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9 0

영등포 쪽방촌 주민들의 삶과 도시빈민공간으로서의 기능

Title
영등포 쪽방촌 주민들의 삶과 도시빈민공간으로서의 기능
Other Titles
The Life of the Split-Room Village in Yeongdeungpo and the Function as a Space for the Urban Poor
Author
김효진
Alternative Author(s)
Kim, Hyo Jin
Advisor(s)
정병호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는 원인과 그 공간이 도시빈민들에게 수행하는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영등포 지역의 쪽방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2008년 3월부터 진행 된 현장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1950년과 60년 대 서울의 도시빈민은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유입된 농촌출신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겪으며 한국의 도시빈민은 그 성격을 달리하였다. 대량 실업 사태에서 발생한 경제 파탄 등으로 많은 가족이 해체되었다. 이 시기 급격하게 증가한 노숙자와 더불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곳이 노숙 바로 전 단계의 주거 형태로 파악되고 있는 쪽방이었으며 쪽방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 높아졌다. 쪽방은 보증금이 없는 일세 혹은 월세의 형태로 운영이 된다. 영등포 쪽방촌은 1970년대까지 사창가가 존재했기 때문에 그 당시 사용하던 건물을 쪽방 건물로 전환하기도 하며, 여인숙이나 여관을 쪽방으로 세를 놓기도 한다. 쪽방은 2㎡~6.6㎡ 사이의 작은 방으로 보통은 1인이 거주한다. 화장실과 세면실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쪽방촌에는 쪽방에 거주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건물 바깥에서 거주하는 노숙인도 많다. 영등포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은 노숙인 포함 약 500여 명으로 추산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등포 쪽방에는 서울의 도시화 초기에 유입된 농촌 사람들, 생계 곤란 및 가정 파탄으로 인해 유입된 사람들, 유기 및 도피로 인해 유입된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영등포 쪽방촌에서 태어나 자란 주민은 거의 없으며 영등포 쪽방촌으로 유입되기까지의 경험도 상이하다. 이곳 사람들은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서 노동을 하기도 하고, 일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노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직업소개소와 인력시장을 통해 비숙련 노동을 하거나 영등포 쪽방촌을 지원하는 단체에 고용되어 돈을 번다. 노동을 하지 않는 무직자들은 국가에서 받을 수 있는 기초생활수급대상자이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구걸을 해서 생활을 유지한다. 이들은 더 많은 자원을 유리하게 획득하기 위해 노동자나 무직자의 삶을 넘나들기도 한다. 영등포 쪽방촌 외부의 사람들과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 알코올 의존 및 중독 증세를 보이는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술을 살 수 없는 주민들은 술을 얻기 위해 구걸을 하거나 절도를 시도하는 것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적절한 때에 위생관리나 의료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것이다. 이들은 30대가 되면 치아가 유실되고 피부의 탄력이 현저히 떨어져 쪽방촌 바깥의 사람들보다 나이가 더 들어 보인다. 셋째, 많은 심신질환자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체적으로는 피부병, 신체부자유, 지체장애, 청력 및 시력 장애 등이 쉽게 관찰되고, 심리적인 병적 증세로는 우울증과 지적장애를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철망담과 건물들로 인해 이곳은 외부와 물리적, 시각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들 역시 쪽방촌 안과 밖에서 인식과 행위가 전이된다. 이들은 쪽방촌 안에서와 달리 그 바깥에서는 불편함을 느끼며 행위가 위축된다고 고백한다. 쪽방촌 내부에서는 야외와 실내의 경계가 모호해 야외에서 잠을 청하는 사람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쪽방촌 주민들에게 있다. 주민들은 쪽방촌 내부에서만 편안함을 느끼며 그들의 공간 인식은 제한적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빈곤 주택의 형태들이 재개발이나 기타 도시계획에 의해 해체되고 있는 현재, 쪽방촌은 가난한 공간의 상징이 되어가고 있다. 쪽방촌 주민들은 가난하고 불우한 이웃 혹은 불결하고 배우지 못한 범법자라는 이중적인 시선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선은 쪽방촌이 이중적인 행위의 대상이 되도록 만든다. 즉, 쪽방촌은 도와야 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동시에 감시해야 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쪽방촌 주민들은 쪽방촌을 한계적인 공간으로 인식하면서도 ‘사람 냄새 나는 동네’로 의미화 시킨다. 영등포 쪽방촌에는 보증금이 없이 입주할 수 있는 거처 외에도 가난한 삶을 위해 준비된 것들이 많다. 바로 매끼 제공되는 무료 급식, 쪽방촌 주민이라면 입소할 수 있는 쉼터와 상담소,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병원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사는 공간’이라는 정서적인 안정 역시 쪽방촌에 준비된 것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reason why the urban poor live together and the function of the space for the poor. this study was accomplished in a split-room village in Youngdeungpo, Seoul and this thesis was based on the research which was started March, 2008. The urban poor of Seoul in the 1950s and the 1960s was composed of people who were from the rural side. they came to Seoul as the rapid urbanization. the end of 1990s, the economic crisis changed the character of the urban poor. the mass unemployment caused the disbanding of families. the split-room villages has been observed with homeless since that time. because the split-rooms were grasped as the form of pre-homeless. so the concern to split-room village has increased socially. Split-rooms are operated daily rent or monthly rent without the deposit. because the space of the split-room village in Yeoungdeungpo was an prostitute quarters until 1970s, some of buildings were used as a quarters for prostitution, or inns are also hired as split-rooms. the width of a split-room is between 2㎡~6.6㎡. it is very small and one person lives usually. dwellers of rooms share toilets and washrooms. But also lots of homeless live not only dwellers of rooms. include the homeless, about five hundreds people live in the split-room village in Yeongdeungpo.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Three kinds of dwellers live in the split-room village of Yeongdeungpo. who were flowed when the urbanization of Seoul, who were flowed because of difficulties of livelihood or breaking of households, who were flowed because of desertions or escapes from kinds of dangers. it means there are little dwellers who were born in the split-village in Yeoungdeungpo, so they have different experiences to be the village. Some of dwellers work for living. they do unskill works through employ agencies or labor markets. part of them are hired by supporting agencies in the village. dwellers who do not work ar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or they beg for their living. dwellers frequently cross to workers and unwageds to get necessary resources more easily. I could find something different between dwellers and outsiders of the village . first, I could meet alcoholics more frequently than outside. I could observe their begging or trying to steal alcohol if they do not have money enough to buy. second, they look older than their real age. because they can not take health controls and medical services pertinently. they loss their teeth and vitality of skin quickly. third, I could find lots of patients - physically skin disease, handicaps, blindness, deafness and mentally melancholia and mental deficiency. This space is isolated physically and visually by fence and buildings. moreover, behaviors of dwellers of this village are different at outside and inside of the village. they confessed that they feel uneasiness and shriveling outside of the village. I could see people who tried to sleep outdoor in the village because of ambiguity between outdoor and indoor. they feel at easy only inside of the village. their recognition of space is limiting - only inside of the village. Lately, split-room villages are symbolized of the urban poor in Korea. another kinds of spaces of urban poor has been disappeared because of redevelopment and urban renewal. dwellers of split-room villages are exposed by double view as poor, unhappy neighbors and dirty, uneducated lawbreakers. split-room villages have been objectified of double action from outsiders because of this view. it means, to outsiders, they are people who needs help and who have to be watched at same time in split-room villages. dwellers of split-room villages understand inferiority of their space but also give meanings as 'a real village which smell of alive people'. In The split-room village of Yeoungdeungpo, lots of resources exist for poor lives. beside rooms which are rent without deposit. there are no charge meal services, shelters for dwellers of the village, no charge medical service as well. furthermore, dwellers can comfort each other emotionally to live togeth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