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EFL Writers' Product, Process, and Percep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Titl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EFL Writers' Product, Process, and Percep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Other Titles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컴퓨터 기반 협동 작문과 개인 작문의 비교 연구
Author
배주경
Alternative Author(s)
Pae, Jue-Kyoung
Advisor(s)
김성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협동 작문은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협동 작문으로 쓴 글이 개인 작문으로 쓴 글보다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협동 작문은 학습자의 언어 학습 및 작문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 작문으로 쓴 글과 개인 작문으로 쓴 글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게다가 학생들이 협동 작문을 수행하는 과정 및 협동 작문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살펴 본 연구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쓴 글을 비교하여, 협동 작문으로 쓴 글이 개인 작문으로 쓴 글보다 실제로 더 우수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협동 작문을 수행하면서 대화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협동 작문 과정을 분석하고, 컴퓨터 기반 협동 작문 및 개인 작문에 대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기반 쓰기가 학생들의 쓰기와 L2 쓰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한국인 대학생 24명 (남학생 17명, 여학생 7명)이며, 협동 작문을 위한 그룹은 쓰기 능력이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로 2명씩 그룹을 구성하였다. 총 12그룹 (상위 5그룹, 하위 7그룹)이 구성되었으며, 이 그룹 구성은 연구 기간에 걸쳐 유지되었다. 학습자들은 웹기반 사회적 쓰기 플랫폼 중 하나인 Google Docs를 이용하여 쓰기를 하였으며, 컴퓨터기반 실시간 의사소통 프로그램 중 하나인 MSN messenger를 이용하여 그룹원 상호간에 대화를 하면서 협동 작문을 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각각 3편의 협동 작문과 3편의 개인 작문을 하였고, 이 작문을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 및 에세이 점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설문지, 학습자의 학습 일지 및 자기성찰 보고서, 학습자 인터뷰 등을 통해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 작문 및 개인 작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협동 작문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그룹 원끼리 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협동 작문을 수행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쓰기 실력 및 L2 쓰기 불안을 사전 사후 평가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과 개인 작문을 통해 쓴 글을 비교한 결과,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이 유창성, 복잡성, 에세이 점수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에서 사용된 총 단어, 절, 문장, T-단위의 수 측면에서 개인 작문을 통해 쓴 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절의 길이 (W/C) 및 T-단위의 길이 (W/T)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은 문법 및 어휘의 복잡성 측면에서도 더 복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에세이 점수도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정확성 측면에서는, 협동 작문을 통해 쓴 글은 총 오류의 수 측면에서는 개인별로 쓴 글보다 정확성이 떨어졌으나, 오류 없는 T-단위 수, T-단위당 오류의 비율 (E/T), 오류 없는 T-단위의 비율 (EFT/T) 측면에서는 모두 개인별로 쓴 글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 실력면에서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이 쓴 협동 작문과 개인 작문의 비교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즉,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모두, 협동 작문을 통해서 쓴 글이 유창성, 복잡성, 에세이 점수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확성 측면에서는 더 정확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둘째, 총 35개의 그룹 대화 (총 5,597줄)를 총 1,866개의 에피소드 단위로 분석하였다. 그룹 대화는 내용적 대화 (substantive talk)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절차적 대화 (procedural talk), 사교적 대화 (social talk), 및 쓰기 관련 대화 (writing talk) 순서로 나타났다.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간 비교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상위 그룹은 더 나은 논점들로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측면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한 반면, 하위 그룹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거나 및 주제에 대한 입장을 결정하는 부분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에 비해서 우수한 작문을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요소 중 하나인 것 같다. 또한, 모든 그룹이 각 그룹원이 역할을 분담하여 동시에 써가는 병렬식 쓰기 방법으로 협동 작문을 수행하였으며, 작문 과정 측면에서는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간에 차이는 있지만,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동 작문 및 개인 작문 각각에 대해서 어떤 점에서 좋은지, 어떤 경우에 어려움을 겪는지 등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협동 작문을 하는 것과 관련한 어려움을 토로하기는 하였지만, 많은 학생들이 개인 작문보다 협동 작문을 선호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편집, 수정, 초안 쓰기 단계에서 협동 작문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흥미롭게도, 학습자들이 개인 작문을 할 때 겪는 어려움들이 협동 작문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웹기반 쓰기 프로그램, 즉 Google Docs을 이용하여 작문을 하는 것에 대해서, 모든 학습자들이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협동 작문 및 개인 작문을 하기 편리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 동의하였다. 또한, 사후-에세이 시험에서 작문 실력이 향상되었고, 사후-L2 쓰기 불안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 작문은 학습자들의 쓰기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협동 작문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협동 작문을 시도해 보려는 교사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llaborative writing has been widely performed and its importance and benefits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Many researchers claimed that collaboratively produced documents are better in quality, but not many research studies have compared collaboratively produced documents and individually produced documents to investigate whether collaboratively produced documents are better in quality. In addition,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form collaborative writing or how students view collaborative writing.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whether collaboratively produced essays are better in quality than individually produced essays; b) how students approach collaborative writing by examining the students' conversation during collaborative writing; c) how Korean EFL students view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and d) whether the experience of writing on a web-based social writing platform affects the students' writing and L2 writing anxie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 Korean EFL college students (17 male and 7 female students). For collaborative writing, the students were paired based on a similar writing proficiency level. A total of 12 pairs (five higher level groups and seven lower level groups) were formed and the grouping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on a web-based social writing platform, Google Docs. They were also asked to talk with their peer using a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program, MSN messenger, while working collaboratively and to save their communication. Three collaboratively produced essays and another three individually produced essays were compared in terms of fluency, accuracy, complexity, and essay scores. The transcripts of group talk during collaborative writing were used to investigate how students approach collaborative writing. Students' perception questionnaire, students' reflection paper, and students' learning log were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as well as the use of technologies for writing-a web-based social writing platform and a synchronous CMC program. In addition, pre- and post-essay writing tests and pre- and post-L2 writing anxiety questionnaires were also compared to identify if any change that occurred after their experience of writing on a web-based social writing platform.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collaborative writing was better than individual writing in terms of fluency, complexity, and essay score. Collaboratively produced essays had significantly more words, word types, clauses, sentences, and T-units compared to those of individually produced essays. Collaboratively produced essays also had longer clauses and T-unit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llaboratively produced essays were grammatically and lexically more complex compared to individually produced essays.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collaborative writing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individual writing. However, the results for accuracy were mixed. Although collaborative writing had more errors, these essays had more error-free T-units, more error-free T-units per T-units (EFT/T), and fewer errors per T-units (E/T) as well compared to individual writing. In the case of both higher and lower level students, the results were similar; that is, the collaborative writings of higher and lower level students were better than their individual writings with respect to fluency, complexity, and essay score although the results for accuracy were mixed. Second, a total of 35 group talks (a total of 5,597 lines) were analyzed as a total number of 1,866 episode units. The majority of the talk was substantive talk, followed by procedural talk, social talk, and then writing talk. Some interesting differences between higher level and lower level groups were found. While higher level groups were more focused on organizing their essays with better arguments, lower level groups tended to talk more about generating ideas and deciding on their position about the writing topic. This difference seemed to explain why higher level students wrote better essays. All groups consistently took a parallel writing approach and they generally followed a common process when they worked together to produce an essay. Third, the students expressed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Although the students felt some difficulties with writing collaboratively, many of them preferred collaborative writing, particularly when they worked on editing, revising, and drafting. Moreover, many of the difficulties that they felt during individual writing were resolved when they worked collaboratively. Finally,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writing on a web-based social writing platform and most of them agreed that it was a convenient tool for both individual writing and collaborative writing.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post-essays and a decrease in their post-L2 writing anxiety after their experience of writing on the social writing platform.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writing classroom can be beneficial to students' learning of writing. Thus,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being prepared for writing collabor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also benefit writing teachers who may want to adopt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writing in their writing classroo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4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