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5 0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Title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Other Titles
Art therapy research for enhance the sense of self-esteer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me :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o the centers
Author
김혜진
Alternative Author(s)
Kim, Hye Jin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를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1990~2005년까지 사회적 분위기와 경제적 이유로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증가로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결혼 건수 가운데 국제결혼의 비중은 13.6%(2005)에 이르고 농촌과 어촌 지역에서는 35.9%(2006)로 통계되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날로 증가 다문화 가정이 형성됨으로써 그 가정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 문제와 사회적으로 보여 지는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문화에 정착하지 못해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주민 여성은 언어와 문화적 환경으로 인해 취학기가 된 자녀는 원활하지 못한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학교생활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자녀는 10명중 2명 정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어졌다. 이것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이 집단 따돌림을 당한 비율이 비슷하지만 명백히 그 이유는 다르다. 우리나라 초등학교학생의 이유는 잘 난 척해서라는 이유이지만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34.1%의 비율로 나타난 이유는 엄마가 외국인이기 때문이라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고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이유는 다문화가정의 자녀의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또한 본인의 노력해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불안, 충격, 자살, 충동, 적개심, 저하된 자아 정체감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서 8,000명이 학교교육권 밖에 방치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에서 여러 가지 정책을 내세우고 시행하고 있으나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을 모두 부합하기에는 미미한 상태이지만 절충하는 방안으로 여러 단체와 지방자치단체, 종교단체 등으로 협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은 스스로 가치가 있는 존재임을 느끼고 ,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은 주장 할 자격이 있으며, 자신의 노력으로 얻은 결과를 즐길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스스로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믿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형성한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사회적, 가정적으로 안정적인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에 대한 교육과 다문화적 교육이 필요하다. 취학기인 자녀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과 자아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문에서의 가장 경계심이 없는 미술교육과 대상의 심리적 파악으로 건강한 자아 정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술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며, 다문화와 미술교육의 관계개선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다문화의 수용과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적으로 풍부한 사고를 함으로써 글로벌한 의식으로 세계화의 변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인제를 양성할 수 있다. 미술교육과 미술 심리치료의 프로그램은 자신의 위치와 다양한 사고에 대한 다문화의 성향을 넘어서 자신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학문임과 동시에 심리적으로 불안이나 불만족한 감정을 표현함으로서 정신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본연구의 임상 대상인 다문화가정의 자녀 초등학교 1학년 4명을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의 심리적 상태와 자신의 무의식에서 나오는 자아를 파악하여 올바른 사고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하여 문화적 이해와 자기 자신의 정체성과 균형 잡힌 자존감 향상에 목적을 두었다.; The study was made about art therapy to enhance the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mes, mainly with the elementary students of 1st, 2nd and 3rd grades. Thanks to international marriage and increase of foreign laborsby social atmosphere and economic reasons during 1990~2005, the Korea society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weight of international marriages out of total marriages in Korea accounted for 13.6% in 2005 and in particularly 35.9% in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 in 2006. From this phenomenon, day-by-day growing of multi-cultural homes is inviting social issues since they failed to mingle into the culture due to the educational problem for the children of such homes, the social prejudice and the stereotype. Moreover, because of female immigrants’ language and culture environment, their children who reach the age entering school are suffering from difficulties to have a smooth school life. It was investigated that about 2 out of 1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mes experienced bullying in school. The rate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who experienced bullying was similar but the reasons for bullying were definitely different. The bullying reason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was that they showed off while the 34.1%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mes were analyzed to have been bullied simply because their mothers were foreigners. As such a reason is not a matter of the will of children themselves from multi-cultural homes, they faced emotional insecurity, shock, suicide, urge, hostility and low self-identity with which they failed to adapt to school life and, in consequence, 8,000 students were put aside from the school umbrella. To sort out this problem,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but they are not enough to accommodate all the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homes. Thus, the government is cooperating with organizations, local authorities and religion groups as a compromise. The human itself realize that they are the valuable beings, are qualified to claim what they need and want, have the right to enjoy the outcome from their efforts, believe they can become happy and develop the sense of self-existence. Nevertheless, education for social recognition and multi-culture should be made so that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homes can grow stable in society and at home.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reaching the age entering schoo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e and raise self-accomplishment, both art education that is most free of precautions in studies and art psychological therapy helping to have the sense of sound self-identity by psychologically understanding others than the self are suggested together as the direction that the education head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 culture and the art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explained and culturally rich thinking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accep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e, whereby the talents who ar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hange into globalization with global consciousness can be brought up. The programs of art education and art psychology therapy are the basic science that helps to understand the self beyond the self position and multi-cultural propensity towards diverse thinking and to develop balanced ego. At the same time, they are able to give a mental stability by disclosing psychological insecurity and dissatisfaction feeling. The art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done to 4 1st grade elementar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homes so as to identify their psychological status and the ego from the unconsciousness of the self and to implement education to make them right thinking and positive attitude, by which it aimed to enhance culture understanding, sense of self-identity and balanced self-este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