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5 0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혈장 ghrelin 및 위 내 ghrelin mRNA 발현의 연관 관계

Title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혈장 ghrelin 및 위 내 ghrelin mRNA 발현의 연관 관계
Other Titles
Plasma ghrelin and gastric mucosal ghrelin mRNA expression in GERD symptoms
Author
김혜영
Alternative Author(s)
Kim, Hyeyoung
Advisor(s)
이오영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및 목적 Ghrelin은 위장에서 주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로 식욕의 촉진, 에너지 대사의 균형 조절, 위산 분비, 위장관 운동 및 위장관 기능 조절에 관여한다. 최근에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혈장 ghrelin의 감소와 관련이 있고 제균 치료 후 혈장 ghrelin이 증가되었으며, 위 마비 환자에서 ghrelin 투여 후 위 내용물 배출이 촉진되었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직 일치하지 않은 견해를 보이고 있다. Helicobacter pylori 제균 이후에 혈장 ghrelin 및 위 내 산도가 증가되고 이것이 역류성 식도염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위 점막 ghrelin의 mRNA 발현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의 내시경 소견 및 증상이 혈장 ghrelin의 농도와 위 점막 ghrelin의 mRNA 발현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류성 식도염의 전형적인 증상인 흉부 작열감과 산 역류 증상이 없고 내시경 소견이 정상인 대조군 34명, 흉부 작열감과 산 역류 증상이 있고 내시경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환자 15명, 흉부 작열감과 산 역류 증상이 없고 내시경소견에서 위 식도 접합부의 점막 결손이 있는 환자 9명과 흉부 작열감과 산 역류가 있으면서 내시경검사에서 위 식도 접합부의 점막 결손이 있는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ghrelin의 농도는 아침 공복 시에 채취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내시경하 생검을 통하여 얻은 기저부 조직에서 ghrelin의 mRNA 발현을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측정하였고 전정부에서 1개의 검체를 얻어 rapid urease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네 군간의 혈장 ghrelin의 농도와 위 점막 ghrelin의 mRNA 발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네 군을 내시경 소견에서 위 식도 접합부의 점막 결손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다시 나누어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네 군을 CLO 검사 결과가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증상 즉, 흉부 작열감이나 산 역류가 있는 군과 증상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는 혈장 ghrelin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05), 위 점막 ghrelin mRNA 발현은 증상이 있는 군(0.9±1.3)에서 증상이 없는 군(0.5±0.5)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 결론 흉부 작열감과 산 역류와 같은 전형적인 역류성 식도염증상은 위 점막 ghrelin mRNA 발현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and aims Ghrelin is a growth-hormone-releasing peptide that is mainly secreted from gastric endocrine cells(X/A like cells). In addition to increase appetite, ghrelin also affects intestinal motility, gastric acid secretion, and may influence gastrointestinal symptom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has been reported to develop de novo following cur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Plasma ghrelin and intragastric acidity increase after H. pylori eradication. This may contribute to GERD development. But there is no study about gastric mucosal mRNA ghrelin expression in GERD sympto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GERD symptoms with ghrelin mRNA expression in the gastric mucosa, concomitantly examining plasma ghrelin level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ive subjects have typical symptoms of GERD,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and positive endoscopic findings as GERD LA classification. Fifteen subjects have symptoms, negative endoscopic findings and nine subjects have no symptoms, positive endoscopic findings and thirty-four subjects have no symptoms, negative endoscopic findings. Ghrelin mRNA expression levels in the gastric mucosa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RT-PCR after endoscopic biopsies were done on the fundus. Plasma levels of total ghrelin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One of the antrum specimen was used for a rapid urease test. Results Gastric ghrelin mRNA expression levels and plasma ghrelin level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ur groups (p>0.05). Plasma ghrel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subjects with typical symptoms of GERD and subjects without symptoms(p>0.05).Gastric ghrelin mRNA expression levels were a higher tendency in subjects with symptoms than subjects without symptoms (p=0.08),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Gastric ghrelin mRNA expression showed a higher tendency in subjects with typical symptoms of GERD than subjects without symptoms,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