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0

무용수업에서 지각된동기분위기와 내적동기 및 연습참여 의도간의 인과모형검증

Title
무용수업에서 지각된동기분위기와 내적동기 및 연습참여 의도간의 인과모형검증
Other Titles
Testing a Causal Model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Intrinsic Motivation, and Practice Participation Intention in Dance Classes
Author
김은희
Alternative Author(s)
Kim, Eun Hee
Advisor(s)
이숙재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동기에 근거하여 무용과 대학생들이 무용 수업에서 지각하는 동기분위기와 성취목표 성향이 지각된 유능감, 내적동기 및 연습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성취목표 성향이 지각된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내적동기와 연습참여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4년제 대학 무용학과 남녀 학생 754명이 본 연구를 위한 척도 검증과 구조모형 검증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의 적합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에 141명(남학생 9명, 여학생 132명),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proule et al., 2007)와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 the effect to the atmosphere of motive perceiving in a dancing class, sense of ability perceived achievement goal, intention to practice and internal motivation by colleg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based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it is to inspect the effect to internal motivation and intention to practice carried by sense of ability perceived achievement goal. 75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dance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participated to test measures and to inspect structure model for this research. 141 students (9 males, 132 females) participated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236 students (11 males, 132 females) participated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o inspect whether test paper used in this research is suitable or not. 377 female and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o inspect structure model. I selected study objects by convenience sampling aimed at all of students in the dance department of 6 universities. I used a test paper for perceived atmosphere of motive, achievement goal, perceived sense of ability, internal motivation and intention to practice to verify the structure model among variables of this research. Data was conducte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SPSS 12.0 and AMOS 6.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belows. The first, experienced atmosphere has relations with all variables except a perceived sense of ability, and achievement atmosphere has relations with all variables except a internal motivation. And propensity to subject and personal inclination also have relations with sense of ability, internal motivation and intention to practice. The second, experienced atmosphere directly affects to propensity to subject. And consciousness of achievement atmosphere directly affects to personal inclination strongly. Propensity to subject directly affects to internal motivation, but doesn’t indirectly affect through perceived sense of ability . The third, personal inclination directly affects to sense of ability, and perceived sense of ability directly affects to internal motivation and intention to practice. Internal motivation has positive relation with intention to practice. The fourth, personal inclination goal doesn’t affect to intention to practice after the class carried by perceived sense of ability.; CFA)에 236명(남학생 11명, 여학생 225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인 구조모형 검증에는 377명의 남녀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무용학과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변인간의 구조모형 검증을 위하여 5종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중에서 한국형(판)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은 2종의 검사지(내적동기 및 연습활동 의도 검사지)에 대해서는 이강헌과 김병준, 안정덕(2004)이 소개한 심리검사지 번역절차에 준하여 번역 및 번역본 검토과정을 거쳐 무용 상황에 맞도록 차용하였다. 모든 검사지는 무용 및 스포츠심리검사지 전문가 3인과 무용학 박사학위 소지자 2인의 참여에 의한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본 연구는 5단계의 연구절차를 적용하여 진행하였고, 자료수집을 위해서 먼저 표준화된 검사지를 수집하고 대학의 무용수업 상황에 맞게 수정 및 전문가들과 함께 최종 검토를 하여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중응답, 응답 누락 혹은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12.0과 AMOS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 적률상관분석,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분위기는 지각된 유능감을 수행분위기는 내적동기를 제외 하고 모든 변인과 정적 관계가 있으며, 과제성향과 자기성향 역시 유능감, 내적 동기, 연습의도 간에 정적으로 상관을 보였다. 이 결과는 대부분 기존의 관련 연구와 일치 하고 있다. 둘째, 숙련분위기는 과제성향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수행분위기 지각은 자기성향에 직접적으로 강한 영향을 주었다. 과제성향은 내적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지각된 유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향은 유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지각된 유능감은 내적동기와 연습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내적동기는 연습의도와 긍정적으로 관계가 있었다. 넷째, 자기성향목표는 지각된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방과후 연습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수행된 2편의 선행연구의 결과(박중길, 2008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