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2 0

1920-30년대 신여성 담론의 소설적 반영 양상 연구

Title
1920-30년대 신여성 담론의 소설적 반영 양상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phases for the new women discourses reflected in the novels of 1920-30s
Author
김현주
Alternative Author(s)
kim, hyun-ju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various aspects about the discourses focusing on the new women in 1920-30s, then analyzing the ways of impersonating and shaping the new women within the novel in those times. That is, this thesis attempted to scrutinize how the feature of the new women is defined in several layers of discourses, the image of the new women is created and formed by the discourses of the new women. In chapter II, three issue-the background of the appearing of the new women, the subject: how degree we can limit the extents of the new women, the phases of the new women discourses are studied. The common code defining the new women was 'learned woman', but from the contemporary notes, it is verified that such a conception was not a absolute criterion, so the extents of the meaning of the new women can include them of knowledge and education with such as appearance and manner of dressing. And also the new women discourses in 1920-30s are divided into free love, feminine virtue and sex, maternity, then the background, significance, feature of such discourses emerged are scrutinized, and the phases of change about them in having splitted with dominant discourses of those times would be pursued. In chapter III, under the premise that political meaning of specific discourses, images, emblems are not confirmed but can be changed with contexts suggested by them(discourses, images, emblems) and conditions announced articulately, on the basis of the new women discourses studied in chapter II, the phases imaging and reappearing the feature of the new women in the novel would be scrutinized. The new women was described as the character superficially seeking the love but internally depending on the economic power of men, indulging in lavishness, menacing character alluring the man by using her sexual attractiveness or degenerated character losing the faithful ideal. And also the modern women was expressed as the character who should perform the duty of the feminine virtue, breeding with professional aspects weakened, though she was asked to have a job to be dependent economically, and the character conducting both housekeeping and nursing sincerely with possessing the modern knowledge. Like this, in the novel of 1920-30s, when the new women discourses was in discord with dominant discourses and made a split with those, she was featured negatively as the character extravagant, degenerated sexually. And also the new women was depicted like the character who should flawlessly practice the duty of the feminine virtue and breeding as the mechanism to consolidate a patriarchal system and rights, and here the intention defining the conception of the new women only as 'great mother' is immanent. In this way, the new women discourses of 1920-30s, rejected or cracked by dominant discourse in the relation of pressure and conflict, were constituting gradually the contemporary discourse. In this process, the new women got the fixed image distorted and reformed to confirm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novels, newspapers, magazines and so on. And it is problematic in that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ion of the new women defined by the dominant discourse has been functioning in available until now.; 본 논문은 1920-30년대 신여성을 둘러싼 담론의 제 양상을 살펴본 후 당시의 소설 속에서 신여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체현되고 형상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즉, 신여성 담론이 신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어떻게 생산해나가고 고착화시켜 나갔는지, 신여성이라는 존재가 담론의 다양한 지층 속에서 어떻게 규정되어지고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신여성이 등장하게 된 배경, 신여성의 범위를 어디까지 한정시켜야하는 문제와 1920-30년대에 제기되었던 주요한 신여성 담론의 양상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여성을 규정하는 공통된 코드는 ‘배운 여성’이라는 점이었지만 당시의 자료 속에서 그것이 절대적 기준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 신여성의 의미 범주를 지식과 교양의 범주와 함께 신여성과 비슷한 외양과 차림새를 한 것까지 포함하고자 했다. 또한 1920-30년대의 신여성 담론을 자유연애담론, 정조 및 성담론, 모성 담론으로 나눈 후 이들 담론이 출현하게 된 배경과 의미,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것이 당시의 지배담론과의 균열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나갔는지를 추적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특정한 담론, 이미지, 표상의 정치적 의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나타나는 맥락과 명확히 공표되는 상황에 따라 변모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Ⅱ장에서 살펴본 신여성 담론들을 토대로 1920-30년대 소설 속에서 신여성의 모습들이 재현되고 이미지화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당시의 소설 속에서 신여성은 표면적으로는 사랑을 추구하지만 이면적으로는 남성들의 경제력에 의탁하여 사치를 일삼는 존재, 성적 매력을 이용해서 남성을 유혹하는 위협적 존재이거나 정조 관념을 잃어 버린 타락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신여성들은 경제적 자립을 위해 직업을 가질 것을 요구 받으면서도 직업여성으로서의 전문적 면모는 거세된 채 정조와 양육의 의무를 이행해야 존재, 근대적 지식으로 무장하여 살림과 양육 모두를 충실히 해내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1920-30년대 소설 속에서 신여성은 지배담론과 충돌하고 균열을 일으킬 때에는 사치스럽고 성적으로 타락한 존재 등 부정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신여성은 가부장적 질서와 권익을 공고히 하기 위한 기제로서 정조와 양육의 의무를 완벽하게 구현해내야만 하는 존재로 그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훌륭한 어머니’만을 이상적 신여성상으로 규정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 이처럼 1920-30년대 신여성 담론은 지배담론과의 긴장과 갈등 관계 속에서 거부되거나 균열을 일으키면서 당대의 담론을 구성해 나갔다. 이 과정 속에서 신여성은 당시의 소설과 신문, 잡지 등에서 지배담론을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수정· 편집되어 고정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지배담론 속에서 규정되어진 신여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는 지금, 여기에서도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4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