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식-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20-04-03T17:10:33Z-
dc.date.available2020-04-03T17:10:33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4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776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를 통하여 wiki 기반 CSCL에서 논쟁활동을 지워하기 위한 논쟁지원도구를 설계, 개발하고, 이 논쟁지원도구가 논증능력과 협력적 지식 구축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원도구 개발에 있어서는 선행 연구 탐색과 일년에 걸친 설계기반연구를 통해 논쟁지원도구의 설계원리, 실행원리 그리고 설계 프레임웍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를 3차 정련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이렇게 설계기반연구를 통해 개발된 논쟁지원도구를 교육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알아보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wiki 기반 CSCL 논쟁지원도구의 설계원리, 실행원리, 설계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둘째, wiki기반 CSCL 논쟁지원도구의 제공 여부가 논증능력, 협력지식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10명의 학습자, 3인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계기반연구를 실시한 후,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는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를 제공한 실험집단 29명, 제공하지 않은 집단 20명으로 논쟁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 설계원리는 내용 및 관련성 외현화 지원 원리, 다양한 방식의 링크 지원, 히스토리 지원, 협력활동의 지원. 스크립트 지원, 상호작용 촉진 지원이다. 둘째,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 실행원리는 스크립트 제공, 협력적 지식 구축이, 개인 책무성 및 그룹 책무성, wiki 시스템에 대한 사전경험 제공이다. 셋째, 논쟁지원도구의 제공에 따라 학습참여자들의 논증 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논쟁활동 이후에 작성한 에세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이 주장의 질(평균=2.91, 표준편차=.80), 근거의 수(평균=3.00, 표준편차=.81), 근거의 타당성(평균=3.05, 표준편차=.83) 측면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중다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공분산행렬에 대한 동질성 검증(Box's M test)의 결과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Box's M=2.331, F=.36, p=.90). 집단간 등분산성 가정(Levene's test)이 충족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모든 종속변수에서 처치조건에 따른 등분산성 가정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증능력의 세 개 하위 차원인 주장의 질, 근거의 수와 근거의 타당성에 대한 중다분산분석 결과, 논쟁지원도구를 제공받은 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두 집단의 논증능력은 논증능력의 세 개 하위 차원의 조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증능력의 하위 차원인 주장의 질, 근거의 수, 근거의 타당성 중 어떤 부분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차원에 대한 개별적인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장의 질, 근거의 수, 근거의 타당성 측면에서 논쟁지원도구 제공 여부에 따라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논쟁지원도구의 제공 여부에 따라 협력적 지식 구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피험자의 논쟁주제와 관련 지식이 실험처치 후 팀 내 협력적 지식으로 구축된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협력적 지식 구축 분석 대상은 학습자 개인이 사전과 사후에 작성한 에세이 내용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내용이다. 메시지는 의미단위로 분석하였으며, 협력적 지식은 사후 - 사전의 의미단위를 분석하였다. 사후 - 사전 차이로 협력적 지식 구축을 분석 한 결과,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이 논쟁지원도구를 제공하지 않는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집단별 협력적 지식 구축 결과를 t 검증한 결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는 설계기반연구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 연구자와 개발자가 공동 실천가가 되어 순환반복적인 정련과정을 거쳐 설계원리, 실행원리, 설계 프레임웍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쉽게 활용될 수 있는 지원도구로서 개선되고 논쟁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도구의 기능과 형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논쟁지원도구를 제공받은 집단에서는 주어진 문제에 관한 개인적인 분석이나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되는 반성적인 사고인 비평적 사고 능력인 논증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논쟁지원도구는 협력적 지식을 구축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표현된 ‘논쟁그래프’가 논증을 정교화하고 의미를 협상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며, 논증의 구조 파악, 논증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이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지닌 학습자들 간의 갈등을 조율하기 위해 협력학습공간을 이용하였으며, 논쟁을 통해 실제적인 문제의 해결 방법 및 합의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며, 지식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wiki 기반 CSCL 논쟁지원도구의 유용성 평가에서는 개발자 집단이 학습자, 교수자 집단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개발자 집단은 학습자 집단보다 더욱 혁신적이고 개선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원하는 반면 학습자와 교수자 집단은 기존의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익숙하여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자, 교수자 집단이 온라인 학습 경험이 적고 특히 컴퓨터 기반 협력적 논쟁활동을 진행하는 경우가 드물다면 wiki 기반 논쟁지원도구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새롭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동의와 사전 오리엔테이션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wiki 기반 논쟁지원도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에서 wiki 기반 논쟁지원도구에 대한 충분한 교육 시간과 훈련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develop to support argumentation activities in wiki-based CSCL through design base research, and figure out what effects the tools have in abilities to prove and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o begin with, in terms of developing argumentation support tools, the author had produced designing and operating principles and design framework of the tools through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nd one-year-long design base studies. It led to the development of argumentation support tools for the wiki-based CSCL through a three-stage process. In summary, the author suggests two research purposes. First, the study suggests designing and operating principles and design framework of wiki-ba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 tools. Second, the author also tries to figure out what effects the tools have in abilities to prove and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e results ot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ly, wiki ba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 tool has been refined through DBR in terms of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DBR, six design principles and four implementation principles are defined. Secondly, the result of effect the tool are follows : wiki b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ed tool enhances quality of aegumentation, numer of ground, validity of groun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argumentation support tools on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e author analyzed how argumentation topics and their related knowledge turned into collaborative knowledge within the team after the experiment. The analysis includes messages in essays the learners wrot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essages were analyzed based on meaning units, and collaborative knowledge which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also analyzed based on meaning units. The result of the collaborative knowledg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wiki-ba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 tools produced better average scores than the one without the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four conclusions. First, wiki-ba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 tools can be improved as a support tool that participants easily use. This was done as learners, instructors, researchers and designers all together have practical minds with design base research to create design principles, operating principles and design framework through the three-stage process. In addition, the tools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users' need for functions and forms of support tools needed in argumentation activitie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group with the support tools acquired better abilities to prove validity of their arguments. The abilities, also called critical thinking, are nourished with individual analyses of given questions and social interactions. Third, the argumentation suppor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successful in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argumentation graph', which was demonstrated as a form of diagram, is more effective in articulating argumentation processes and negotiating meanings, and makes it easier to take a clear look at argument construction and the flow of arguments. Specifically, these positive aspects guided learners with diverse ways of thinking and experiences to use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to coordinate discords between the learners. Learning took place and formed knowledge in the process where they found solutions to problems and agreement. Fourth, the designer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learner group and the instructor group to the question of how useful the wiki-based CSCL argumentation support tools are. The designer group wanted more innovative and improved online community than the learner group, whereas the learner group and the instructor group were not open-minded to use new interface because they are more familiar with the existing interface.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n the instructor group doesn't have enough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and more specifically, has fewer opportunities to guide CSCL argumentation activities, wiki-based argumentation support tools are not the best tool of choice. In this regard, it is very crucial to get learner's agreement and have orientation in advance to introduce new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to produce better effects of wiki-base argumentation support tools, designers, learners and instructors all have to have enough time offline for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wiki-based argumentation support tool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wiki 기반 CSCL의 논쟁지원도구 설계연구-
dc.title.alternativeDesign-Based Research of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in wiki based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on Learn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수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oo h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교육공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