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8 0

연극에서의 비언어적 요소 연구

Title
연극에서의 비언어적 요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on-verbal elements of performance focused on : by the Theater Company「Yohangza」
Author
이상훤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Hwon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극단 여행자의 〈한여름 밤의 꿈〉에 나타난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서 보편적인 공통코드로서의 연극언어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비언어적 요소는 희곡의 문자적인 표현 뒤에 숨어있는 의미를 드러내는 공간적인 언어로서, 말 이외의 모든 연극적 표현방식을 뜻한다. 작가의 표현이 언어(verbal)를 중심으로 삼는다면, 연출자의 표현은 곧 언어 이외의(non-verbal) 형상화를 가리킨다. 작가의 희곡텍스트에 연출자의 공간 언어가 더해진 것이 공연텍스트라고 했을 때, 공연텍스트를 이루는 핵심은 바로 비언어적(non-verbal)요소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극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비언어적인’ 요소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극단 여행자의 <한여름 밤의 꿈>은 한국 전통 연희의 공연 특성을 지닌 작품으로 2002년 초연이후 수차례 외국 순회공연을 했다. 이것은 이 작품이 언어의 한계성을 넘어서서 보편적인 연극으로 받아들여진 예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극단 여행자의 〈한여름 밤의 꿈〉에 나타난 비언어적 요소를 신체, 시각, 청각, 공간 언어로 분류하여 공연을 분석하였다. 신체 언어는 배우가 자신의 몸을 오브제로서 표현하여 보편적인 공통 코드로서의 움직임을 선보였다. 특히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극단 여행자의 〈한여름 밤의 꿈〉은 유형화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관객과 무대적 약속을 만들었다. 이것은 관객에게 통일된 의미를 전달하여 보편적인 공통코드를 이룬 것이다. 시각 언어는 일상적인 소품을 오브제로 사용하여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다. 관객은 일상적인 소품을 바라봄으로써 일상적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눈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예술적 지각을 할 수가 있다. 특히 소품이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소통의 기능을 했으며, 극적공간과 배경을 새롭게 설정하는 상징적 도구로 활용되었다. 청각 언어 중 음향 효과를 만들어내는 데 가장 중요한 재료가 배우의 소리이다. 배우들이 소리를 내는 음향효과는 공연의 현장감을 보여주는 동시에 극중 배경을 설명하였다. 공연에서 청각 언어는 관객이 수동적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관객으로 하여금 직접 소리를 듣고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 능동적인 주체로 바뀌게 했다. 공간 언어는 비어 있는 무대공간을 이분화하여 시·공간의 새로운 의미 개념을 정의했다. 비어있는 무대공간은 하나미치(花道)를 변용한 공간과 마당의 무대를 이분화하여 무대의 현장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극단 여행자의 하나미치는 가부키의 하나미치와는 달리 배우가 극 중 배우들의 행위를 무대 위에서 지켜보게 했다. 이것은 하나미치를 변용한 공간에서 배우들을 관객에게 노출시킴으로써 ‘하는 자가’ 곧 ‘보는자’가 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극단 여행자의 〈한여름 밤의 꿈〉은 비언어적인 요소에 대해 전통문화를 재해석함으로써 보편성 있는 연극언어로 만들었다. 즉 한국의 전통 연희의 특성들을 수용하여 국내 관객에게는 전통 연희의 놀이성을 보여줬고, 다른 문화권의 관객에게는 한국적 전통 문화를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연극적인 볼거리를 보여줬다. 얀 무카로프스키는‘무대 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 기호’이고, 무대 위는 수많은 비언어적인 요소로 채울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고 했다. 본 연구자는 극단 여행자의 공연을 통해서 무대와 객석 사이에 상호 소통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들을 비언어적 요소의 특성에서 찾았다. 이 연구가 연출자나 무대 디자이너들에게 비언어적인 요소에 의한 실험적이고, 연극성 있는 공연 작품의 내용적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atrical language as a universal common code by exploring non-verbal elements in by the Theater Company 「Yohangza」. Non-verbal elements constitute a spatial language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a drama that is hidden behind the literal expression, and as such, they mean non-verbal theatrical expression methods. While the author focuses his expression on verbal elements, the director focuses his expression on non-verbal elements. When the director's spatial language is added to the author's drama text, it makes a performance text, the core of a performance text can be said to be the formation of non-verbal elements. This is because this study seeks to pay attention to non-verbal elements as a core concept of theatricality. Since by the Theater Company 「Yohangza」, which has traditional Korean theatri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as premiered in 2002, it has been performed several times overseas. This suggests that this work,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language, was accepted as a 'universal' drama.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visual, audio, and spatial languages of non-verbal elements of by the Theater Company 「Yohangza」. The physical language allowed actors to express their bodies as objects, thereby demonstrating their movements as a universal, common code. In particular, a method was discovered that enabled an easy understanding in different cultural regions. The drama repeated typified movements, thereby making 'stage conventions' with the audience. This way, the drama delivered a unified meaning to the audience, thereby achieving a universal code. The visual language used everyday props as objects, thereby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The audience looked at everyday props, thereby shedding everyday customs, giving a new look at the targets, and having artistic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props functioned as a communication means of pulling down the borderlin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and were used as a symbolic tool to newly establish the theatrical space and backgrounds. Of the audio languag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that makes sound effects is actors' voice. The sound effects made by actors' voice demonstrated the sense of presence of the performance, and explained theatrical backgrounds. In the performance, the audio language was not intended to be listened to passively by the audience, but it was intended to be listened actively by the audience, allowing them to visualize the images. The spatial language divided the empty stage into two parts, thereby delivering the new meaning of time and space. The empty stage divided the Hanamichi(花道)-transformed space and the performing stage into two parts, thereby maximizing the sense of presence of the stage. In particular, the Theater Company's Hanamichi, unlike Kabuki's Hanamichi, allowed actors to watch actors acting from behind the stage. This exposes actors to the audience on the Hanamichi-transformed space, thereby allowing 'doers' to become 'seers.' In particular, the Theater Company's 「Yohangza」 gave a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regard to non-verbal elements, creating them into a universal theatrical language. Likewise, the drama accommodat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theatricals, and delivered the playfulness of traditional theatricals to the domestic audience, and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the audiences in culturally different regions, thereby showcasing new theatrical sightseeing. Jan Mukař ovský said that all things on the stage are symbols, and that there exists a space which can be filled with myriads of non-verbal elements. Through the performance by the Theater Company 「Yohangza」, by exploring non-verbal elements, we discovered methods by which the stage and the audien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is hoped to provide directors or stage designers with a basis for creating non-verbal elements-based experimental, theatrical performance work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