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호-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1:17Z-
dc.date.available2020-04-03T17:11:17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7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2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김춘수, 오규원, 이승훈의 시를 각 시기별로 고찰하여,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서술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구현되는 주체 인식의 변모 양상을 논의한다. 세 시인은 하나의 형식적 미학에 고착되지 않고 끊임없는 자기 갱신을 통하여 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노력해왔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지속적인 형식 실험은 시를 고정된 실체로 보지 않으며 예술의 고착화를 거부하는 자기반성의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불변하는 고정된 실체로서 기존의 문학 장르가 누리는 특권을 거부하고 보다 새로운 시학을 찾으려는 전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가 내재되어 있다. 특히 이들의 시를 통해 일상적 언어의 사용을 지양하거나, 은폐된 언어의 구조를 가시화시킴으로써 주체 우위의 인식론에 회의와 반성을 도모하며,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세계와 나를 대립적으로 구분하는 이분법적 인식을 불식시키려는 시도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시에서 대립이 아닌 대대(待對)의 사유로 나아가려는 인식론적 전환이 발견되는 것은 이들 시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미학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계기가 된다. 본 연구는 김춘수, 오규원, 이승훈 시의 서술기법이 지향하는 시적 의도를 다음과 같이 구명(究明)한다. 먼저 김춘수, 오규원의 초기시는 동일성 구조의 문장을 구사하여 시어의 상징성을 고양시키고 있다. 상징의 고양이란 시적 언어에 대한 믿음이며, 이는 곧 인간의 상상력이 보이지 않는 세계의 이면에까지 미칠 수 있다는 동일성에 대한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을 밀고 나아가는 오규원의 시와 달리 김춘수는 인식의 상징작용에 대한 인식론적 회의를 노출시킨다. 상징의 작용으로 닿을 수 없는 인간 인식의 한계는 주체의 의식작용에 대한 한계라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이승훈의 시는 병치은유의 작용을 통해 파편화된 자아의 편린을 노출시키려는 기법을 보인다. 이러한 방법론은 세계와 불화하는 주체의 세계에 대한 대결의지를 표상하며, 한편으로 공포, 불안의 정서를 극대화시킨다. 이성의 작용에 억압당한 무의식의 심연을 노출시키려는 이승훈 시는 합리적 세계에 대한 부정과 공포를 노출시킨다. 이들의 중기시는 실험의식이 극대화되어 나타난다. 서술 기법 상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기존의 시의 기법을 해체하는 서술 방식이 곧 시의 의미를 구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② 탈장르적 서술의 방식은 기존의 서정시의 방식을 무너뜨림으로써 다층적인 세계 현상을 형상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③ 시 장르에 대한 비평의 역할을 하는 시론 형식의 시를 형상화하여 기존의 시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려 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각 시인에 따라 인식적 차이를 발생시킨다. 김춘수의 시는 무의식의 형상화를 통해 이데올로기나 역사를 부정하고 주체 중심적 사유를 전복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는 근대 사회의 체계가 개인에게 행하는 폭력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오규원의 시는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며 일상 속에 깊게 매몰되어 있는 주체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이다. 특히 그의 시는 산업사회의 구조 속에 매몰되어 주체로서 살아가지 못한 인간 존재의 부조리한 모습을 드러내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오규원의 시는 제도에 매몰된 존재의 모습을 자기반영적 서술을 통해 구조적으로 파헤치려 했다는 점에서 미학적 독자성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승훈의 중기시는 근대라는 억압의 실체가 초기시보다 뚜렷하게 드러난다. 이승훈 시의 자아는 주체의 이성(세계) 작용에 의해 억압된 자의식을 나타내며 언제나 세계와의 대결에서 패배하고 도주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춘수가 벗어남의 시학을 지향했던 반면, 오규원, 이승훈의 시는 근대 사회의 부정성과 억압된 주체를 시의 구조를 통해 형상화하고자 했다. 그러나 오규원은 억압의 동인을 산업사회의 구조와 이에 동화된 자아에서 찾고 있지만 이승훈은 언어에 의해 자동화된 우리의 인식 방식이라는 내부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노정한다. 후기에 이르러 이들 세 시인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하나의 지향성을 보이고 있다. 김춘수와 오규원의 시는 일견 풍경시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하나의 고정된 시선이 배제되어 있다. 이는 적극적으로 인간 중심적 시선을 전복시키고, 대상과 주체가 동등하게 상호주관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시선을 형상화하려는 노력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자연과 인간을 대립적으로 보지 않으며, 상호주관적으로 인식했던 동양적인 미학과 연계된 지점에 서있다. 두 시인은 관념적 정신을 배제하고 세계의 변화와 흐름이 지속되는 현상 중심의 세계를 포착하는 시적 화자를 형상화함으로써 대대(待對)의 사유로 한 걸음 다가갔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승훈의 시는 일상시의 형식을 통해 시와 비시(非詩)라는 이분법을 불식시키고 시에 대한 정체성을 해체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구분하고 개념을 고정시키는 인식을 지양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세계와 나의 구분이 없는 불교적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체에 대한 인식이란 인간이 세계를 사유하는 방식에 대한 통찰이며, 세계와 인간이 관계 맺는 위치와 필연적으로 연관된다. 또한 자기뿐 아니라 사회, 문화적으로 규정되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탐구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시문학사에서 모더니즘 문학은 주체 인식이나 현실에 대한 비판성은 거세되고 수사적이고 기교적인 면만 부각되어 나타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세 시인의 서술 기법은 세계와 언어를 연결하는 시적 긴장을 유지하면서 절대적 시선이나 고정된 시선이 허구라는 주제를 밀고 나가는 모더니스트의 시정신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들은 직접적 저항으로 나아가지는 않지만 주체의 억압적 상황, 상대주의적 세계관, 불확실성의 형상화를 통해 근대라는 사회의 불합리성을 육화시켰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의 시는 근대와 탈근대의 단선적인 논의로 구분될 수 없으며 좀 더 다층적이고 복잡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드러내준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 시인의 시는 후기에 들어와 동양적 사유와 관련된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시에 나타나는 동양적 사유는 내세를 향한 초월적 의지와 무욕이나 생태주의로 지향되는 윤리에 수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동양적 미학의 특성을 보이는 전통적 서정시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김춘수의 시가 순환적 시간의식을 통해 주체의 의식이나 실존이 거대한 시간 속에 무화되는 인식을 보여주며, 오규원의 시가 주체 중심적 사유를 벗어나 현상적 이미지를 통해 세계가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인식을 드러내는 것, 이승훈의 시가 선적인 인식을 통해 탈주체적 사유를 보이는 것은 우리의 모더니즘 시가 나타내는 하나의 독자성이다. 현대성(modernity)에 대한 비판과 탈근대성에 대한 지향이 노자의 철학이나 선불교와 같은 탈중심적이고, 탈주체적인 동양적 사유와 연관되어 있는 양상은 우리 모더니즘 시가 이루고 있는 하나의 경향이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descriptive techniques of poetry and deals with the changing aspects of self-recognition in the poetry by inquiring into the poems of Kim-Choonsoo, Oh-Kyouwon, and Lee-Seunghoon, considering their writing periods. Those three poets had not held firm to just one formal aesthetics, but they constantly had tried to widen the horizon of poetry through various experiments. Self-reflection could keep an art from being stuck through the constant experiments on the forms of poetry. Their poems seem to resist the privilege of previous genre of literature and tend to be more avant-garde and active seeking of new poetry. Especially, those poets tried not only to free themselves from bond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ordinary language but also reveal the secret of a language system. This is to contemplate the self-centered recognition and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self and the world. This study shows their new ways of cognition to conceive a person and an object equally in their poems. The intentions of the poems by Kim-Choonsoo, Oh-Kyouwon, and Lee-Seunghoon found in the descriptive techniques of their poems are following: The early composed poems by Kim-Choonsoo and Oh-Kyouwon show the world of identity through the symbols of poetic words. Symbol is believed to enable human's imagination to reach the invisible world in the poetry. The poems by Kim-Choonsoo however, seem to be skeptical to the function of this symbolization, compared with those of Oh-Kyouwon. Admitting the limitation of human's imagination means realizing that of human's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the poems by Lee-Seunghoon are willing to reveal some part of fragmentary ego through diaphor. By doing this, his poems would show the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enhancing the sense of phobia and uneasiness. The poems of Lee-Seunghoon deny the rationality of the world and expose the unconsciousness suppressed by the reasoning power. Their mid-terminal poems are strengthened by the awareness of experiments. The descriptive techniques of this period are summed like following: Firstly, the way of deconstructing the system of a language is the essential element of materializing the meanings of poems. Secondly, the technique of deconstruction of a Genre in their poems destroys the conventional ways of lyric poetry and shows the various aspects of the world. Thirdly, their poems tend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previous poems have, using an essay on poetry. This technique results in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from poet to poet. The poems of Kim-Choonsoo disclaim ideology and history and would subvert the subject-centered way of thinking in the way of exposing unconsciousness. This is the will to get out of the violating suppression to an individual in the modern society. The poems of Oh-Kyouwon criticize the industrial society and individuals who live passive and ordinary lives, which reveals the human being's absurdity who cannot live their own lives subjectively, being indulged in the system of industrial society. Oh-Kyouwon's poems have aesthetic originality in that his poem is willing to show its self-reflec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oem itself. The mid-terminal poems of Lee-Seunghoon show self-consciousness suppressed by modernity. The subjects of his poems struggle to win the world but fail and escape. The poems by Oh-Kyouwon and Lee-Seunghoon would form contradictions and a subject suppressed by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structure of poetry. Oh-Kyouwon finds the reason of suppression in the structure of industrial society and a passive ego, while Lee-Seunghoon finds it in one's cognition automated by a language. One cognitive directivity is found in the poems of the three poets in the late period of their writing poems. The poems of Kim-Choonsoo and Oh-Kyouwon seem like scenery poems, but they are not. Their poems overthrow the human-centered views and show their mutual relations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is relates with the oriental aesthetics in which conceives human and nature as mutual subject. The poems of Lee-Seunghoon would remove the dichotomy in diverging poems and non-poems and overcome the fixed idea of poetry. This cognition is based on the Buddhist contemplation which gets one to throw away the obsession of ego and not to divide oneself from the world. The cognition of subject is to contemplate the way of human being's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him or her. This is related with the relation which human beings have with the world, moreover it can be extended to a study of oneself and an ego prescribed by the society and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modernism has emphasized the rhetoric and technical parts not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reality in the history of our own history, however as covered above those three poets' descriptive techniques are related with the critical spirit of poetry of modernism. These poets disclose the irrationality of modern society without resisting directly but indirectly. Those three poets' poems of their latter term are similar to the oriental philosophy. The oriental contemplation, will to the life to come, unselfishness and ecology found in the lyric poetry are generally related to ethics, however their poems are different. Their poems relate with the oriental philosophy in that they struggle to get out of the subject-centered cognitive way and their relation to the world is formed reciprocally. This inclination is one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ch our own poems have in the period of modernism.-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모더니즘 시의 서술기법과 주체인식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escriptive Techniques and the subject in Korean Modernism Poetr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지선-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s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현대문학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