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공공극장의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 연구

Title
공공극장의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doptation of repertory system to public theatres : Centering on Arko Arts Theater
Author
황선아
Alternative Author(s)
Hwang, Sun Ah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is a study about performance programs of Arko Arts Theater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public theaters in Korea. Many artists prefer to perform at Arko Arts Theater because of it’s high quality facilities and inexpensive rental fee. When there was just a few theaters in Seoul, in 1970s and 1980s, Arko Arts Theater did main work for realization of performing arts cultivation.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been raised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have has more desire to enjoy cultural life. The government has built many performing theaters, however, it caused many problems since there wasn’t enough understanding about performing programs and systematic plans to operate theaters. Especially, public theatres didn’t do their duty and role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in those days. In addition, many performances were of very poor quality for their audience and it even threatened meaning if a theatre’s existence. Arko Arts Theater has just rented its place to other performers for a long time and I think it’s time to look into the performance programs of Arko Arts Theater. Timely, Arko Arts Theater adopted repertory system and elected new art director in 2007 and the year of 2008 has been the first year to take effect of their new system. We’ll look into a process of the adoption and forecast the expected effects to reinforce the creation ability of the theatre and culture development through the repertory system of Arko Arts Theater. First of all, we’ll look into Korean history of art and culture. It is based on finding the importance of the theater in Korea. We took the National theater, Sejong Center and Seoul Arts Center for examples. It is also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repertory and art director system. This study describes the managing process of the theater and its role by studying how it has been changed while changing its name. Arko Arts Theater has presented play, dance and creative performance which are not so popular in public. There won’t be any big changes in the near future. In 2008, Arko Arts Theater tries some new programs like ‘arko presents’, ‘arko choice’, ‘arko partner’, ‘arko challenge’ to find how to participate in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has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looking into the introduction of a repertory system and in multiple attempts to make assessment on the system. I’m sure that the survey of audience and interviews with art directors and producers will be helpful to design the future direction for Arko Art Theater’s performance. I hope this initial study would help public theaters doing their own duty and role more effectively in a society. And I also expect it to be an independent place where great cultures grow.;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공공극장인 아르코예술극장의 공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아르코예술극장은 국내 100여 개가 넘는 소극장 및 공연장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하며, 약 28년의 역사 속에서 대극장, 소극장, 연습실 등을 규모 있게 갖춘 양질의 시설을 저렴한 대관료로 제공하여 많은 창작인들이 선호하는 극장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제대로 된 극장 시설이 부족했던 1980, 90년대 서울에서 아르코예술극장은 공연 문화를 실현시키는 중심 시설임과 동시에, 이곳에서 공연된 공연들은 당대를 비롯해 현대 공연문화예술 창달에 큰 기여를 한 것이 사실이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국민의 생활 지수 상승과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 증가에 따라 대대적인 국가 지원 정책 아래 공공극장을 중심으로 공연장 시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공연장 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과 공연작품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인력 배치 등 기대 역할과 상충하는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기 시작했다. 특히 국공립 극장은 각 지역 문화 활성화 및 문화예술창달이라는 공공의 의무와 역할을 제대로 수생하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극장 자체의 존립 의의조차 의심케 하는 양질의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아르코예술극장 역시 많은 창작자들에게 공연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에만 머물러 극장 역할에 대한 재고와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마침 아르코예술극장은 2007년 예술감독제와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을 선언하였고, 2008년부터 그 실천에 들어갔다. 이를 계기로 레퍼토리 시스템이 공공극장에서 극장의 창조적 역량 강화와 더 나아가 문화 예술 발전을 위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시스템 도입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가장 먼저,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대 문화예술의 모습과 극장의 위치에 대해 살펴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등 한국의 대표적인 공공극장을 비교, 대조 사례로 들었으며, 아르코예술극장에 관해서는 전신인 예술인회관에서부터 문예회관, 그리고 지금의 아르코예술극장으로 명칭이 바뀌는 과정에 따른 운영 및 역할 모습에 더욱 자세한 관찰과 서술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가장 중심 소재인 예술감독제와 레퍼토리 시스템 명칭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역시 필요한 부분이다. 근소한 차이를 두고 변형, 재해석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왕왕 있어 본 연구에서 지칭하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했으며, 사적 자료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하였다. 아르코예술극장은 그간 선보여 온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연극과 무용 장르의 공연 중심이었으며, 대중문화와 다소 거리가 있는 창작 실험극이 큰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아르코예술극장이 더욱 특화 시키고자 하는 분야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2008년 예술감독책임제 아래 처음 시행한 레퍼토리 시스템을 통해 극장은 ‘아르코 프레즌트’, ‘아르코 초이스’, ‘아르코 파트너’, ‘아르코 챌린지’ 등 새로운 공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도하고 있는 다각적인 극장의 참여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2008년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 첫 해의 과정을 살펴봄과 동시에 현 상황에서 내릴 수 있는 다각적인 평가를 시도해 봄에 가장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자가 실시한 관객 설문조사와 아르코예술극장의 예술감독 및 수석 프로듀서, 그리고 예술의전당 관계자와의 인터뷰가 부족한 사적 자료를 대신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미래 방향 설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나아가 지금의 초기 연구가 밑거름이 되어 공공극장이 극장으로서의 의무와 역할에 충실함과 동시에 훌륭한 문화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독립된 하드웨어로 거듭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