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각중-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3:54Z-
dc.date.available2020-04-03T17:13:54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9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03en_US
dc.description.abstract사회의 변화 속도는 점차 증가하여 그 속에서 인간의 삶과 예술은 부단히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예술개념, 새로운 예술 형식, 그리고 새로운 표현수단, 새로운 매체를 요구하게 되었다. 무용분야도 다른 예술분야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매체와 접촉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새로운 안무기법과 안무 형식을 갖게 되었다. 무용작품에 있어 장면에서 요구되는 세노그래피, 즉 시청각적 모든 요소들의 예술적 통일성을 확립시키는 것이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무용작품에 나타난 세노그래피의 활용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과 재해석을 통하여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작품에서의 세노그래피를 활용하여 새로운 무용연출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에 따른 방법으로는 연구 목적을 위해 국내 외 서적, 논문, 정기간행물, 전문서적을 통한 문헌연구와 국외 작품에서 세노그래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세노그래피를 연구함에 있어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과 역할에 대해 정리하였다. 무용작품에서 나타난 세노그래피의 활용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현재 무용계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로이드 뉴슨과 빔 반데키부스의 작품을 선택하여, 장면별 무용수와 움직임, 시각적 효과(무대, 조명, 의상, 영상), 청각적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행에서 주어진 결론을 종합, 분석하여 그 활용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해본 결과 무용작품에서의 세노그래피 활용은 정형화된 공간에서만의 표현이 아닌 무대라는 개념을 넓게 확장시키며 관객과 무용수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결과를 창출시킨다. 또한 청각적 요소인 소리나 대사를 적극 사용함으로써 표현의 한계성을 극복하며, 다양한 매체의 사용으로 예술작품의 상호 창조성을 보여주고, 이러한 요소들이 한 작품 안에서 사용됨으로써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과 총체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세노그래피의 활용은 타 예술과의 구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함을 통해서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관객들에게 무용공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질적인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그리고 작품의 전달에 있어서 움직임과 함께 세노그래피가 조화를 이루고 적절히 활용되면서 사고에 의한 이해보다는 직접 보고, 듣고, 느낌으로써 보다 쉬운 형태로 내용의 전달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는 곧 세노그래피의 성공적인 활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이 단순히 구술언어나 문자언어에 의해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무용의 발생이 몸짓 즉, 본능에서 시작되었듯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원초적인 감각적, 신체적, 기관으로부터 통해져 전달된다는 점에서 보았을 때, 세노그래피의 활용은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확대를 통한 대중화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분야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무용의 형식과 내용이 주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새로운 감각의 세노그래피 활용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매체를 통한 문화의 창조적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무용작품에 나타난 세노그래피의 활용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cenography Application to the Direction of Dance : emphasis on ´Lloyd Newson´ and ´Win Vandekybu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은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Eun 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현대무용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