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한국인 성인에서의 관상동맥질환과 혈청 DHEAS 농도의 상관성 연구

Title
한국인 성인에서의 관상동맥질환과 혈청 DHEAS 농도의 상관성 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and Serum DHEAS(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level of Korean Adults
Author
정누시아
Alternative Author(s)
CHUNG, LUCIA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DHEAS(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는 인체 내 가장 풍부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콜레스테롤을 기반으로 합성되어 부신에서 분비되는데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DHEAS는 노화와 관련된 질환인 동맥경화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최근 관상동맥질환 발생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인에서의 DHEAS와 관상동맥질환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로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HEAS의 역할에 대한 문헌고찰과 일부 한국인 성인에서 연령별 및 성별에 따른 DHEAS혈청농도와 관상동맥질환과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관상동맥질환 발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여 향후 관상동맥질환 위험군 관리 및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 소재 I 대학병원의 심혈관외과에서 협심증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을 실시한 관상동맥질환자 142명(남자 80명, 여자 62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P 의원을 내원한 건강한 117명(남자 63명, 여자 5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DHEAS와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중성지방, 호모시스테인의 혈청농도를 측정하여 DHEAS 혈청농도와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상동맥질환자의 평균 DHEAS 혈청농도(μg/dl)는 68.9(남자 83.3, 여자 50.3)로 건강인의 평균 DHEAS 혈청농도(μg/dl)인 129.4(남자 156.9, 여자 101.8)에 비해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평균 DHEAS 혈청농도는 모든 남자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자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종속변수를 DHEAS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DHEAS 혈청농도는 성별과 연령 이외에는 관상동맥질환과 관련된 혈액생화학적 변수들과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를 관상동맥질환 유무로 수행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관상동맥질환은 DHEAS(OR=0.98)와 고밀도지단백(OR=0.91)은 증가할수록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호모시스테인(OR=1.09)과 연령(OR=1.05)은 증가할수록 관상동맥질환 발생이 증가하였다. DHEAS는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중 혈액생화학적 인자들과는 독립적으로 관상동맥질환 유무에 따라 성별과 연령별DHEAS 혈청농도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향후 관상동맥질환자의 DHEAS에 대하여 더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하지만, 관상동맥질환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DHEAS 혈청농도 검사를 기본검사 중의 하나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궁극적으로는 위험군을 선별하여 이들의 관상동맥질환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HEAS(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has been hypothesized that it protects the arterial wall against atherosclerosis, thus keeping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low. Also, there is a variety of experimentally well-founded interactions between hormonal function and DHEAS.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aseline levels of DHEAS in a random sample of healthy group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for men and women aged 40 to 80. Additional examination was on the relations between DHEAS levels and the number of coronary artery stenosis. The study population was recruited as a random sample of healthy 63 men and 54 women who visited P clinic as a control group, whereas patients of the 80 men and 62 women as a case group who were diagnosed under coronary angiography and clinically as coronary artery disease(CAD) in I University Hospital during January 2005 to July 2007,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underwent a clinical examination with blood samples for measuring levels of DHEAS, Total Cholesterol, Homocysteine,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 Average DHEAS levels showed about twice higher in controls(129.4 ug/dl) than cases(68.9 ug/dl), whereas DHEAS levels in cases by sex were also approximately twic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respectively. DHEAS levels in men between 50~59 aged and 60 over significantly and sharply declined in both cases and controls(P<0.05), whereas those levels in women did not show the same phenomenon of me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HEAS levels and age showed negative relations significantly in men but not in women both cases and controls, respectively. Multivariate models using forwa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DHEAS level as dependant variable showed in cases(R²= 0.16) and in controls(R²= 0.30), the odds ratios resulted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CAD, showed significantly in DHEAS 0.98(95% CI 0.97 to 0.98), Homocysteine 1.09(95% CI 1.02 to 1.16), High Density Lipoprotein 0.91(95% CI 0.88 to 0.95), Age 1.05(95% CI 1.01 to 1.09), respectively. Interpretation of these results is complicated by various methodological shortcomings, including sample design and size, and the limited control for confounding factors, however, this study in Korea first offers support to the hypothesis of a difference between DHEAS in CAD patients and healthy population. The large prospective study should be undertaken to examine the beneficial effects on age-related disorders based on a solid scientific bas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