up. Especially some cases with conflict on the right of management in domestic companies caused by speculative foreign capital attracted people's attention. The case between SK corporation and Sovereign, the English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that between Hyundai Elevator Co., Ltd. and GMO, the foreign fund and that between KT&G and Carl Icahn represented the typical examples of conflict. While bad effect of hostile M&A emerged, so was discussion on defensive measures that could block hostile M&A beginning to run up. Those discussions were mainly composed of domestic defensive measures that could be feasible with local laws and introduction of new defensive measures that had been utilized in developed countrie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 of management. Defensive measures that local companies are using now include 'obtaining friendly shares' and 'renewal of articles of corporation'. Ways to obtain friendly shares also include mutual possession of stocks, alloocation of new stocks to friendly shareholders or the third parties and buying treasury stocks. In ways to renew articles of corporation, high retirement allowances for directors, super majority resolution, staggered board and conditional qualification of directors shall be included. As for introduction of new defensive measures, discussions on dual class share, golden shares and poison pill are being made and these are esteemed to resolve an issue of high cost and low effectiveness that is construed a limit of local defensive measures available in the scope of local laws. However as new defensive measures are contradictory to fundamental and important principles of established commercial law such as 'one share with one voting right' and 'shareholders of equality', opinions are opposing to each other.;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 적대적 기업매수를 ‘경영권 찬탈’로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였고, 여러 법제도가 이사의 경영권을 보호하는 쪽으로 제정되어 적대적 기업매수가 활성화 되지 못했다. 그러나 1994년 1월 증권거래법상 상장주식소유제한 제도가 폐지됨으로써 적대적 기업매수의 가능성을 열었고, 1997년 4월 경영권 보호를 위하여 외부인의 주식대량보유를 금지하던 증권거래법상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의 폐지되면서 적대적 기업매수가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 기업인수 합병에 제약이 되었던 관련 법규들 역시 이때부터 1998년 3월 사이에 개정되거나 완화되어 적대적 기업매수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적대적 기업매수의 건수가 증가하면서 적대적 기업매수의 역기능을 부각시킨 사건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일부 투기성 외국자본에 의한 국내회사의 경영권 분쟁사례들이 세간의 이목을 모았는데, 2003년 영국계 자산운용사인 소버린과 SK(주)간의 경영권 분쟁사례 및 외국계 편드인 GMO와 현대엘리베이터(주) 간의 경영권분쟁사례, 2006년 초 칼아이칸과 KT&G 간의 경영권 분쟁사례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적대적 기업매수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적대적 기업매수를 저지할 수 있는 방어수단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동 논의는 경영권 방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방어수단에 대한 것과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새로운 방어수단의 도입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현재 국내회사들이 주로사용하고 있는 방어수단으로는 ‘우호주주확보의 방법’과 ‘정관변경의 방법’이 있다. 우호주주를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주식을 상호 보유하는 방법, 신주를 우호주주 또는 제3자에게 배정하는 방법, 자사주를 매입하는 방법 등이 있고, 회사정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임원고액퇴직금제도, 초다수결의제, 임원의 시차임기제, 이사의 자격제한 제도 등이 있다. 새로운 방어수단과 관련하여서는 차등의결권주식, 황금주, 포이즌필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동 수단들은 적은 비용에 비해 강력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는 현재 국내 방어수단의 문제라고 지적되는 비효율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방어수단들은 ‘주주평등의 원칙’과 ‘1주 1의결권의 원칙’ 등과 같은 현행 상법상 기본적이고 중요한 원칙에 반하고 있어 도입에 대한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새로운 방어수단을 도입에 앞서 새로운 방어수단의 필요성과 상법상 중요 원칙의 수정여부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방어수단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법체계상 문제와 방어권 남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역시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