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6 0

수치심, 죄책감의 이질성

Title
수치심, 죄책감의 이질성
Other Titles
Differences of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 Related to Parental rejection, emotional warmth, overprotection and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uthor
최창석
Alternative Author(s)
Choi, Chang-Seok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 경향성과 죄책감 경향성의 심리적 이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생활적응과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이질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의 중학생 180명과 고등학생 180명으로 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무성의하게 응답했거나 응답하지 않은 14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346명(남학생 169명, 여학생 177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이 확인되었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수치심 경향성 및 죄책감 경향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거부적 양육태도는 수치심 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정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는 죄책감 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 경향성 및 죄책감 경향성과 자기결정동기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치심 경향성은 자기결정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낮은 외재적 요인들과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죄책감 경향성은 자기결정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높은 내재적 요인들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자기결정성이 높은 내재적 동기일수록 실제적인 학업성취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선행연구로 볼 때 수치심 경향성 보다는 죄책감 경향성의 함양을 통해 생기는 내재적 동기가 실제적인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셋째, 수치심 경향성 및 죄책감 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수치심 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하지 않거나 대상에 따라 부분적으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죄책감 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수치심 경향성을 배제한 죄책감 경향성은 매우 적응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결과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수치심 경향성과 죄책감 경향성의 차이에 있어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했다. 도덕적 정서로서의 죄책감 경향성은 애정적 양육태도가 가장 중요하지만, 적절한 거부적 양육태도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기존의 심리적 적응과 문제행동, 관계양상 등에만 집중되어 있던 수치심, 죄책감의 차이 연구를 자기결정동기라는 긍정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청소년의 과제로 확장시켰고, 청소년이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곳인 학교생활이라는 실제적인 터전에서의 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는 청소년의 실제적인 학업성취와 학교생활적응을 도움에 있어서 거부적인 태도로 수치심 경향성을 자극하기 보다는 애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적절한 훈육을 통해 죄책감 경향성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the guilt-prone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 among a parenting attitude, a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shame-proneness or the guilt-proneness. The participants were 18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18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However, the final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346 students (male, 169; female, 177) because of excluding 14 students who failed to answer to the developed survey questionnaires successful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rejection and the shame-proneness. Also,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emotional warmth and the guilt-proneness, and the same tendency also exists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rejection and guilt-proneness. Second, in terms of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extrinsic motivations for self-determination. On the other hand, it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ilt-proneness and intrinsic motivations for self-determination. This result supports that intrinsic motivations from developing guilt-proneness affect academic achievemen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s for self-determin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re are no relations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r som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However, there exist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guilt-pron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at means the guilt-proneness without sham-proneness is very effective to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s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further studi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 among the shame-proneness, the guilt-proneness and parenting attitude. Second, previous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 sense of shame and guilty have been limited to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relationship. However,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a sense of shame and guilty on a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and adaptations to school life. This implies that developing the guilt-proneness by proper discipline with an emotionally warm parenting attitude is more effective for an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eenagers, in comparison with stimulating the shame-proneness by a parenting attitude of rejec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