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8 0

아동 영재교육시설의 실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 영재교육시설의 실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Children
Author
김영훈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hoon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는 흔히 지식기반 사회라고 한다. 산업시대에서 중요시 되었던 것이 천연자원이었다면 현대의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커지고 있다. 특히 창의적인 인재는 국가의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그 가치가 나날이 상승하고 있다. 창의적 인재는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타고난 재능도 중요하지만, 더욱 더 중요한 것은 타고난 재능을 어떻게 계발하고 육성하느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의적 인재의 중요성을 깨닫고,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뒤이어 2002년 4월 그 시행령이 제정되었다. 공교육기관에서는 학교시설을 기반으로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영재교육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영재교육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영재교육시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사교육의 영재교육시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을 수가 없다. 사교육시설의 연구로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아동들의 잠재된 능력을 일깨워 주기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못지않게 영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영재교육시설이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의 교육열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로 비추어 보았을 때 앞으로도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를 통하여 공간구성과 실내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영재교육시설의 공간계획과 실내디자인 설계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 영재교육시설의 공간구성과 실내디자인특성이 어떠한지 연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7곳의 아동영재교육시설을 대상으로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아동영재교육시설의 마감재는 가장 일반적이고 기능적인 페인트나 벽지, PVC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마감재의 질감은 영재아동에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도 하며 공간의 용도에 따라 질감이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또 교실 구성의 융통성이나 다양성 향상을 위해 고정 벽은 가급적 적게 설치하고 게시판이나 다른 자료를 쉽게 붙일 수 있는 표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색채 계획은 아동의 호기심을 높이고 놀이에 대한 흥미를 일으켜 창조적인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사례에서 대부분 벽면과 가구 등의 색상은 옅은 파스텔 톤이나 미백색을 채택하여 무난한 구성을 보였지만, 영재 아이들의 직접 이용하는 부분 및 주목해야할 부분에는 강조색을 사용하여 아동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색의 속성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실내 공간 계획 시 색채 항목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가구 계획은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아동들의 신체 발달에 적합하도록 조절 기능이 있는 것이 좋다. 아동이 교실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가지 활동을 할 때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배치, 이동 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가구의 선택이 중요하다. 사례 연구에서는 여러 모양의 책상들을 여러 조합을 통해 토론 수업이나 다양한 영재교육을 위한 수업에 맞는 가구 배치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타입과 일부시설은 일반 학교에서 쓰이는 개인용 책상을 열에 따라 배치해 놓음으로서 다양한 배치가 제한적인 타입도 있었다. 영재교육시설 계획 시 적절한 조명 기구를 선택하고 실의 성격과 기능, 디자인 컨셉에 따라 다양한 조명효과를 계획해야 한다. 사례의 대부분이 단독건물이 아닌 일반 상가건물 안에 위치해 있어 자연 채광에는 한계가 있었고 인공 채광의 경우에도 영재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맞게 조명를 조절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가능한 곳은 한 군데의 시설밖에 없었다. 일부 시설에는 형광등을 이용한 직접 조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장시간 활동 시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고, 조명의 그림자와 얼룩 문제가 생기므로 조명 방식의 개선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교구는 영재아동의 특징인 창의성과 호기심의 충족 시켜 줄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발달 특성과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사례 연구에서도 모든 시설에서 활동에 적합한 기본적 교구는 있었으나 영역에 맞는 교실의 분화와 그에 따른 더욱 다양한 교구가 필요하였다. 또한 교구준비실을 두어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자재에 있어서도 멀티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디지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 영재교육시설의 실내공간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재교육시설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고 사례 분석 대상 수와 표본이 충분치 않은 상태로 조사가 진행되어 이후에 보다 객관적이고 세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1st century is often called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If natural resources were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industrial age, in the modern information-based society,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is increasing. Particularly, creative man, who is able to lead the national competence, is the important human resource, and one's value is rising day by day. Creative person is not naturally made. Innate talents are important, but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and bring up those talents. In Korea,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the law promoting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was enacted in January 2000, and the law was took effect from April 2002. In public educatio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s being activated in school systems, and many researches regarding this special education are being conducted However, despite its rich research on the programs of this special education, there are almost no research on the institutions that can utilize them. For th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researches on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are about all. These days, not only the programs for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but also its institutions which can maximize the effects of this special education is coming into the spotlight, in order to awaken the latent gifts of the children. Considering the heat for education of the present and the researches on education for the gifted so far, this tendency is likely to continu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lementary data for interior design and space design of institutions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that is to be established hereafter, with the clear grasp of distinctive qualities of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ed in cases. To study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of children's institution for the gifted, we studied the cases of 7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Kyungi-do,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Most institutions for the gifted used most common and technical paint, wallpaper, and PVC for finishing materials. The importance of tactile of finishing material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it enables children to go through variety of experiences, and because different materials can give effective stimulus. Moreover, for flexibility of classroom composition, fixed walls should be minimized, but walls that allow to set bulletin or hang class materials should be increased. The color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oo, so that it will increase inquisitiveness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which will develop into creative ability. In the cases studied, color of most walls and furnitures were not very distinctive: they were in light pastel and bright tone. However, the parts that need to draw attention of gifted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using strong colors. When considering space and interior design, importance of color should be stressed,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on effectiveness of colors. Moreover, furnitures need to have appropriate function so i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Selecting furnitures that have flexibility is very important. When children a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designed for gifted children, they need to be able to set, move, and use the space as the way they want. In the cases studied, there were set of desks in many shapes so it can be put in different ways for different purposes. However, there were also desks that are commonly used at schools, which were limited in arranging in various ways. Moreover, when designing the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ppropriate lighting fixtures should be selected, and variety of lighting effects should be planned according to character and function of the room and design concept. Most cases studied were located in general building and therefore, natural light source was limited. For the artificial light, there was only one institution that had lighting system that could control the br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programs. Some institutions were using direct lighting system, using only florescent light, which can induce eye strain when exposed for a long time. For they also had problems of shadowing, improvements on lighting systems seem necessary. Teaching tools need to satisfy creativity and inquisitivenes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and they need to agree with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ll the cases had appropriate basic teaching tools, but there needs to be more various tools appropriate for different fields and specialization. The room for preparing the teaching tools seems necessary so they can be more effectively managed. On the part of appliances, supplements should be made so that classes can be carried out using multimedia materials. We were a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of institutions for the gift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were almost no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institutions for the special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here were not enough cases that could be analyzed. Because of the limited sample size, more objective and detailed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hereaft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