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7 0

T. S. 엘리엇의『황무지』연구

Title
T. S. 엘리엇의『황무지』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 S. Eliot's The Waste Land : Reevaluation of Its Theme and Techniques
Author
이철희
Alternative Author(s)
Lee, Cheol Hee
Advisor(s)
이영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엘리엇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시 인들 중에 한사람으로, 그의 걸작 『황무지』는 20세기 현대인들의 삶의 모습을 “정신적 불모성”(spiritual stability)과 “목적의식상실”(aimlessness),“공허감”(emptness)의 관점에서 묘사했다. 그의 시에는 물질적인 가치에 몰입된 채 정신적 가치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엘리엇은 이러한 상태에서의 탈출구를 기독교 신앙에서 찾으라는 메시지를 보내주고 있다. 제1장은『황무지』의 배경, 구상 및 집필과 평론계의 수용에 대해 살핀다. 제1절은 엘리엇의 『황무지』에 대한 배경을 고찰해 보는데 『황무지』와 엘리엇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제2절은 작품의 처음 구상에서부터 집필 과정을 연구한다. 엘리엇은 이 작품을 구상하기까지 정신적인 고뇌와 육체적인 피로 속에서 힘들고 어려운 단계를 거쳤다. 그가 겪은 여러 가지의 어려운 단계들을 제2절에서 살펴본다. 그리고 제1장의 마지막 절인 제3절에서는 이 작품의 출판과정을 살펴보는 동시에 출판 후 평론계의 반응에 대해서 고찰한다. 여러 비평가들 중 대표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선택하여 연구한다. 『황무지』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즉 우호적인 평가와 비우호적인 평가가 그것이다. 우호적인 평가의 중심에는 작품의 내적 구조의 정밀함과 주제 그리고 엘리엇이 『황무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기법들에 대한 평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비우호적인 평가의 내용에는 엘리엇 자신의 박학다식함을 전시해 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불평과 불만, 그리고 시의 통일성과 연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 등을 거론한다. 그러나 엘리엇의 이 작품 속에서 비쳐지고 있는 “비지속의 지속” 과 “일련의 연속물”, 그리고 여러 장의 슬라이드의 조합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 작품은 충분한 연결성과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황무지』는 엘리엇의 문학적 위치를 견고하게 만들어 주었다. 이 작품의 출판으로 그의 지성과 상상력은 최고조에 이른다. 엘리엇은 이 작품 속에 현대인의 생활방식을 지성과 감정의 통일 단계를 거쳐서 매우 통찰력 있게 분석하여 묘사한다. 제2장은 완성본『황무지』에 대한 실제 분석의 장이다. 제1절은 작품전체의 내외적인 구조에 대하여 특징적인 부분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제2절은 엘리엇이 이 작품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를 찾아보고, 제3절은 『황무지』에 이용된 여러 가지의 기법들을 선택하여 연구한다. 엘리엇은 『황무지』를 제작하는데 하나의 종합예술적인 방법들을 사용한다. 이를 테면 미술기법에서 차용한 몽타주, 큐비즘, 모자이크와 음악기법에서 사용되는 리듬 있는 언어를 시에 배치하여 작품의 외적인 형태와 내면적 구조를 견고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엘리엇 자신이 마치 영화제작자의 위치에서 각각의 장면을 연출하듯이 이작품의 단편들을 하나하나 찍어 내고 있다. 엘리엇의 『황무지』전체의 구조를 면밀히 분석해 보면, 첫 행부터 마지막 433행 까지 여러 개의 연결고리로 이어져있다. 엘리엇은 이러한 여러 가지 기법으로 “현대인의 복잡 다양한 불모성”과 “정신적 목적의식 상실”의 모습을 매우 적나라하게 그리고 있다. 또한 그가 주장하여 현대시 기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객관적 상관물”(objective correlative)이론도 주제를 뒷받침한다. 제3장은 본 논문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필자가 살펴 본 부분으로 『황무지』의 Facsimile 본과 완성본을 비교, 분석하는 장이다. 완성본 『황무지』만으로는 엘리엇과 파운드의 시적 재능의 꽃핌을 가늠하기 어렵다. 그러나 Facsimile를 통하여 살펴보면 엘리엇과 파운드의 치열한 시적 완성미를 향한 열기를 직접 느낄 수 있다. 엘리엇은 파운드가 수정을 요구하고 있는 부분을 과감하게 수용하여 삭제하고 있다. 그리하여 시의 완성미를 높여 주고 간결성과 정밀성을 더해 주고 있다. 이로 인하여 파운드의 이미지스트적인 면모를 볼 수 있음과 동시에 『황무지』의 완성도 또한 높아진다. 파운드의 수정에 대하여 엘리엇의 과감한 수용도 엘리엇의 결단력 있는 용기였다. 그러나 엘리엇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법과 아름다운 시어들은 그대로 남겨 두어 작품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킨다. 제2절은 Facsimile 초고에 나타난 주제를 살펴보며, 제3절에서는 Facsimile 초고의 기법을 살펴본다. 이들 초고에 나타난 주제는 완성본 『황무지』에서 보이고 있는 주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기법 또한 완성본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볼 때 엘리엇은 시종일관 주제와 기법은 완성본 『황무지』와 동일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엘리엇에게 20세기 새로운 시작법의 창시자나 심오한 사상을 가진 시인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닌다. 그는 이러한 수식에 걸맞게 『황무지』를 통하여 새로운 시작법을 도입하여 시적 성숙미를 보여주고 있고, 작품 속에 종교적인 사상을 내면에 드러내 보이고 있다.; Elio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oets of the twentieth century. His poetry treats squarely the aspects of modern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its sterility and purposelessness, focusing specifically on modern people in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s, not the values that could enhance their spiritual aspects. Chapter 1 surveys his educational and social background, as well as his conception. writing, publication, and the brief critical receptions of "The Waste Land." This poem helped to establish Eliot as one of the major poets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poem has proved that he is an accomplished poet with the highest degree of intellect and imagination. His analysis of modern men and their ways of life depicted in this poem is deep and insightful; this is why his work is still in high esteem now. Chapter 2 analyzes and evaluates the final published version of "The Waste Land" in terms of its structure, subject, and style. Eliot candidly depicts modern men in 433 lines, using various poetic techniques. The new techniques in it include his "objective correlatives" and appropriations of art, such as mosaics, montage, Cubism, along with techniques in movie-making. Chapter 3 analyzes and evaluates the Facsimile version of “The Waste Land.” This dissertation claims that Eliot could have created a great poem alone, without Pound's emendation: The main parts of the poem,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techniques, could have remained the same. This chapter treats the whole process - from Eliot's conception of the poem, to his emendation and publication, and to the major critical receptions of the poem. Eliot was in difficulty physically and spiritually; following his doctor's advice he took some rest in Lausanne and Margate, where he began this poem. In particular, this chapter investigates Eliot's responses to Pound's suggestions to the draft of "The Waste Land"; Eliot incorporated most of his suggestions, with some exceptions. Pound's emendation in most cases enhances intensity and simplicity; however, Eliot's refusal to incorporate some of his suggestions also seems to be good for the poem's form and substance. The critical receptions of the poem were immediate and varied: some were highly critical of this poem, saying Eliot showed off his erudition in it wasting so much paper, while some praised it as the best modern poem in his unique style fit for the depiction of complex modern life. The fact is that the receptions of “The Waste Land” have recently turned more favorable. In conclusion, Eliot's The Waste Land is a result of Eliot-Pound cooperation; however, as Chapter 3 has shown above, Eliot could have created a great poem without Pound. The theme and the techniques had already been in the first draft; with Pound, the poem became intense and lucid, but what really mattered was, Eliot could thanks to Pound grow suddenly to be a modern poet, in theory and practice, as illustrated in the deletion of the long, original portion of the section of "Death by Water"-which had been too Romantic and out of tone in relation to the poem's overall struc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7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