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영철-
dc.contributor.author오임정-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4:03Z-
dc.date.available2020-04-03T17:14:03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9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43en_US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나라 대학의 무용(학)과는 계속 증가하여 수많은 무용인들을 키워 냈을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무용을 배우고 있어 무용 인구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무용을 보는 시각이 변화되고 인식도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대학 무용교육은 무용가, 교육가 등 지도자 양성 구축의 출발과 우리나라 실정에 비추어볼 때 45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비해 많은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의 사회는 전문적인 기술과 고도의 전문화를 필요로 하는 사회이므로 우리의 무용교육도 좀 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에 있어 질적인 확장의 시급함을 인식하고 한국과 러시아 대학의 무용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대학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3개 대학(이화여대, 한양대, 경희대)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러시아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러시아 극장예술 종합대학 (기치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문화예술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음악원 (림스키 컨서리바토리)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Ⅱ장 에서는 무용교육의 의의와 한국과 러시아의 초기 무용 발전과정부터 오늘날 대학의 무용교육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무용관련 저서와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Ⅲ장에서는 선정된 한국의 3개 대학과 러시아의 3개 대학 교과목, 교과내용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였고 Ⅳ,Ⅴ장에서는 무용교육 과정과 지도방법을 학교요람, 인터넷 등 연구 자료 조사 후 인터뷰를 통하여 이론과 실기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 Ⅵ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에 따라 앞으로 무용교육이 보다 전문적이고 발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국내 대학의 교과과정을 현재의 발레, 현대, 한국무용의 실기 3전공 이외에 무용교육가(지도자)과정, 안무가 과정 등의 각각 심화된 전공과정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둘째, 교육의 연계적, 단계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무용 음악부분의 추가과목개설과 교육 강화가 시급하다. 넷째, 문학 및 역사부분의 인문학적 과목의 개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과목의 중복과 수많은 세분화를 적정수로 줄여서 집중적으로 세밀화 된 과목설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도방법에 있어 단순 주입식 교육이 아닌 실기와 이론이 적절히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러시아 대학의 교육과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비교하는 정도에 머물렀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개선방향을 위하여 전문적인 견해와 함께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se days dance departments at college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as a result many dance-related persons have been brought up. In addition, as a lot of people in general have begun to learn various dances dance population is in the trend of increase, and the viewpoints on dancing are changing better as well. It is also true that the dance education at colleges has don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ance development, bearing many dancers, school teachers, and instructers during the past forty five years, which can be said very short history. However, society now requires not only professional techniques but also highly specialized levels on dances, so that the dance education should be done more specifically and professionally. Therefore it is urgent to qualitatively develop the dance education at colleges. On the basis of this standpoint, this paper focuses on seeking the methods for improving colleges' dance education curricula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s both Korean and Russian universities. In this paper the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s from three domestic universities and three Russian universities a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universities are : Ewha Women'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Kyunghee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Russian Academy of Theatre arts(GITIS), the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of Culture and Arts, and the Rimsky-Korskov St. Petersburg State Conservatory in Russia. In the second chapter literatures about dances including books, documentary records or treatises are studied; Here the main contents are the meanings of dance educati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n Russia and Korea and the realities of today's college dance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 general dance education of the six domestic and Russian universities are in analysis; Here include dance textbooks, curricula, and main contents. In the fourth and fifth chapters the dance education process and instructional methods are studi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lated persons, which have been done in the separate parts of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the results and problems found in the study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qualitative and quantum level. In the last sixth chapter, as aforementioned the conclusion and some suggestions are remarked for th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These are as followings; First, the dance curricula of domestic universities maintain ballet, modern dance, Korean dance, but they should include such deepened majoring curricular as courses for dance teachers and for choreograp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 structure for providing professional knowledge. Third, it is also urgent to add a course for dance music. Dance music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Fourth, it is absolutely in need to establish a course for humanistic studies including literature and history. Fifth, some majoring courses are overlapped, so the detailed courses should be reduced to a few courses. Sixth, when instructions are given, the simple imputation of knowledge must be avoided and it is important to be balanced with theory and practice. The study just compares the dance education only between Korea and Russia. Therefore beyond such a limit more deepened studies could be done for the systematic and concrete ways for dance education, which will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world in general.-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러 무용(학)과 대학 교육과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e Curricula and the Instructional Methods at University of Korea and Russi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오임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Oh, Im 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발레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