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 0

한국 뮤지컬에서 스타 활용을 통한 대중성 연구

Title
한국 뮤지컬에서 스타 활용을 통한 대중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pularity through Casting 'Stars' in the Musicals in korea
Author
윤자형
Alternative Author(s)
Yun, Ja Hyung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뮤지컬에서 스타 활용과 대중성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1960년대에 시작된 한국 뮤지컬은 1990년대부터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공연계의 인기를 주도하고 있다.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현상은 공연계 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한 많은 수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로는 뮤지컬의 개별요소를 연구한 개별 연구들, 뮤지컬을 교육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들, 한국 뮤지컬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들과 예술경영 및 문화산업의 시각에서 접근한 연구들을 비롯해서 약 140여개의 석 · 박사 논문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는 2000년부터 수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뮤지컬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뮤지컬은 현재 대중에게 가장 어필하는 ‘대중음악극’이다. 뮤지컬의 원류라 할 수 있는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대중의 욕구와 기호에 따라 발전 · 정착해 온 역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뮤지컬은 기본적으로 대중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 양식이 1960년대를 기점으로 한국에 유입된 후 그 대중적 성격으로 인해 오늘날 한국의 관객에게도 친숙한 장르로 자리매김 되었다. 뮤지컬은 무엇보다 음악성이 강조되는데, 음악성을 실현하는 배우를 통해 대중성을 얻었던 근대 이후의 대중음악극, 창극, 악극, 여성국극 등이 한국 뮤지컬 대중성의 바탕이 되었음은 자명하다. 사회문화 전반이 점차 대중화, 산업화 되는 현대사회 속에서 대중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제로서 스타를 활용하는 사례는 현재 한국 뮤지컬계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로 읽혀지고 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것처럼 수많은 연구가 있음에도 이러한 트렌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스타를 활용하여 뮤지컬의 대중성을 극대화한 사례로 뮤지컬 <헤드윅>을 살펴보았다. <헤드윅>은 트렌스젠더 록 가수의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로, 여장 남자 전용바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이곳에서 인기를 얻어 이후 오프-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진출하였고, 영화로도 제작되어 세계적으로 화제를 낳았다. 성적 소수자라는 평범치 않은 소재에도 불구하고 <헤드윅>이 한국에서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작품 자체에 대한 매력 뿐 아니라 조승우라는 스타를 기용했기 때문이었다. 한국에서 공연된 <헤드윅>의 스타 마케팅은 근래 2, 3년 사이에 조성된 ‘조승우 효과’를 통해 가늠해 볼 수 있다. 조승우는 그가 출연했던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2004), <헤드윅>(2005, 2007), <렌트>(2007), <맨 오브 라만차>(2007) 등이 모두 초고속으로 매진행렬을 이어가며 ‘조승우 효과’를 만들어냈다. 그의 티켓 파워는 <헤드윅>에서도 발휘되어 흥행 면에서 성공으로 이끌었다. 조승우로 인한 이러한 현상은 작품의 성공 뿐 아니라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낳았다. 네 번째 시즌까지 제작되어 장기 공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각기 다른 9명의 헤드윅들이 새로운 스타로 탄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헤드헤즈라는 마니아 팬클럽이 형성 되어 고정된 팬 층을 이루기도 하였다. 이들에 대해 같은 공연을 여러 번 반복 관람하는 관객 문화까지도 형성되었다. 이처럼 <헤드윅>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한국 뮤지컬에서 스타 활용과 대중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본 연구자는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ation of star casting and popularity in Korean musicals. Korean musicals started in the 1960's shows that tendency of fast growth from 1990's and becomes a leading popular genre of entertainment. The growing interest in musicals is also found in the scientific field which approximately included 140 master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hey research musical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on the elements of musicals; on the history of korean musicals. From 2000 not a few of the studies analyse musicals from the standpoint of management and cultural industry. In this tendency we can guess that the interest in musicals and discourse about them would be more buoyant in the future. Musicals are the most popular one from performing art forms. This fact has been proved through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Broadway musicals, which stimulated to the birth of Korean musicals in the 1960's. The western style musicals has without much rejection been received by Korean audience. Because the Korean people already enjoyed various forms of popular musical drama, such as ChangGeuk, AkGeuk and YeoSeongGukGeuk, which got popularity through performances by the actors of musical talents. Nowadays, it is not rare that producers of musicals cast stars in order to maximize the popularity of their production. It is the trend in Korean musical circle. But regretably there is not a study which analyse this trend at all. Therefore, I looked into the musical (written and composed by John Cameron Mitchell) to show the maximized popularity of a musical through casting stars. As we know, is a musical play about a transgender rocker. It premiered in a 'drag queen' bar. Afterwards, this musical was performed on the stages of Off-Broadway, and the film version made it more world-famous. has enjoyed great popularity from its Korean premiere in 2005 in spite of the subject matters that are unusually taken Korea. The first reason of its popularity lies in casting Cho Seung-Woo as Hedwig. Cho Seung-Woo is a very well-known and popular actor in the current Korean musicals and films. This star-marketing of even created the so-called 'Cho Seung-Woo syndrome'. 'Cho Seung-Woo syndrome' was made through the musicals, in which he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s: (2004); (2005, 2007); (2007); (2007). Casting the star Cho Seung-Woo means without exception a great success in box offices. The phenomenon of Cho Seung-Woo led out positive effects in many aspects. If a performance has a great success, it will naturally enjoy a long-run and stimulate the birth of other new stars. In addition to this, a fan club of , 'Hedhes' has been formed. They see with great fascination the same performance repeatedly. I confirmed that with the example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asting stars in Korean musicals and popular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