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府 出捐硏究機關의 成果向上을 위한 實證硏究

Title
政府 出捐硏究機關의 成果向上을 위한 實證硏究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Focusing on Functions and Roles of National Research Councils and Institution Evaluation System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uthor
황병용
Alternative Author(s)
HWANG, Byung Yong
Advisor(s)
유병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nd devising and implementing mid/long-term development plans that include securing quality human resources in research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other research ent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ncil's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RI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and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is related to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stitutes with high performances, in general, have high level of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along with positive recognition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Weaknesess of the Council's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RIs resulted in low level of receptivity amongst GRIs, and thus there is limitation on the government and the Council in the active utilization of evaluation outcomes. Through this, this study drew up ways to improv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switch the current system to in-depth performance evaluation, motivate GRIs, and focus on optimizing performances. It also suggested ways to enhance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and improve performances. Finally, this study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roduce contrary evidence to the negation of the existence value of the Council raised by some groups. It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uncil and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for GRIs. It is hop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conducive to addressing policy issues on GRIs and councils amongst various policy makers.; 우리나라에 연구회 체제가 도입된 지도 벌써 10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신정부 출범과 함께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커다란 환경변화는 연구회와 출연(연)의 기능과 역할 및 운영방식에 대하여 비판적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동시에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출연(연)의 책무성과 성과 개선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적 요구에 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출연(연) 성과향상을 위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출연(연)지원·육성에 관한 기능과 역할 및 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의 발전방안과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회 및 출연(연)의 기능과 역할 전반에 대한 연구동향, 연구회 제도 현황, 출연(연) 성과관리 이론 등의 고찰을 통해 실증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이 연구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한편 연구기관의 특성(연구분야, 기관규모, 기관연륜)으로 인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관의 성과요소는 선행연구 등을 통해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5 가지 요인과 BSC 관점에서 4가지 성과요인을 함께 고려하였다.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 중 연구기관 구성원들이 크게 불만을 제기하는 출연(연) 기관평가와 관련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기관평가시스템 자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기관평가시스템이 연구기관 구성원들의 평가결과에 대한 수용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연구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출연(연)의 동기부여 및 성과 극대화를 위한 기관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3개 소관 연구기관 구성원 551명에 대한 분석결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기능과 역할은 연구기관 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 중 ‘분야별 연구기획’이 연구기관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 수행에 있어 소관 연구기관의 ‘연구분야’와 ‘기관규모’에 덧붙여 '직종'을 감안한 차별적인 기능과 역할 수행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출연(연) 성과향상을 위한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개선 및 발전 방안의 일환으로 연구회의 정체성 확립과 기능조정역할의 강화, 소관 연구기관의 연구자원 획득 및 배분에 대한 연구회 기능의 확대, 출연(연) 우수 연구인력 확보및 타 연구주체와의 협력 활성화를 포함한 소관 연구기관 중장기 발전전략의 수립과 추진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연구회의 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은 연구기관 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평가결과에 대한 소관 연구기관 구성원들의 수용성은 연구 기관 성과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과가 높은 기관들은 전반적으로 기관평가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함께 평가결과 수용태도가 높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회의 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이 지닌 전반적 취약점들에 의해 출연(연)들의 평가결과에 대한 수용도는 대부분 높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 및 연구회 차원에서도 평가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에 있어서 제약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연(연) 기관평가에 대한 심층성과평가 중심의 평가철학 전환과 출연(연) 동기부여 및 성과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기관평가시스템의 체계와 운영절차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평가결과 수용성 제고와 연구기관 성과향상에 관한 개선방안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회의 존재가치를 부정하는 일부 통념에 대한 반증의 기회가 되었으며, 연구회의 기능과 역할 및 출연(연) 기관평가시스템의 개선점과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다양한 정책 참여자들 사이에 논의되어 연구회와 출연(연)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 마련에 일조하기를 바란다.; It has been almost ten years since research council system was introduced to Korea. With the inception of the new administration, substantial changes of environ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all for critical evaluation of research councils as well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At the same time, with the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R&D outcomes, they require improvement of GRIs' responsibilities 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support·foster functions of research councils, which aim at strengthening performance of GRIs, and evaluation systems of GRIs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To this end, this study employed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aimed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work of functions and roles of research councils and GRIs in general, status of research council systems,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of GRIs through practical analysis. Second, it investigated into the influence of functions and roles of research councils on the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and added variables to adjust influences stemmed from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stitutes (research areas, size of institutes, and seniority of institutes). In detail, it took into consideration the five elements of functions and roles of research councils and four elements of performances of research institutes in light of BSC through prior research. Third, with regards to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of GRIs in which employees filed complaints, it made analysis of influential relations wher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has an impact on receptivity of evaluation outcomes and performances of institutes, and proposed how to motivate GRIs and optimize their performances. To this end, it designated comprising elements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of GRIs as prior variables of evaluation outcome receptivity, and performance elements of institutes as resulting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employed empirical methodology where hypotheses are tested through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after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model. For major analysis tool, it employ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ignificance of suggestions of the outcom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the analysis of the 23 research institutes and their 551 employe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d influenced on the performances of the 23 institutes that are under the wing of the Council.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research planning per areas' amongst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uncil, had a substantial influence. Through thi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need to pursue differentiat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uncil by adding 'occupational category' to 'research areas' and 'size of institu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as a means to improve and further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uncil that aimed at improving performances of GRIs: solidifying the identity of the Council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managing functions; expanding the Council's function in acquiring and allocating research resources of the research institutes that belong to the Counci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