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학습자의 어휘 이해 속도와 정확성 연구

Title
영어 학습자의 어휘 이해 속도와 정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exical Comprehension Speed and Accuracy of English Learners
Author
최정아
Alternative Author(s)
Choi, Jung-A
Advisor(s)
이태형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TOEIC 점수로 구분된 영어 능숙도에 따른 어휘 접근 속도와 어휘 이해의 정확성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에 어휘 접근 속도의 측정을 통하여 영어 능숙도에 따른 구분이 인지처리과정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 자동성(automaticity)의 성취여부에 따른 구분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인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비교를 통해 인지처리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며 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는 어휘 이해 속도의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는 어휘 이해 속도의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는 어휘 이해 정확성의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는 어휘 이해 정확성의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에서는 TOEIC 점수로 구분 된 영어 능숙도에 따라 상, 하위 그룹 각각 30명씩 총 60명의 참여자와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원어민 화자 17명을 대상으로 컴퓨터기반 실험인 Lexical Access Test(LAT)를 실시하여 어휘 접근 속도(Reaction Time)와 어휘 이해 정확성 (accuracy)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상위 학습자 그룹과 하위 학습자 그룹의 어휘 이해 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TOEIC 점수에 따른 영어 능숙도는 자동성과 관련 있는 빠른 인지처리과정 속도(cognitive processing speed)를 보장하지 않으며 따라서 영어 능숙도와 인지처리과정 속도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어휘 접근 속도의 비교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어휘량(vocabulary size)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는 한국인 상위 학습자의 어휘 능력(lexical competence)도 속도에 있어서 원어민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어 상위 학습자 그룹과 하위 학습자 그룹의 어휘 이해의 정확성에 있어서는 LAT의 오류율을 바탕으로 한 통계 결과에서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EIC에서 측정하는 영어 능숙도에는 문법이나 어휘, 구문 등에 관한 언어 지식이 포함되어 있음을 볼 때 이에 대비한 학습은 어휘량을 늘릴 수 있으며 이는 어휘 이해의 정확성에 영향을 준다고 추론할 수 있는 근거를 보여주었다. 넷째, 한국인 상위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어휘 이해의 정확성의 비교에서도 두 그룹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위 학습자가 비교적 많은 어휘량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원어민 화자 수준의 어휘 능력을 갖추었다고 보기 힘들며 그 차이를 줄이는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TOEIC으로 측정된 영어 능숙도는 언어 지식적 측면과는 관계가 있지만 어휘 접근 속도 즉, 인지처리과정의 측면과는 관계가 크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TOEIC 고득점을 획득한 학습자의 높은 언어적 지식에도 불구하고 어휘 접근 속도에 있어서 하위 학습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EFL 환경에서의 영어 학습법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영어 학습에 있어서 언어 지식을 쌓는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것 이외에 실제 언어 사용 상황에서 필요한 자동성 성취를 위한 노력을 통하여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반복 훈련으로 언어 습득에 있어서 4가지 각 영역을(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독립적인 학습 수행 과제로 이해하고 이를 향상 시키기 위한 훈련을 하는 것이다. 이 훈련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경우 학습자들의 인지처리과정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성을 성취하고 궁극적으로는 언어의 유창성 향상도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L2 proficiency (measured by TOEIC scores), the speed of lexical access (measured by reaction time), and lexical comprehension accuracy based on error rates from the LAT (Lexical Access Test). According to some SLA studies(Akamatsu, 2001; Ackerman, 1988), speedy lexical access ability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chieving automaticity. Therefore, the speed of lexical access was tested to judge learners'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in an indirect wa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1) To what extent are L2 general proficiency and the speed of lexical access related? 2) In terms of the speed of lexical comprehension, what differences are attested betwee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 groups? 3) Does L2 general proficiency affect lexical comprehension accuracy? 4) In terms of accuracy of lexical comprehension, what differences are attested betwee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 groups? A total of six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some university 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dvanced learner group and the lower learner group, each of which had 30 participants. The advanced learner group was compared to a group of 17 native speakers in order to ascertain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speed and accuracy of lexical comprehension. The LAT (Lexical Access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lexical comprehension speed and accuracy by all participan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ed of lexical access between the advanced learner and lower learner groups. This indicates that L2 proficiency measured by TOEIC does not lead to speedy lexical access ability. Secondly, in terms of the speed and accuracy of lexical comprehension between the native speakers and the Korean learn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implies that even if advanced learners have highly developed linguistic knowledge,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become a native-like speaker. Thirdly, it appeared that L2 proficiency was related to lexical comprehension accuracy (measured by error rates from LAT). This demonstrates that L2 proficiency measured by TOEIC is considered to include formal aspects of language such as grammar and lexis. These findings bring about some consideration for enhancing automaticity: to get a high score on the TOEIC test could help to improve linguistic knowledge. However, it does not guarantee speedy cognitive processing. Therefore, learners should recognize that promoting speedy cognitive processing and acquiring linguistic knowledge from an SLA point of view are two different processes. With respect to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learning English accompany linguistic knowledge with repetitive practice and experiences for practical performance develop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COURSE AND MATERIALS DEVELOPMENT(영어콘텐츠개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