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 0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미디어 2.0' 현상에 관한 연구

Title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미디어 2.0' 현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edia 2.0’ Phenomenon in the 2008 Korean Candlelight Protest over Mad Cow Disease
Author
이정기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Ki
Advisor(s)
정대철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미디어 2.0은 전통매체가 아닌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 의한 정보의 공유 즉, ‘정보의 민주화’와 ‘기존 미디어가 아닌 미디어들의 미디어 되기’ 과정을 특성으로 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1인 미디어와 스트리트 저널리즘 등의 현상이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의 미디어 되기 과정으로 미디어 2.0 현상의 표출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에서 미디어 2.0 현상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와 광우병 촛불집회 과정에서 온라인 매체현상은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 광우병 촛불집회 참여자들의 매체이용의 특성은 어떠한가? 라는 세부 연구문제 2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자료의 분석기간은 5월 2일 부터 7월 31일까지 3개월간의 기간에 한정하였다. 참여관찰의 경우 총 14회 실시했고, 그 과정에서 143명에 대한 참가자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심층인터뷰의 경우 총 14명에 대한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분석하고 통합되었으며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미디어 2.0 현상 및 패러다임, 핵심범주에 대한 연구결과로 도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개방코딩에서 81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9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축코딩에서는 출현한 개념, 하위범주, 범주 간 유사관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규명한 결과 6단계의 요소로 구성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로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의 오락화"가 제시되었다. 이는 미디어 2.0 패러다임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10대, 20대의 세대가 30대 이상의 세대에 비해 정치, 경제적 문제 해결이라는 목표보다 일상 영역에서의 문제를 즐거움이라는 요소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미디어 2.0 현상이 디지털 매체를 주로 활용하는 10대와 20대에게 강하게 표출되었다는 결론을 내림으로써, 광우병 촛불집회에 표출된 새로운 형식의 정치집회 참여방식이 매체적 특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는 가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회 참여자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패러다임 및 핵심범주로 이론화시킴으로써 인터넷 관련 미디어 연구에 있어 현상과 결과 위주의 실증주의적 연구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고, 논의의 폭을 넓혔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Media 2.0 can be defined as the sharing of information by various digital media,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media. This researcher assumed phenomena such as one-person media and street journalism that appeared in the candlelight meeting protests against U.S. beef imports in Korea over mad cow disease to be an expression of the media 2.0 phenomen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formulated a research question, "How is the media 2.0 phenomenon expressed in the 2008 Korean Candlelight Protests over mad cow disease?" and two detailed research questions: "How is the online media phenomenon expressed in the candlelight protests over mad cow disease?" and "What characterizes media use by participants in the protest?"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ree months from May 2 to July 31, 2008.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took place 14 times, in which a total of 14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grounded theor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made on the Media 2.0 phenomenon, a paradigm, and a core category which appeared in the candlelight meeting protests over mad cow disease. In more detail, the open coding identified 81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In axial coding, similarity and relations among the expressed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clarified, which deduced a paradigm model consisting of 6 steps. In selective coding, "making participation in politics entertainment through digital media" was proposed as the core category. This concept was observed in that compared to people over the age of 30, people in their teens and 20s, who are affected by the media 2.0 paradigm, tend to actively solve problems in daily life using enjoyment rather than pursuing a goal of solv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dia 2.0 phenomenon which appeared in the candlelight protests over mad cow disease appealed strongly to people in their teens and 20s who mainly use digital media. This conclusion identified the assumption that the new way of participating in the political meetings shown in the protests would be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By theorizing direct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test as the paradigm and the core category, this study made up for limitations in empirical studies on the Internet media focused on phenomena and results and extended the range of discussion, which is the meaning held by this stud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4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