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0

공동주택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 평가

Title
공동주택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mmunity Facility in Apartment Housing
Author
어성신
Alternative Author(s)
Eo, Sung Sin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히 변화하는 도시화 현상으로 인하여 주거의 기능 및 입지 등에 대한 인식이 변화 하면서 공동주택은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공동주택에서의 거주자들은 쾌적하고 다양한 주거환경을 요구하게 되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노동시간의 감소, 이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는 거주자들의 다양한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Life Style)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로 거주자들은 삶을 질적으로 향상 시켜줄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을 선호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아동에게 있어 커뮤니티시설은 성장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되며 바람직한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동 커뮤니티시설은 아동에게 바람직하고 만족스러운 환경과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공간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단순히 놀이공간이 아닌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및 디자인특성을 분석하고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이용태도 및 만족도,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종합하여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동탄신도시의 공동주택 중 시범단지로서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7곳을 선정하여 각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배치특성 및 디자인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지 내용은 아동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아동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부모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배치특성은 평면적 배치와 입면적 배치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평면적 배치는 중심성이 강조된 핵화형과 단지 입구에 위치하는 편중형, 단지내 고르게 분포하는 균재형, 단지 외곽에 위치하는 편재형, 또한 세부기능을 분화하여 고르게 분포하는 혼합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입면적 배치는 대부분 단지 내 커뮤니티센터가 배치되어 있는 단독배치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상층배치형과 지하층배치형로 분류할 수 있었다.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디자인특성을 살펴 본 결과, 대체적으로 아동을 고려한 마감재와 색채를 사용하여 아동의 안전성과 흥미유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고/도서관은 아동의 연령에 맞지 않은 치수의 가구를 사용하여 아동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었으며, 반면에 유치원/어린이집은 아동스케일이 적절히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이용현황을 시설별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대부분 놀이터와 문고/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실내놀이방과 유치원/어린이집은 사용자가 유아, 유치원생으로 편중 되어 이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대상이 유아나 유치원생으로 제한되어 있었고, 초등학생을 위한 시설이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연령의 아동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커뮤니티시설의 역할이 잘 수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이 커뮤니티시설 이용시 동행하는 사람을 조사한 결과, 3~6세까지의 아동은 부모와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12세까지의 아동은 친구와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아동 커뮤니티시설 계획시 최소한의 보호자 대기공간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공간특성을 살펴본 결과, 집이나 보행로에서 접근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시설이 효율적으로 적절히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만족도를 살펴 본 결과,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어린이집의 만족도가 다른 시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문고/도서관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아동 커뮤니티시설 및 위치를 살펴 본 결과, 교육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위치로는 커뮤니티센터 내와 주동 내에 설치되기를 선호하고 있었다. 현재 대부분의 공동주택에서는 아동 커뮤니티시설이 커뮤니티센터 내에 설치되고 있는 반면 주동 내에 위치하는 경우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공동주택 아동 커뮤니티시설 계획시 최소한의 교육시설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며, 커뮤니티센터 내와 주동 내에 각각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 내 아동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및 디자인특성과 만족도 및 선호도를 파악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나은 아동 커뮤니티시설을 위해 평면 형태나 면적, 조명 등 다양한 환경요소에 따른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여 보다 세부적인 공간계획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ue to the rapid change of urbanization, tenements became a universal living pattern to the residents. The residents demand a variety of living conditions caused by the change in recognition of residential functions and location. The increase of spare time due to the elevation of standard of living and the decrease of labor hours nowadays, brought change to the values and life style of the residents. The people started to prefer community facilities that c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Community facilities are an important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and sociality of growing children. Not only do the facilities provide better conditions to establish one’s values and supply a playground for the children, but the facilities are changing to a space of interaction with children of the same age. The following study analyses the location and design of child facilities in tenements, and the manner of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guardian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basic data needed for planning and building child facilities in tenements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instance survey and polls and was carried out at 7 tenementswith more than 500 residents at Dongtan, in Gyeonggi-do Hwaseong-si.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quality of the location and design of the tenements. We carried out the surveys with 220 parents since we concluded that children would not fully understand the questions. A statistic program SPSS for Window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child facilities can be seen in a two dimensional or three dimensional ways. Within the two dimensional arrangement there were factors such as focusing on the nuclear form, emphasizing the entrance of the housing complex, even distribution, misdistribution on the outer block and a mixture form where the detailed functions are evenly distributed. The three dimensional arrangement mostly showed the community center being placed within the housing complex as a single building and this can then be divided into upper ground form and under ground form. By looking at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 facilities, they use finishing material that ensures the safety of the child, and colors that interests the child. While the libraries use furniture that is oversized for the children, giving them discomfort, playschools use furniture that are just the right size for the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usage condition of child facilities and grouping them by facility, it shows that playgrounds and libraries are used the most. On the other hand, indoor playrooms and playschools show less usage since infants and kindergarten kids are a smaller portion of the using population. This shows that most child facilities focus their usage to infants, and facilities for primary children are insufficient. This also means that child facilities are not functioning well, since all minors are unable to enjoy the features of the facility. By investigating the companion of the children using the facility, it shows that child of age 3~6 bring their parents and child of age 7~12 bring their friends as their companion. This shows that there must be a waiting place for the guardians in the child facility. By looking a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it shows that it is located near the house or pavements, showing the child facilities are located efficiently inside the complex. The survey of the satisfaction shows that most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While playschools shows the best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facilities the libraries shows the least satisfaction. After looking at the location and type of children community facilities that people favor, the highest preference were the ones with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location that people most favor for the facility was within the community center or within the main building. Currently in most apartment houses the children community facility is made within the community center and not many are made within the main building. Therefore, when planning to build a children’s community center within an apartment housing there needs the least amou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it should be built within the main building or within the community center. Through the research I was able to find out about the location, design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of children’s community center within tenements. In order to make better children’s community center there should be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such as lighting, the plane and area and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se factors and have a following research on it for a detailed and efficient plan of the roo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9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