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0 0

공항철도 실내 환경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Title
공항철도 실내 환경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s of Airport Railroad Interior Environment Design
Author
문서현
Alternative Author(s)
Moon, Suh-Hyun
Advisor(s)
신경주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대중교통시설에 대하여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2007년 3월에 개통된 서울과 인천국제공항 간 공항철도는 이전에 서울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승객수송이 주요도로를 통한 도로교통으로만 이루어지던 것을 광역 철도교통으로 확대하여 해외여행 등의 목적을 가진 승객이 서울에서 인천국제공항 간을 이동할 때의 접근성은 물론, 서울과 인천의 도심 간 승객의 이동편의까지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개통된 공항철도의 실내 환경디자인은 노약자와 장애인등과 같이 이동에 항시적 제약을 가진 이용객은 물론, 여행 등의 목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기 위하여 큰 짐을 가지고 이동하는 사람이나 한국어 의미 전달에 제약을 가진 외국인과 같이 이동에 일시적인 제약을 갖는 이용자들까지도 배려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 3월에 개통된 공항철도의 실내 환경디자인이 이용자에게 적합하게 디자인되었는지를 검토해 보기 위하여 공항철도의 역사와 차량의 실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평가 및 실측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항철도 이용자의 편의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먼저, 공항철도의 실내 환경평가에 적합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의 이동환경 관련 시책인「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법」의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법 시행규칙」을 한국과 같이 타 교통기관에 비하여 철도 교통이 차지하는 승객운송 비율이 높고, 철도교통의 역사가 깊은 선진국으로서 일본의 이동환경 관련 시책인 「교통의 Barrier-Free법」의「이동원활화 기준」과 비교 · 분석한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항철도의 실내 환경 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정리하여 기초 체크리스트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체크리스트를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세부항목을 수정 · 보완하고 공항철도 실내 환경평가에 적합한 최종 체크리스트를 완성하였다. 공항철도 평가에 사용된 체크리스트의 항목은 이용객의 예상 동선을 따라 이용자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시설 순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역사의 주 출입구부터 차량 탑승까지의 이용자 예상 동선을 따라 주 출입구, 대합실, 매표소 및 자동발매기, 개찰구, 수직이동수단(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내부경사로, 승강장, 장애인 · 일반 화장실 순으로 공간을 구분하였고, 차량은 공간이 한정되므로 승차부터 하차까지 승객편의에 관계되는 시설을 일반시설, 안내시설, 안전시설, 기타시설로 분류하여 관계되는 세부항목을 체크리스트에 포함하였다. 체크리스트를 통한 평가 및 실측의 결과는 3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였는데, 3점 리커트 척도의 기준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표준화를 시도하여, 설치구분의 경우는 설치 3점, 미설치는 1점, 설치되어 있으나 규정에 미달하는 경우는 2점을 부여하였다. 해당이 없는 경우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고, 평가 항목에서 제외시켰다. 체크리스트에서 평가 점수가 낮은 문항에 대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한 적합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실측조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정도구(줄자, 각도기, 삼각자, 필기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진자료의 확보를 위해 사진촬영을 병행하여 공항철도 실내 환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았다. 1. 공항철도 실내 환경의 평가를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관련 법규의 지침을 기준으로 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실측조사를 거쳐 항목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철도 교통에 관한 한국의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법 시행규칙」과 일본의 「이동원활화 기준」의 내용에서 한국의 설치기준의 내용이 일본에 비하여 자세하게 명시되어 있었고, 제시된 치수의 크기도 크게 조사되었다. 반면 일본의 시설 설치 기준내용은 한국에 비하여 포괄적인 기준이 명시되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조적으로 설치가 어려운 경우를 대비한 대안이 함께 제시되었다. 일본은 한국에 비하여 철도교통 역사가 오래되어 기존시설에 대한 개선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미 과거의 법제를 통하여 이동제약 자를 위한 이동편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현행 설치기준을 바탕으로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공항철도의 1단계 구간은 물론 향후 확대 운행되는 공항철도 2단계 구간을 비롯한 수도권 광역철도의 실내 환경 디자인 평가를 위한 실측평가용 도구개발이나 설문조사를 위한 기초 항목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공항철도의 6개 역사별 11개 공간에 대한 실내 시설의 3점 리커트 척도 평가의 결과는 총 합계 평균 2.6점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개찰구는 3점 만점으로 문제가 없었고, 대합실은 2.9점, 에스컬레이터는 2.8점, 엘리베이터는 2.7점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으며, 계단과 승강장은 2.6점, 내부경사로와 일반화장실은 2.5점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주출입구와 매표소 및 자동판매기, 장애인 화장실은 2.2점으로 다소 낮게 조사되어 특히 6개 역사에서 3곳에 관계한 시설에 시급한 개선이 요망되었다. 주출입구에서는 비상구나 역명 안내 외에 역사내부의 이용안내에 관한 시설이 확충과 함께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촉지 안내판의 개선도 필요하며 핸드레일의 점자표시도 양끝 뿐 만아니라 굴절부분에도 확충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매표소와 자동판매기는 설비의 사양이 6개 역에 동일하게 설치되었는데 매표소 데스크의 하부 공간, 자동판매기의 하부 공간과 조작버튼 점자표시는 설치되지 않았거나 합리적이지 못하므로 휠체어 사용자와 시각장애인, 어린이등의 시설 이용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였고, 나아가 유도 블록의 설치가 확충된다면 장애인을 포함한 이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장애인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 및 수납설비등과 같은 기타설비의 지원이 전무 하였으므로 설치가 요망되었고, 시각장애인을 배려한 점형 블록과 화장실 안내의 점자표시가 전역에 공통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이용편의를 개선해야 하겠다. 그리고 현재 설치된 대변기 주변의 안전 바는 물론 주요시설물인 세면대 주변에도 수평, 수직 안전 바를 설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하고, 출입문 개폐 버튼을 조작함과 동시에 조명도 지원하는 방식의 스위치로 개선이 필요하며, 영유아 및 보호자와 동행한 장애인을 배려하여 베이비 시트나 에티켓 벨의 설치도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그밖에 역사별로 시설 평가 합계 평점을 살펴보면 A역부터 E역이 2.6점, F역은 2.4점으로 6개역의 평균은 2.6점이었다. 6개 역사 중에서 F역이 다른 역사에 비해 다소 낮게 평가된 이유는 역사의 시설이 관리기관이 다른 인천국제공항의 시설과 연계되어 있어 다른 역사에 비해 개찰구외부의 매표소 및 자동판매기시설과 화장실 등의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낮기 때문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었다. 특히 개찰구 외부의 점형 블록과 유도 블록의 설치, 역사내부에 장애인 및 일반화장실의 설치가 전무하여 이에 대한 설치가 시급하였다. 위와 같은 개선사항이 실현된다면 공항철도 역사의 환경이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공항철도의 일반 · 직통열차의 내부시설에 대한 3점 리커트 척도 평가의 결과는 평균 2.7점으로 높았다. 이중 안전시설은 3점 만점으로 문제가 없었고, 안내시설은 2.8점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으며, 일반시설은 2.5점, 기타시설은 2.4점으로 조사되었다. 차량의 일반시설에서는 B차량에 좌석 간 통로가 휠체어 사용자나 짐을 가진 보행자의 이동에 다소 좁은 60cm로 이들의 동선을 고려하여 전용좌석의 통로 폭을 확대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A차량은 좌석에 개인공간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여러 사람이 함께 좌석을 공유할 때, 크기가 명확하지 않아 승객간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좌석시트에 색감을 차별화하여 개인공간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두 차량 모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지지대 및 휠체어 고정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았으므로 이에 설치가 요망되었다. 또한 차량내부에도 승객의 안전한 이동 및 지지를 위한 수직핸드레일의 설치가 미흡하여 사고위험이 있으므로 설치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B차량에는 행거식 핸드레일도 미설치되어 좁은 통로를 이동할 때 좌석을 의지하여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예상되어 시급한 개선이 요망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승객이 커다란 짐을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에 A차량에는 짐을 수납할 수 있는 설비가 전무하였고, B차량은 수납설비는 설치되어 있었으나 고정설비나 분실방지설비가 전무하여 두 차량의 수납설비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었다. 안전시설은 두 차량 모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안내시설에 있어서는 차량의 출입문에 교통약자와 관계된 접근 유도 표시가 설치되지 않아서 탑승 후 혼잡한 차내에서의 이동이 예상되므로 차량외부의 승강장에서 이동제약 자의 탑승준비가 보다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였다. 서비스 및 편의에 관련한 기타설비는 A차량보다 B차량의 이용 요금이 비싸게 부과되었기에 두 차량 간의 수준이 다소 큰 차이를 보였는데, 그중에서 무선인터넷 같은 IT설비는 A차량에도 지원하게 하여 적은 비용으로 이용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위에서 지적된 사항의 시정이 이루어진다면 공항철도의 두 종류 차량의 환경이 모두 개선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1. 본 연구의 체크리스트는 공항철도의 역사 및 차량의 실내 환경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법제적 지침에 바탕을 두고 편리성과 안전성에 대한 항목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점차 생활이 윤택해지고 환경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심층적인 심미성의 측면에서도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항목의 개발과 같은 종합적인 항목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는 조사도 함께 병합하여 종합적인 개선사항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는 실측조사범위를 공항철도의 역사와 두 종류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공항철도와 관계하는 환승노선인 수도권 광역철도 등으로 조사범위를 확대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집중되는 환승공간에 대한 조사와 역사 외부의 보행접근로 및 주차장까지 포함한 공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공항철도 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re has been a increasing interest in design of public transportation, which helps people to move safely and conveniently. The airport railroad between Seoul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started to operate in March of 2007, expands choice of customers from previously limited movement through cars and tries to enhance accessibility as well as convenience of customers moving between Seoul and Inche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airport railroad, regarding its primary purpos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users with permanent restriction, including seniors or the handicapped, but also the ones with temporary restriction, such as the travelers with huge bags or foreigners who are inconvenient with communication in Korean. Hence, this research developed a checklist to evaluate history of airport railroad and interior environment of vehicle, to see whether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opened in March 2007 is designed appropriately to users. Based the checklist, it analyzed problems of airport railroad by evaluation and actual survey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airport railroad user's convenience upon the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all, in order to develop a checklist for evaluating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Regulations to improve transportation of mobility handicapped people」 in 「Law to improve transportation of mobility handicapped people」, the Korean regulation related to transportation environment, with 「Standards for efficient transportation」 in 「Barrier-Free law of transportation, the Japanese regulation pertaining to transportation environment. Japan has a long history of railway transportation and its railway carries relatively more passengers than other vehicles like Korea. After that, it summarized items to evaluate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developed a basic checklist. Based on the checklist, this research performed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revise and complement detailed items, and completed final checklist for evaluating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The items in checklist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expected flow of user's traffic and whether they affect users and implemented to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flow of user's traffic, the space was divided from main entrance of station to door of vehicle as main entrance, waiting lounge, ticket office and ticket machine, ticket barrier, vertical means of travel(stairs, escalator, and elevator), internal slope, platform, restroom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eople. In addition, it also divided convenience facilities from getting on and off train into general, safety, and miscellaneous facilities and included related details due to the limit of vehicle's space. This research finally scored results of evaluation and investigation based on checklist by the Likert scale, and tried to standardize 3 point standard of it to maintain objectivity. In case of installation, 'Installed' accounted for 3 point and it was 1 point for 'Not installed' and 2 point for 'Installed but do not observe standard'. If an item did not belong to any case, it received zero point and ruled out from the evaluation. For the items that acquired relatively low score upon the checklist,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to the reason and offered proper recommendations. While analyzing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to improve accuracy of actual survey, it used measurement tools(measuring tape, protractor, set square, and writing instruments), and took pictures to provide photo dat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o evaluate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it developed a checklist based on the guidance contained in pertinent regulations of Korea and Japan, and examined each item's appropriateness through actual survey. In contents, installation standards of Korea's 「Regulations to improve transportation of mobility handicapped people」related to railway transportation was more specified than Japan's 「Standards for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suggested scale was bigger. On the other hand, installation standards of Japan were more comprehensive compared to the ones of Korea, but it also contained alternative methods for the case of hard installation due to structural difficulty. As a result, Japan is considered to have more limitation of improvement due to its long history of railway transportation than Korea. It already had established travel convenience facilities for mobility handicapped people through the laws in former days. The checklist,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sent installation standards of Korea and Japan, is consider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to select basic items for developing actual survey tool or poll, concerning evaluation of interior environment of not only stage 1 section of airport railroad, but stage 2 section of metropolitan railway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3-point Likert scale evaluation on the internal facilities of 11 spaces in 6 stations of railway railroad, the average score of airport railroad was 2.6 point. Among them, ticket barrier had no problems with 3 point, and there were other facilities receiving relatively high score like waiting lounge, escalator, and elevator, with 2.9, 2.8 and 2.7 point respectively. In addition, stairs and platform recorded 2.6 point, while internal slope and restroom for non-handicapped people scored 2.5 point. However, main entrance, ticket machine, and restroom for handicapped people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 recording 2.2 point. In particular, facilities close to 3 places in 6 stations were needed to be improved immediately. In main entrance, in addition to emergency exit and station name guide, it was needed to provide internal facilities that guide use of station and to improve tactile direction boards for handicapped people. Moreover, it was required to install Braille marks not only in both ends but in curved parts. Specification of facilities of ticket office and ticket machine was identical in all 6 stations. It was needed to improve facilities to make them more convenient to wheel chair users, visually handicapped people, and children because subspace of desk in ticket office, subspace of ticket machine, and Braille marks on control button were either not installed or irrational.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handicapped people could use station more conveniently if more guide blocks were installed. In case of restrooms for handicapped people, it needed to provide miscellaneous facilities such as diaper replacing table and storage facility because people did not get any related support. Convenience for blind people was needed to be improved by installing Braille blocks and marks that lead people to use restrooms. In addition, it was needed to install horizontal and vertical safety bar according to standards not only around of restroom seats but washstands that are one of main facilities. Also, it is needed to change switche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entrance as well as lighting, and baby seats and etiquette bells were worthy to be installed for children and handicapped people accompanied by a protector. Total average of each station's facility evaluation score was 2.6 point. Among them, A~E stations got 2.6 point and F station got 2.4 point. F station got relatively low point due to the lower accessibility to ticket office, ticket machine facilities, and restrooms out of ticket barrier than other stations, because maintenance institutes of its facility were connected to other facilitie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Hence, the entire improvement of these items were needed - Braille blocks and guidance blocks were not installed out of ticket barrier and all restrooms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eople were not installed in st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so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m immediately. If these improvements are realized,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station can be more convenient to users. 3. The result of 3 point Likert scale evaluation on the interior facilities of general and direct trains in airway railroad was high as 2.7 point. Among them, safety facilities had no problems with 3 point and it was 2.5 for guidance facilities, recording relatively high score. In addition, general facilities received 2.5 point and miscellaneous facilities got 2.4 point. In general facilities of train, passage between seats of B train was 60cm. It was extremely narrow for wheel chair users or pedestrians who carry a load, so passage between exclusive seats was needed be expanded considering the flow of their traffic. A train lacks means to recognize the size of personal space, so customers may find it inconvenient to share seats with others. Therefore, it can be an alternative to paint the seats in different colors so that people can recognize the size of the seats. Both trains reserved space for wheelchairs, but it additionally requires establishment of support post and the equipment to tie up wheelchairs.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vertical handrail for the sake of safe traveling and support of passenger was faulty, so it was required to be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Particularly, B train needs to be improved immediately because passengers will have to rely on seat when moving through narrow passage since it lacked hanger-type handrail. When user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move with a large load, the train did not provide storage facility at all, and B train had that facility but there is not a fixing or anti-loss facility. Therefore, storage facility in both trains is needed to be improved. Both trains had no problems for safety facilities. In guide facilities, movement in a crammed train after boarding was expected because access-guide indicator related to mobility handicapped people was not installed in door of train. So it was needed to be improved to make mobility handicapped people prepare boarding more easily from platform. In miscellaneous facilities related to service and convenience, each train showed large gap because B train charged more than A train. Among them, IT facilities such as wireless Internet were required to be installed in A train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at a low cost. If the recommendations are realized, environment of both airport railroad trains can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checklist of this study deals with history and vehicle's interior environment of airport railroad, and is developed with items of convenience and safety based on the regulations of law in Korea and Japan. However, as life will become enriched and demands for environment are expected to increase, comprehensive items such as evaluation item for examining way of improvement in profound aesthetic aspects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it is needed to find out comprehensive improvements with investigation on the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he interior environment. 2. This study limits range of actual survey as interior environment of 2-type trains. However, further studies need to expand their range to examine present condition of airport railroad's facilities comprehensively. For example, they can expand their range to the metropolitan railway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hich is a transfer railway connected to the airport railroad, to investigate transfer area that many people aggregates, and expand range by including not only a station but an external access way and parking lo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