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 0

가상현실환경에서 입체영상컨텐츠 프로토 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가상현실환경에서 입체영상컨텐츠 프로토 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to Type Development of 3D Movie Contents Development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A Study on Machinim a Production in the Second Life Environment and UI Design of 3D Movies Recording
Author
황성준
Alternative Author(s)
Hwang, Sung Jun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디지털 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은 100년전과 비교해 볼 때 상상의 세상이라고만 생각했던 세상을 현실로서 살아가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 우리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행동에 대한 편의성과 활용성을 극대화 시켜 해소 시킬 수 있게 되었지만 끝이 없는 인간의 욕구는 더욱더 개선된 환경에서의 생활을 상상하고 있다. 현실세계에서 이루지 못하는 삶을 가상의 세계에서라도 살아가고픈 인간의 욕망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라는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게 되었다. 인간은 자신을 표현하는 아이덴티티의 하나로 아바타(Avatar)라는 신의 이름을 빌린 매개체를 사용하여 그래픽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공간에서 자신이 원하는 어떤 행동도 서슴치 않고 행동하면서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하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최근 이런 인간의 욕구에 대답하듯 전 세계 곳곳에서 인터넷의 이점을 충분히 이용한 가상현실 메타버스(Metaverse)가 우후죽순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 가상현실의 개발은 입체영상이라는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더욱더 현실감을 제공하고 있다. 입체영상의 기술은 우리 인간이 실제 눈으로 얻는 정보를 입체감과 현실감이라는 느낌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서 평면임에도 불구하고 입체적으로 깊이를 느끼는 임장감을 주는 기술로서 가상현실을 더욱더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수용자의 유저들이 아닌 참여자의 유저들이 이끌어가는 Web2.0기반의 가상현실 환경에서 유저들은 자신의 개성을 더욱더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가상현실과 MMORPG게임의 대두로 유저들은 더욱 자유롭게 자신의 의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표현 중에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다른 유저들과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새로운 영상 장르인 머시니마(Machinima)가 출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과 입체영상, 머시니마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공간에서 입체영상 촬영과 관람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해 시시각각 생성되고 사장되는 수 많은 콘텐츠와 커뮤니티들의 전쟁터 속에서 참여 유저의 수를 엄청나게 보유하고 있는 린든 랩(社)(Linden Lab. Co)의 세컨드 라이프라(Second Life)는 커다란 메타버스에서 현실세계에서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입체영상의 제작과 관람에 대해서 새로운 제안점을 고안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하였고, 고찰된 입체영상 콘텐츠의 가치향상의 긍정적 요인을 통계적 실증 분석을 통해 새로운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효율적인 UI를 통해 적용되도록 도출 및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구라도 쉽게 입체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콘텐츠의 보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세컨드 라이프에서 입체영상 전용 상영관을 제작함으로서 세컨드 라이프에 로그인 하는 것만으로 입체영상 관람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고, 유저 스스로가 머시니마의 제작에 있어서 한 단계 발전된 3D 머시니마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입체 머시니마 촬영에 관한 프로토 타입을 개발 하였다. 개발된 콘텐츠와 환경은 사용자에게 인간공학적으로 가장 적절한 환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이용한 실험을 통한 결과는 가상현실과 입체영상 그리고 머시니마의 인지적 측면과 호감도 및 입체감, 마지막으로 눈에 대한 피로에 대하여 실험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인지적 측면으로는 남, 여 비슷한 비율로 가상현실과 입체영상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가상현실에서 느끼는 현실감의 이유를 압도적인 비율로 시각적인 효과가 높다고 나왔다. 또한 입체영상을 경험해본 실험자들의 대부분이 게임과 영화에서 많은 분포도가 나옴으로써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기술 발달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일반 2D 머시니마와 3D 머시니마의 호감도 비교 분석 및 입체감의 측면에서 3D 머시니마가 높은 차이로 입체감을 느끼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2D 머시니마의 호감도와 실제 제작에 관한 호감도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지만, 실제로 머시니마 제작에 관한 인지도가 없음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3D 머시니마의 호감도와 입체감의 실험 결과로는 높은 호감도와 입체감을 느끼고 있었고 제작에 있어서도 용이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눈에 대한 피로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눈에 대한 부담을 대부분의 실험자가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 입체영상이 가지고 있는 눈에 대한 피로감을 해소 하지는 못하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과정과 분석에 따른 결과는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 디자인의 진화 행태를 보여주는 한 예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영상콘텐츠의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계속해서 가상현실과 입체영상의 기술 발전이 예상되는 바 지금의 한계점이 점점 극복되어짐에 따르는 UI 다자인의 영역 확대는 입체영상표현 및 머시니마의 개발에 있어 보다 독특하고 한층 업그레이드 된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또한 눈에 대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가 끊임 없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입체영상 촬영은 이러한 진화의 가능성에서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개발 시스템 디자인의 모형을 찾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oday, we are living in digital environment which is changing rapidly and also people have thought that it would be impossible world such as world of imagination in hundred years ago. In this digital environment, people can reach to top of one’s convenience and practical use but an infinite of people’s desire is imagining the living in better developed environment. The people’s desire that people cannot achieve in actuality world so people want to live in virtual world created the new world which is called “Virtual Reality”. Human is one of identity which is expressing oneself and using Avatar to live in imagination space which is made up with graphic, so people are satisfying their desires which is impossible to do in actuality world. Recently, for these human’s desire, ‘Metaverse’ which is ‘Virtual Reality’, based on internet is being developed in all over the world so it gives space of enough experience to users. This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keeps developing in better ways such as the sense of the real. The skills of ‘3D movies’ offers people to make feel more real in ‘Virtual Reality’ even though it is a plane screen. Moreover, participant’s users have more desire to express their individual character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Web2.0’ than consumer’s users. Since ‘Virtual Reality’ and ‘MMORPG’ were developed, users became to express their will, and among those expressions, ‘Machinima’ which is new image genre and taking a shape of community that users express oneself through movies of self-producing and can exchange the information. In this essay, ‘Virtual Reality’, “3D movies’, and ‘Machinima’,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essay, people keep studying for photographing and viewing of virtual reality which are ‘Virtual Reality’, ‘3D movies’, and ‘Machinima’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Linden Lab, Co' and ‘Second Life’ which have a lot of users in contents and community keep researching for problems which are having hard time for production and viewing of virtual reality to make it better. Also, proved increasing value of contents of virtual reality is trying to prove content’s production system of new virtual reality to make it better with using efficient UI. In this study, I made a space bigger which anyone can watch virtual reality easily and “Second Life” did production made a exclusive theater for support of contents widely so if you only log in you can watch the virtual reality. Moreover, I developed proto type which is upgraded version of 3D Machinima and related to photographing of Machinima. Developed contents and environment is suggesting to users for perfect environment in human engineering. According to result of course of study, it is a one example which is showing development of 3D virtual reality contents design and for the more, variety of visual contents will be evidence date for future development. People will keep researching the variety of virtual reality and 3D Movie so those research will head to more upgrade way for extension of UI design area. Therefore, 3D Movie needs to continue to study for finding shape of effective development system design in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5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7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